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25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새해 내외신 기자회견에 앞서 인사를 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노 대통령은 열린우리당의 탈당 움직임과 부동산 문제 등 주요 현안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 당적 정리할것 - 우리당으로 중도통합
- 선거구도 바뀐다 - 막판까지 공세대응
- 선거구도 바뀐다 - 막판까지 공세대응
한나라·민주노동당 강력반발
노무현 대통령이 25일 새해 기자회견에서 열린우리당 내분 사태와 12월 대선 등 민감한 정치 현안을 두고 자신의 생각을 상세히 밝혔다. 노 대통령의 발언에 한나라당은 “정권 연장을 위해 선거운동을 한다”고, 민주노동당은 “심각한 정치적 논란을 가져올 것”이라며 반발했다.
노 대통령은 먼저 열린우리당 신당 논란과 관련해 “저 때문에 당이 안 되면 제가 당적을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당에 필요한 것은 내가 아니라 그 사람들이고, 지역당을 만들겠다는 취지가 아니면 열린우리당으로도 중도통합을 할 수 있다”며 “신당을 하겠다는 분들과 협상을 하겠다”고 밝혔다. 당내 통합신당파의 탈당 요구를 “신당은 지역주의 회귀”라며 반박해 온 기존 태도를 사실상 철회한 것이다.
노 대통령은 연말 대선 쟁점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경제라고 하는데, 경제 정책은 차별화가 불가능하다. 경제는 기본이고 사회복지, 사회투자, 민주주의, 공정한 사회질서 등에서 역사적 차별성을 갖고 전선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 대목에서 1997년과 2002년 대선에서 역전승을 거둔 사례를 상기시키며, “지금 열린우리당 지지율이 낮다고 포기하고 다 떠나지 말라. 희망을 갖고 열심히 가면 좋은 일이 있을 수 있다. 선거구도는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내게 복안이 있는 것이 아니고 그냥 일반적인 관측”이라는 해명을 덧붙였다. 하지만 그의 발언은 올 한 해 정권 재창출과 관련해 자신의 정치적 소임을 다하겠다는 뜻을 담은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인사권과 함께 대통령의 마지막 남은 정치적 자산으로 규정했던 당적 이탈 문제를 자청해서 털어 버렸다. ‘지역당 회귀’를 막는 게 정권 재창출의 핵심이라는 기존 구상이 여당 의원들의 연쇄 탈당으로 한계에 부닥치자, 궤도 수정을 한 것 같다. 노 대통령은 지지자들에게 “내가 당적을 정리할 것이니, 내가 부족해서 밉더라도 모든 잘못을 용서하고 나와 우리당을 결부하지 말고 (열린우리당을) 도와 달라”고 호소했다.
노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앞으로 어떤 정치적 행보를 할지 몇가지 단서를 제공했다.
첫째, “옛날에도 당이 위기에 처했을 때 전당대회를 해 당을 수습하고 위기를 극복하고, 당의 뿌리를 굳건히 해 당을 지켰다”고 말했다. 2월14일의 전당대회에서 신당 창당을 결정하면 반대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둘째, 그는 “내가 후보가 된 게 (2002년) 2~3월인데 그 뒤 (지지율이) 바닥까지 갔다 올라왔다. 이제는 막판에 올라가도 되지 않나. 다시 회복된 게 아마 10월 말이다”라고 말했다. 당을 추슬러 시간을 두고 지지율을 회복하면서 10월께 후보를 정해도 승산이 있다는 정치적 훈수로 들린다. 셋째, 노 대통령은 대선 막판까지 한나라당 등의 정치적 공격에 반드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개헌 제안, 남북 정상회담 등) 다 대선과 관련 있다고 덮어씌울 수 있다. 나를 공격하는 모든 사람에게 응답할 것이다. 내일이 선거일이라도 부당하게 공격당하면 반드시 해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 회견에 야당은 강하게 반발했다. 나경원 한나라당 대변인은 “사실을 왜곡하고 호도하며 정권 연장을 위한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고, 박용진 민주노동당 대변인은 “대통령의 언급이 국민에게 특정 정당을 지지하도록 유도하고 호소하는 발언이 된 것은 매우 심각한 정치적 논란을 가져올 수 있다”고 비판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첫째, “옛날에도 당이 위기에 처했을 때 전당대회를 해 당을 수습하고 위기를 극복하고, 당의 뿌리를 굳건히 해 당을 지켰다”고 말했다. 2월14일의 전당대회에서 신당 창당을 결정하면 반대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둘째, 그는 “내가 후보가 된 게 (2002년) 2~3월인데 그 뒤 (지지율이) 바닥까지 갔다 올라왔다. 이제는 막판에 올라가도 되지 않나. 다시 회복된 게 아마 10월 말이다”라고 말했다. 당을 추슬러 시간을 두고 지지율을 회복하면서 10월께 후보를 정해도 승산이 있다는 정치적 훈수로 들린다. 셋째, 노 대통령은 대선 막판까지 한나라당 등의 정치적 공격에 반드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개헌 제안, 남북 정상회담 등) 다 대선과 관련 있다고 덮어씌울 수 있다. 나를 공격하는 모든 사람에게 응답할 것이다. 내일이 선거일이라도 부당하게 공격당하면 반드시 해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 회견에 야당은 강하게 반발했다. 나경원 한나라당 대변인은 “사실을 왜곡하고 호도하며 정권 연장을 위한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고, 박용진 민주노동당 대변인은 “대통령의 언급이 국민에게 특정 정당을 지지하도록 유도하고 호소하는 발언이 된 것은 매우 심각한 정치적 논란을 가져올 수 있다”고 비판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