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가 지난 2017년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지사 이전 계획을 세우면서 세종시 아파트를 특별공급(특공)으로 분양받은 직원 중 30%가 세종시 바깥으로 인사 발령이 난 것으로 확인됐다. 세종시에 근무하지 않으면서 특별분양 이득만 챙긴 셈이다.
양금희 국민의힘 의원이 28일 한전으로부터 받은 세종시 특공분양대상자 192명 근무지 현황을 보면, 이들 중 59명이 서울·인천·나주·원주 등 다른 본사·지사에서 근무 중이었다. 세종시 아파트를 분양받았지만 지금은 다른 지역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이중 16명은 특공을 받은 직후인 2018년에 바로 인사발령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한전은 2017년 세종시 조치원읍에 있는 세종지사와 대전에 있는 세종전력지사·대전중부건설본부 등 3개 사업소를 통합한 ‘세종통합사옥’을 행복도시 안으로 이전하려고 세종시 소담동 부지를 사들였다. 지난해 11월 착공했고, 완공은 내년 12월이다. 직원 59명이 결과적으로 세종지사 근무와 관계 없이 아파트 특별분양을 받게 된 것이다.
세종시 특공은 중앙부처, 공공기관 등 세종시 이전기관 직원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신규 분양 아파트의 절반을 배정하도록 혜택을 준 제도다. 그러나 공무원들이 세종시로 이주하지도 않은 채 아파트를 분양받은 뒤 이를 되팔아 시세차익만 누린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 최근 관세평가분류원 직원들이 특별공급을 받았으나, 결과적으로 관평원이 세종시로 이전하지도 않은 일이 뒤늦게 드러나는 등 운용의 허술함이 지적됐다. 정부는 이날 세종시 특공 제도를 폐지하기로 결정했고 공직자 특공 과정에 문제점은 없었는지 2만5천호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이고 있다.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