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 열린우리당 신임 당의장이 11일 오전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취임 기자회견을 열어 당 위기극복 방안과 향후 당 운영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김근태 의장 “성장있어야 복지”
열린우리당 논리와 맥락 달라
‘우향우 행보’에 비판 시선도
성장 강조 땐 당-청 갈등 우려도
열린우리당 논리와 맥락 달라
‘우향우 행보’에 비판 시선도
성장 강조 땐 당-청 갈등 우려도
열린우리당 재건의 깃발을 치켜든 김근태 당 의장이 ‘성장’을 화두로 내놓았다. ‘민주화’와 ‘한반도 평화’를 주요 브랜드로 내세워온 보건복지부 장관 출신의 그가 ‘성장’을 강조하고 나선 것이다.
그는 11일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서민경제”라며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집권당의 책무에 충실하겠다”고 다짐했다. ‘제민지산’(制民之産·국민의 생업을 안정시키는 것이 정치의 근본)이라는 맹자의 말과 ‘백성에게는 밥이 하늘’이라는 옛말도 인용했다.
서민경제 회생의 해법으로 그가 내놓은 것은 ‘추가적인 경제성장’이었다. 일자리와 복지문제 등을 해소하려면 추가적인 경제성장이 있어야 한다는 논리다. 우상호 대변인은 “잠재성장률을 적어도 1% 포인트 이상 더 끌어올려야 한다는 것이 김 의장의 생각”이라고 전했다.
그렇다면 ‘추가성장’을 이뤄낼 구체적인 방안은? 그는 “복안이 있다. 정책의 조합을 잘 하면 추가성장의 여력이 있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이 그동안 강조해온 성장의 논리는 ‘동반성장론’이었다. 사회적 일자리 창출 등 재정을 통한 해법과 기업의 책무에 초점을 둔 방안이다. 그러나 김 의장이 내놓은 ‘성장론’은 ‘동반성장론’과는 맥락이 다르다. 김 의장의 핵심 측근은 “김 의장은 분배주의자가 아니다”라며 “성장을 하려면 기업의 투자확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선 사회적 대타협이 이뤄져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라고 전했다. 김 의장이 대기업 규제 완화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여권 내 ‘개혁세력의 대표선수’ 격인 김 의장이 당의 진로와 관련해 ‘추가성장’을 핵심 화두로 제시하고 나선 것은 예사롭지 않다. 물론, 의장 취임 과정에서 불거진 ‘좌편향’ 논란이나 당 내부의 분위기를 추스르려는 포석이거나, 대선주자로서 운신의 폭을 넓히려는 시도일 수도 있다. 하지만 측근들은 “김 의장이 평소 지론과 소신을 밝힌 것”이라고 말했다. 우상호 대변인은 “내부적으로 많은 토론을 거쳤으며 무게가 담겨 있는 발언”이라고 말했다. 김 의장이 전날 6·10 항쟁 기념식에서 “민주화 세력이라는 것을 더 이상 훈장처럼 가슴에 달고 다니지 않겠다”고 말한 것이나, 현대자동차 사장 출신인 이계안 의원을 비서실장으로 포진시킨 것도 이런 기조의 연장선에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당내에선 비판적인 시선도 있다. 재야파의 한 의원은 “성장의 동력을 어디서 찾느냐의 문제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고 말했다. 김 의장이 성장을 강조하며 부동산 정책 등 기존 정책에 대한 궤도수정을 추진할 경우 당내 반발은 물론, “기조 변화는 없다”고 못박은 청와대 쪽과 갈등이 빚어질 가능성도 있다. 또 김 의장의 ‘우향우 행보’가 당의 정체성 훼손으로 비칠 경우 얼마 남지 않은 지지층마저 등돌리게 하며 치명적인 상처를 입을 수도 있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