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박삼철의 도시디자인 탐험] 사랑은 곡선이다

등록 2008-01-16 19:24

최병훈 <예술의 길, 사색의 자리>(19점). 마천석+화강석+벚나무, 서울 덕수궁 돌담길. 사진/이원철
최병훈 <예술의 길, 사색의 자리>(19점). 마천석+화강석+벚나무, 서울 덕수궁 돌담길. 사진/이원철
박삼철의 도시디자인 탐험
‘직선은 슬퍼, 안아줄 수 없잖아.’ 한 광고에서 쓴 말이지만, 사랑 부재의 직선으로 근대적 삶을 비평해 눈길을 끌었다. 우리 도시는 온통 직선이다. 강이나 산, 길만이 아니라 인체와 인생 자체가 곡선으로 흐르는데, 도시는 직진과 ‘줄 맞춰!’만 강요한다. 비애다. 작가 최병훈의 <… 자리>는 천연재료로 일체의 직선이 없는 벤치들을 만들었다. 자연에 속한 인간의 천성을 공장에서 찍어낼 수 없다. 손으로 갈고 닦고 마음으로 어루만지며 빗어야 한다. 그래서 그 선과 볼륨은 한없이 부드럽고 여유롭다. 어릴 적 형과 쟁탈전을 벌였던 엄마 무릎이다. 처마를 타고 오래된 시간들과 사람들이 흐르는 덕수궁 돌담길이 더욱 풍요로워졌다. 느리고 멀리 둘러가더라도 곡선으로 살자. 곡선은 사랑이다.

서울시 도시갤러리 추진단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