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임진강 수해 사과를”
정부는 8일 임진강 야영객 사망·실종 사태와 관련해, 북한에 사과와 추가 해명을 요구했다. 이에 대한 북쪽의 대응에 따라선 앞으로 남북관계에 또 하나의 걸림돌이 생겨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이날 ‘통일부 대변인 논평’을 통해 “북한의 무단방류로 우리 국민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데 대해 책임 있는 북한 당국의 충분한 설명과 사과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7일에는 북한 통지문에 대해 ‘미흡한 해명’이라며 유감을 표했지만, 사과와 진전된 해명을 추가 요구하지는 않았다.
정부는 또 논평에서 “앞으로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남북 공유하천의 피해 예방과 공동이용 제도화를 위한 남북간 협의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천해성 통일부 대변인은 “우리 쪽이 먼저 (남북 협의를 위한) 회담을 제의하는 데 대해서는 확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7일에는 “남북간 협의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김성환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이날 관련 브리핑에서 ‘북쪽의 수공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더 분석을 해봐야 정확한 의도를 알 수 있을 것”이라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분석중”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이번 사태와 관련해 “무고한 국민 6명이 희생돼 가슴이 아프다”며 “진상을 정확히 파악해 다시는 그런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한편, 경찰은 이날 임진강 홍수 예·경보 시스템의 보조통신인 이동통신(CDMA) 번호가 다시 등록됐는데도 한국수자원공사 담당자가 이를 확인하지 않아 보조통신의 불통 상태가 계속된 사실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손원제 김기성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