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현 시인·우석대 교수
이사를 할 때마다 책 때문에 골치다. 아까워 버릴 수도 없고, 갖고 있자니 짐이 된다. 방도 책꽂이도 모두 비좁다. 처음부터 끝까지 읽은 책도 있고, 두어 페이지 설렁설렁 넘겨보다가 던져둔 책도 있다. 그럼에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건 내가 아직 책을 다 소화하지 못했다는 뜻일까? 그렇다면 책읽기의 완성은 그 책을 미련 없이 버릴 때 이뤄지는 것일까?
고등학교 다닐 때 대구의 남산동 헌책방에 쭈그려 앉아 몇 시간씩 낡은 책을 뒤적일 때가 있었다.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현대사를 헌책방에서 배웠고, 하늘처럼 떠받들던 당시 박정희 대통령이 왜 문제 많은 독재자인지 알게 되었다. 거기에는 일반 서점에서 구할 수 없는 시집들도 수북하였다. 나는 용돈을 쪼개 그중 몇 권을 샀는데, 놀랍게도 저자의 친필사인이 들어 있었다. 이름을 대면 알 만한 시인이 역시 당대에 이름 높은 한 시인에게 증정한 시집이었다. 이거 너무한 거 아냐? 시집을 보낸 시인이 알면 얼마나 낙담하겠어. 증정받은 시집을 소중히 간직하지 못하고 버린 시인이 그때는 얄미웠다.
1936년에 나온 백석 시집 <사슴>은 100부 한정판이었다. 지금 국내에 남아 있는 것은 다섯 손가락 안팎이다. 일설에 의하면 5억원을 줘도 팔지 않겠다는 이가 있었다고 한다. 작은 꿈이 있다면 그 시집을 손으로 한 번 만져보는 것이다. 오래 바라보고 한 번 만져보는 데도 돈이 든다면 빚을 내서라도 그렇게 해보고 싶다. 너무 큰 꿈인가?
안도현 시인·우석대 교수
트위터 @ahndh61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