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툰 부대의 즉각 철군을 주장하는 여야의원들이 21일 국회 기자실에서 철군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하기에 앞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고진화·배일도 한나라당 의원,유승희 민주당 의원,권영길 민주노동당 의원,손봉숙 민주당 의원, 임종인·이미경 열린우리당 의원, 이영순 민주노동당 의원, 이광철·정청래 열린우리당 의원. 이종찬 선임기자 rhee@hani.co.kr
이라크 파병연장 문제를 둘러싼 열린우리당 내 개혁파와 실용파의 대결에서 개혁파가 승리했다.
우리당은 23일 의원총회를 열고 표결을 통해 정부에 이라크에 주둔 중인 자이툰 부대에 대한 철군계획서를 국회에 제출할 것을 요구하자는 주장을 당론으로 채택했다.
구체적으로 시기와 방법을 못박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정부에 이라크 철군을 기정사실화할 것을 요구한 셈이다.
철군계획서를 내라는 주장은 운동권 출신인 임종석(任鍾晳) 의원이 당내에서 주도적으로 제기한 주장이다.
임 의원은 "지지자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이라크 파병을 결정한 참여정부는 결자해지 차원에서 내년 대선 전에 철군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며 소속 의원들을 대상으로 철군계획서 요구안을 주장해왔다.
이날 의총에서도 임 의원과 송영길(宋永吉) 의원이 정부에 철군계획서를 요구하자는 주장을 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국회 국방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성곤(金星坤) 의원과 김명자(金明子) 정의용(鄭義溶) 의원 등 중도보수성향의 의원들은 "일단 정부의 파병연장동의안이 오면 해당 상임위와 당 정조위에서 논의하고, 철군 및 감군을 요구할지 여부는 그 다음에 논의하자"고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와 함께 강경개혁파인 임종인(林鍾仁) 의원은 즉각 철군을 주장했지만 대부분의 개혁성향 의원들은 즉각 철군안 보다는 철군계획서 요구안을 지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기립방식으로 표결했는데, 철군계획서 요구 주장에 찬성하는 의원이 압도적으로 많아서 세보지도 않았다"고 전했다. 임종석 의원이 지난 21일 철군계획서 제출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할 때에도 당내 과반을 훨씬 넘긴 90명의 의원의 찬성서명을 받았었다. 철군계획서 요구안에 찬성한 보수성향의 한 의원은 "우리가 언젠가 이라크에서 철군을 해야 한다면 정부는 미리 계획서를 만들어 국회에 제출하는 것이 옳다"며 "당장 철군하자는 주장이 아니기 때문에 찬성했다"고 말했다. 우리당은 당초 이날 의총에서 이라크 파병 문제 외에도 부동산대책, 출자총액제한제도 존폐문제, 국민연금개혁 등 실용파와 개혁파가 첨예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는 현안들에 대한 당론을 도출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우리당은 의총에서 각 현안에 대한 해당 정조위의 보고만 청취한 뒤 본격적인 논의는 다음으로 미뤘다. 이날 의총은 평소보다 1시간 정도 이른 오전 8시에 열렸지만, 정체성 문제까지 연관된 주요 현안에 대한 논의가 예고됐던 탓인지 의원들의 참여도는 상당히 높았다. 의총이 개최됐을 당시에는 소속 의원 139명 가운데 71명이 참석했고, 이라크 철군계획서 제출 요구에 대한 표결이 진행되던 시점에는 참석의원 수가 116명으로 불어났다. 김근태(金槿泰) 의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우리는 16대 국회 말기에도 어려운 조건 속에서 토론과 합의를 통해 난관을 극복한 경험이 있다"며 "우리가 여러가지 이유로 견해가 다를 수 있고 감각이 다를 수 있지만, 견해가 다른 주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김 의장은 또 "적극적으로 토론에 참여하고 협력하면 폭포를 거슬러 오르는 연어처럼 난관과 도전을 극복해 새로운 희망을 누릴 수 있다"고도 했다. 김한길 원내대표도 `내일 종말이 와도 오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격언을 언급한 뒤 "오늘 의총은 우리끼리 무엇이 다른가를 확인하는 자리가 아니라, 우리끼리 이렇게 결속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스스로 확인하는 자리가 되면 좋겠다"고 가세했다. 