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임엔 차관들 내부승진 유력
한나라당 “선거용 징발” 성토
한나라당 “선거용 징발” 성토
노무현 대통령과 정동영 열린우리당 의장이 23일 만난 이후 ‘개각’을 둘러싼 안개가 빠르게 걷히고 있다.
오거돈 해양수산, 이재용 환경, 오영교 행정자치 장관의 경우 적극적인 출마 의지가 있거나, 외부의 권유를 숙명으로 받아들인 경우여서 처음부터 논란이 없었다.
문제는 진대제 정통부 장관인데, 24일 한때 ‘출마 확정설’이 나돌았다. 그 근거로는 대통령 해외순방의 단골손님인 진 장관이 6일 출국을 앞두고 홍열 예방주사를 맞지 않았다는 점이 거론됐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는 “진 장관은 아프리카 방문국에 정보통신 관련 현안이 있어 탑승명단에 포함돼 있으며, 예방주사는 2004년 남미순방 때 맞은 적이 있어 맞을 필요가 없다”고 밝혀 소문으로 그치고 말았다.
진 장관은 이날 국회에 출석해서도 열린우리당 의원들에게 “김진표 장관도 있는데 왜 나만 들볶냐”라고 하소연했다고 한 의원은 전했다. 그러나,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가능하면 나가고 싶지 않다는 뜻이나, 이미 본인도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그 후임자를 물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송철호 국민고충처리위원장이 울산시장으로 나설지 여부를 놓고 막판 저울질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개각의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정동채 문화관광부 장관은 선거와 무관하게 2004년 7월 이후 ‘장수’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개각 대상으로 검토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 장관의 경우 본인의 의지도 강하지만, 김진표 교육부총리와 마찬가지로 의원직을 버려야 하는 점이 부담이 돼 불출마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면서도 “다른 사람에게도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차원에서 후임자를 알아보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청와대 수석중에서는 한때 김완기 인사수석과 이용섭 혁신수석이 출마권유를 받았으나, 둘다 나가지 않는 쪽으로 굳어졌다고 청와대 핵심관계자가 밝혔다.
물러가는 장관들 후임자리를 놓고는 열린우리당 의원들 사이에 자천타천 얘기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특히 열린우리당에서는 한때 ‘채수찬 정통부장관’설이 나돌았다. 채 의원이 정보통신연구원에서 근무한 경력과 정동영 의장과 가까운 사이라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청와대는 지난 1월 개각 때 의원들을 많이 입각시킨데다, 선거를 앞두고 정치인 출신을 입각시키는 데 부담을 느껴 가급적 내부승진 쪽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맥락에서 행자부의 경우 권오룡 차관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으며, 정통부 노준형 차관의 경우 진대제 장관이 강력하게 추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환경부 장관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과의 관계 등이 고려돼 박선숙 전 차관 기용설이 나오고 있으나 이강철 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도 거명되고 있다. 이러한 정부 여당의 개각 움직임에 대해 한나라당은 “총선용 징발”이라며 반발했다. 최연희 사무총장은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내보내야 할 사람은 선거업무와 관련해 중립성이 요구되는 총리와 법무부 장관”이라며 “그런데도 이들은 그냥 두고 행자부와 경제부처 장관들을 억지로 차출하는 것은 경제를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이라고 성토했다. 김의겸 임석규 기자 kyummy@hani.co.kr
특히 열린우리당에서는 한때 ‘채수찬 정통부장관’설이 나돌았다. 채 의원이 정보통신연구원에서 근무한 경력과 정동영 의장과 가까운 사이라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청와대는 지난 1월 개각 때 의원들을 많이 입각시킨데다, 선거를 앞두고 정치인 출신을 입각시키는 데 부담을 느껴 가급적 내부승진 쪽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맥락에서 행자부의 경우 권오룡 차관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으며, 정통부 노준형 차관의 경우 진대제 장관이 강력하게 추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환경부 장관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과의 관계 등이 고려돼 박선숙 전 차관 기용설이 나오고 있으나 이강철 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도 거명되고 있다. 이러한 정부 여당의 개각 움직임에 대해 한나라당은 “총선용 징발”이라며 반발했다. 최연희 사무총장은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내보내야 할 사람은 선거업무와 관련해 중립성이 요구되는 총리와 법무부 장관”이라며 “그런데도 이들은 그냥 두고 행자부와 경제부처 장관들을 억지로 차출하는 것은 경제를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이라고 성토했다. 김의겸 임석규 기자 kyumm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