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부대 포용·탄핵 끝장토론 요구 등 ‘폭탄 발언’
“차라리 죽겠다”며 2월 전대 반대해 당내 갈등 증폭
비대위 “전대 일정 변화 불가”…‘해촉’ 시사 최후통첩
자유한국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 김용태 위원장과 전원책 위원이 지난달 1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자유한국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가 내년 2월로 예정됐던 전당대회를 미루자고 주장하는 등 당내 갈등을 일으킨 전원책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에게 “조강특위 범위를 벗어나는 건 당헌·당규 위반”이라고 ‘최후통첩’을 날렸다. 해촉까지 시사한 강력한 공개 경고다. ‘태극기 세력’ 포용 등 돌발 발언을 해온 전 위원에 대한 당 내부 불만이 반영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김용태 자유한국당 사무총장(조강특위 위원장)은 8일 비대위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전당대회를 포함한 모든 일정에는 어떤 변화도 있을 수 없다”며 전 위원의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비대위는 이날 전 위원에게 “전당대회 일정 연기 불가능, 조강특위 본연 활동에 충실할 것, 조강특위 범위를 벗어나는 언행에 유의”해달라는 당의 공식 입장을 전달하기로 결정했다. 전날 전 위원이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내년 2월이나 3월로 전당대회 기한을 정하는 건 코미디다. 죽어도 2월이라면 차라리 죽는 게 낫다”고 말한 것에 대한 당의 경고를 전하기로 한 것이다. 김 사무총장은 “사고 당협위원장 재선임과 교체, 새로운 당협위원장 공모가 조강특위 역할”이라며 “이 역할을 벗어나는 건 당헌·당규 위반”이라고 말했다.
비대위의 이날 결정은 그동안 전 위원의 ‘돌발 행보’에 대한 당내 불만이 쌓여온 것을 다독이는 한편 ‘비대위 책임론’으로 이어지는 것을 차단하려는 조처로 보인다. 전 위원은 임명 직후부터 바른미래당과의 통합전당대회 구상, 태극기부대 포용,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관련 끝장토론 요구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 ‘폭탄 발언’을 쏟아내 갈등을 심화시킨다는 비판을 받았다.
결국 전 위원을 해촉하는 수순으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이날 “조강특위 임면에 대해 오늘 아침 알아보게 했다”며 “(임명이 아닌) ‘면’은 별다른 규정이 없어 비대위원장이 결정해도 되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해촉도 고려할 수 있다는 뜻이다. 비대위 핵심 관계자는 “전 위원이 조강특위에 주어진 당협위원장 선임 전권을 넘어 전당대회 시기까지 흔들고 있는데 이는 비대위도, 당 대표도 하기 어려운 일”이라며 “자진사퇴한다 해도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 위원은 기자들에게 보낸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해 “일요일(11일)까지 묵언수행하겠다”고만 밝혔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