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3차 남북정상회담이 8월 말 또는 9월 초에 평양에서 열릴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은 13일 판문점 북쪽 지역인 통일각에서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리선권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을 수석대표로 한 남북고위급회담을 열어 3차 회담 시기와 장소, 방북단 규모 등을 확정한다.
남북 관계에 밝은 정부 고위 관계자는 12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정상회담 장소는 평양으로 결정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또 정상회담 시기와 관련해선 “시기 문제는 남북이 각자의 안을 갖고 있으므로 협의를 해봐야 안다”면서도 “북이 11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외국인들의 북한 단체관광을 금지하기로 한 것 역시 남북정상회담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이 기간 중에 문 대통령의 평양 방문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내일(13일) 남북고위급회담에서 4·27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남북정상회담의 시기와 장소, 그리고 방북단의 규모 등이 합의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남북 정상은 판문점 선언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가을 평양을 방문하기로 하였다”고 합의한 바 있다. 김 대변인은 ‘평양회담인가’를 묻는 질문에 “제가 지난번(10일)에 ‘평양이 기본이지만, 평양만이라고 하기는 어렵다’는 취지의 말씀을 드렸는데, 그것은 원론적인 말이다.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너무 ‘제3의 장소’로 (언론이) 해석을 해서 부담스러웠다”고 덧붙였다. 사실상 문 대통령의 ‘평양 방문’에 무게를 실은 발언이다.
정상회담 시기 역시 판문점 선언에는 ‘가을’이라고 명시돼 있으나 이달 말 또는 다음달 초로 앞당기는 방안을 남북이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변인은 “남북 사이에 이미 여러 공식·비공식 채널이 많이 있다. 여러 채널을 통해 내일 회담도 함께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남북은 그동안 서훈 국가정보원장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사이의 국가정보원-통일전선부 라인을 기본으로 물밑 협의를 이어온 것으로 전해졌다. 또 다양한 남북 채널을 통해 3차 남북정상회담의 시기·장소에 관해서도 상당 부분 의견을 좁힌 것으로 보인다.
김보협 이제훈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