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안도현의 발견] 도서대출카드

등록 2013-08-20 18:26

무심코 책꽂이에 꽂혀 있는 오래된 책 한 권을 뽑아 펼친다. 생각보다 가볍다. 파리똥이 앉아 있는 표지는 빛이 바랬고, 본문의 종이는 부석부석하고 누렇다. 마치 잘 마른 생선 같다. 밑줄 친 흔적도 간간이 보인다. 내가 언제 이 책을 읽었더라?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판권을 보니 1980년대 초반에 태어난 책이다. 뒤표지 안쪽에 참으로 반가운 게 눈에 띈다. 갑자기 뭉클해진다. 노란 봉투 속에 빳빳한 종이가 한 장 끼어 있는 것이다. 도서대출기록표. 이 책의 주인이 도서관이라는 표시다. 도서관에서 빌렸다가 돌려주지 않았거나 누군가 슬쩍 훔쳐온 게 분명하다. 맹세코 나는 범인이 아니라고 고개를 흔들어보지만 장물의 소유자란 사실을 피할 길은 없다. ‘도서대출카드’로도 부르는 이 한 장의 명백한 증거가 있으니.

지금은 바코드로 책을 인식한다. 예전에는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려면 이 도서대출카드에 반드시 기록을 남겨야 했다. 대출일자, 대출자, 반납일자를 수작업으로 하나하나 적어 넣었다. 도서관에 책이 입고된 후에 어떤 사람이 대출했는지 시간대별로 한눈에 알 수 있었다. 그것은 책이 유전한 기록이었으므로. 대학도서관의 도서대출카드는 학과명을 적게 되어 있었다. 먼저 책을 빌려간, 얼굴 모르는 여학생의 전공과 이름을 유심히 들여다본 적도 있다. 약간은 존경 어린 눈빛으로, 알 수 없는 흠모의 마음으로. 그리고 맨 밑에 내 이름 하나가 얹혀 있는 걸 바라볼 때의 뿌듯함이란!

안도현 시인·우석대 교수 트위터 @ahndh61

<한겨레 인기기사>

새누리 조명철 의원 ‘청문회 막말’에 ‘어디서 북조선식 선동질?’ 
국정원 ‘청문회 스타’로 떠오른 권은희 “국민누나 경찰” 응원 봇물
마블링 양 늘리자니… 1++ 등급 ‘함정’에 빠진 한우
[화보] ‘댓글 김직원’, 부채로 얼굴 가리며 ‘철벽수비’
[화보] ‘녹색 페인트’ 풀었나…하늘에서 본 4대강 녹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1.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2.

“공부 많이 헌 것들이 도둑놈 되드라” [이광이 잡념잡상]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3.

‘단전·단수 쪽지’는 이상민이 봤는데, 소방청장은 어떻게 알았나?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4.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홍성수 칼럼]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5.

‘영혼의 눈’이 썩으면 뇌도 썩는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