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30일 오후 청와대 상춘재에서 과 ‘방송의 날’을 기념하는 특별회견을 녹화하고 있다. 노 대통령의 회견은 31일 저녁 방영됐다. 청와대 제공
KBS 회견서…“작통권 환수 반대를 위한 반대 안돼”
노무현 대통령이 31일 ‘바다이야기’ 등 사행성 오락기 파문을 두고 국민에게 사과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한국방송>과의 특별회견에서 “국민들한테 너무 큰 걱정을 끼쳐드린 데 대해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마음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내가 진작 사과하지 않았던 것은 위로 수준의 사과라면 쉽게 할 수 있는 것이지만, 정책적 책임이나 오류에 대한 책임으로서의 사과는 좀더 신중해야 된다고 생각해서 좀 뒤로 미루고 있었다”며 “정부에서는 특별팀을 만들어서 전체를 분석하고,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완벽하게 세우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권력형 게이트는 없다’는 자신의 발언이 검찰 수사에 제한을 가한 것이라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지금은 가이드라인 자체가 존재하지 않고, 대통령의 말에 수사 수준을 맞추는 검찰은 이미 없어졌다”며 “조카 이름이 마구 떠오르고 있는데, 최소한 그 점에 대해서 자기 해명 정도는 허용이 되어야 대통령도 숨을 쉬고 살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노 대통령은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문제와 관련해, “전시 작통권 환수는 한나라당 정부의 대통령인 노태우 정부가 세운 계획이고, (참여정부는) 거기에 따라서 하는 것”이라며 “한나라당이 이렇게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면 안 된다”고 한나라당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그는 “94년 김영삼 정부가 평시 작전통제권을 환수하면서 ‘제2의 창군’이라고 말했고, 2000년경까지 전시 작통권을 환수할 것이라는 계획을 명백하게 세웠다”며 “지금 반대하는 일부 신문들도 그때 잘했다고 칭송하며 ‘전시 작통권도 빠른 시일 안에 환수해야 한다’고 말해놓고 지금 와서 왜 뒤집느냐”고 일부 언론의 보도태도 문제도 짚었다.
그러나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노 대통령의 사과에 대해 “국민의 영혼을 팔아 나라를 어지럽게 한 책임을 통감하는 진정성이 안 보인다”고 혹평했다. 또 전시 작통권 환수와 관련한 한나라당 비판에는 “자주를 팔아 또다시 재미를 보려는 대통령의 적반하장”이라고 비판했다. 신승근 성연철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