김 의장과 김 원내대표는 정계개편 방향과 정체성 문제 등을 놓고 당내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것과 관련, 최근 당 중진들과 연쇄 회동을 갖고 대응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장과 김 원내대표는 21일에는 김원기(金元基) 김덕규(金德圭) 김혁규(金爀珪) 원혜영(元惠榮) 의원과 오찬을 갖고 본격적인 정계개편 논의에 앞서 먼저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중진들은 "이 사람 저 사람이 다 한마디씩 발언하면 될 일도 안된다"며 "먼저 공감대를 형성하고, 적당한 시기에 모두 공유하는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장과 김 원내대표는 22일에도 우리당 소속 국회 상임위원장들과 오찬회동을 가졌다. 이날 회동에서도 정계개편 논의의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는 후문이다. 한편 김 원내대표는 이날 의총에서 전효숙(全孝淑)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문제와 관련, "전 후보자는 무죄"라며 "청와대가 전 후보자를 재판관으로 임명한다면 우리당은 원칙에 근거해 동의안을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한 참석자는 "기립방식으로 표결했는데, 철군계획서 요구 주장에 찬성하는 의원이 압도적으로 많아서 세보지도 않았다"고 전했다. 임종석 의원이 지난 21일 철군계획서 제출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할 때에도 당내 과반을 훨씬 넘긴 90명의 의원의 찬성서명을 받았었다. 철군계획서 요구안에 찬성한 보수성향의 한 의원은 "우리가 언젠가 이라크에서 철군을 해야 한다면 정부는 미리 계획서를 만들어 국회에 제출하는 것이 옳다"며 "당장 철군하자는 주장이 아니기 때문에 찬성했다"고 말했다. 우리당은 당초 이날 의총에서 이라크 파병 문제 외에도 부동산대책, 출자총액제한제도 존폐문제, 국민연금개혁 등 실용파와 개혁파가 첨예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는 현안들에 대한 당론을 도출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우리당은 의총에서 각 현안에 대한 해당 정조위의 보고만 청취한 뒤 본격적인 논의는 다음으로 미뤘다. 이날 의총은 평소보다 1시간 정도 이른 오전 8시에 열렸지만, 정체성 문제까지 연관된 주요 현안에 대한 논의가 예고됐던 탓인지 의원들의 참여도는 상당히 높았다. 의총이 개최됐을 당시에는 소속 의원 139명 가운데 71명이 참석했고, 이라크 철군계획서 제출 요구에 대한 표결이 진행되던 시점에는 참석의원 수가 116명으로 불어났다. 김근태(金槿泰) 의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우리는 16대 국회 말기에도 어려운 조건 속에서 토론과 합의를 통해 난관을 극복한 경험이 있다"며 "우리가 여러가지 이유로 견해가 다를 수 있고 감각이 다를 수 있지만, 견해가 다른 주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김 의장은 또 "적극적으로 토론에 참여하고 협력하면 폭포를 거슬러 오르는 연어처럼 난관과 도전을 극복해 새로운 희망을 누릴 수 있다"고도 했다. 김한길 원내대표도 `내일 종말이 와도 오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격언을 언급한 뒤 "오늘 의총은 우리끼리 무엇이 다른가를 확인하는 자리가 아니라, 우리끼리 이렇게 결속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스스로 확인하는 자리가 되면 좋겠다"고 가세했다. 김 의장과 김 원내대표는 정계개편 방향과 정체성 문제 등을 놓고 당내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것과 관련, 최근 당 중진들과 연쇄 회동을 갖고 대응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장과 김 원내대표는 21일에는 김원기(金元基) 김덕규(金德圭) 김혁규(金爀珪) 원혜영(元惠榮) 의원과 오찬을 갖고 본격적인 정계개편 논의에 앞서 먼저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중진들은 "이 사람 저 사람이 다 한마디씩 발언하면 될 일도 안된다"며 "먼저 공감대를 형성하고, 적당한 시기에 모두 공유하는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장과 김 원내대표는 22일에도 우리당 소속 국회 상임위원장들과 오찬회동을 가졌다. 이날 회동에서도 정계개편 논의의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는 후문이다. 한편 김 원내대표는 이날 의총에서 전효숙(全孝淑)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문제와 관련, "전 후보자는 무죄"라며 "청와대가 전 후보자를 재판관으로 임명한다면 우리당은 원칙에 근거해 동의안을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