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준 특별수사팀’ 구성 배경
‘다스 실소유주’ 수사했던 특수1부 중심 팀 꾸려
대선전 의혹 규명 여부 이 후보쪽 수사협조에 달려 검찰이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 후보와 김경준 비비케이(BBK) 대표 관련 의혹 수사를 위해 특별수사팀을 꾸린 것은 가급적 대선 전에 이 후보와 연관된 각종 의혹을 규명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검찰이 김경준씨의 주가조작 혐의 등을 수사했던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1부(부장 강찬우) 대신 이 후보의 큰형 이상은씨와 처남 김재정씨가 대주주로 있는 ㈜다스의 실소유주가 누구인지를 수사했던 특수1부(부장 최재경)를 중심으로 수사팀을 구성한 것은 수사의 초점이 김씨보다 이 후보 쪽에 있음을 내비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당시 특수1부는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 후보인지를 수사했으나, “김경준씨를 조사하지 않으면 결론을 내릴 수 없다”며 김씨를 참고인중지 처분했다. 검찰은 다스가 지분 구조상 혼자서 독자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비비케이에 190억원을 투자하게 된 경위를 역추적하면 다스의 실소유주를 확인할 수 있다고 판단해 비비케이 대표인 김씨의 진술이 필요하다고 결론 내렸다. 만약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 후보인 것으로 밝혀지면, 이 후보는 “3천만원 이상의 주식은 행정자치부의 주식백지신탁심사위원회에 신고해야 한다”는 공직자윤리법을 위반한 것이 된다. 검찰은 한나라당 경선이 한창이던 지난 8월 다스의 협력업체를 압수수색했다. 이 후보가 당시 높은 지지율로 경선 승리가 유력했던 상황임에도 수사 범위를 확대한 것은 검찰이 이 사안에 대해 어떤 심증을 갖고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검찰은 김경준씨가 귀국하는 대로 이 후보의 다스 차명보유와 주가조작 연루 의혹과 함께 금융조세조사1부에 계류 중인 김경준씨의 주가조작과 횡령 사건도 동시에 수사한다는 방침이다. 김홍일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는 특별수사팀을 꾸린 이유에 대해 “대선을 불과 40여일 앞둔 검찰로서는 최대한 신속하고 철저하게 사건을 수사해서 실체를 규명하는 게 긴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검찰 수사가 대선 전에 결론이 내려질지는 이 후보 쪽의 수사 협조 여부도 한 변수다. 당시 다스의 의사결정 구조와 비비케이 투자 결정 과정 등을 잘 알고 있는 회사 관계자들이 대부분 이 후보 쪽과 이해관계를 같이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단 특별수사팀 구성에 검찰의 의지는 담겼지만, 검찰이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건의 수사 결과를 발표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검찰 관계자는 “도곡동 땅 관련 수사는 한나라당 경선 전에 결론을 내는게 옳았지만, 이번 수사는 언제 결과를 발표해야 하는지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대선전 의혹 규명 여부 이 후보쪽 수사협조에 달려 검찰이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 후보와 김경준 비비케이(BBK) 대표 관련 의혹 수사를 위해 특별수사팀을 꾸린 것은 가급적 대선 전에 이 후보와 연관된 각종 의혹을 규명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검찰이 김경준씨의 주가조작 혐의 등을 수사했던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1부(부장 강찬우) 대신 이 후보의 큰형 이상은씨와 처남 김재정씨가 대주주로 있는 ㈜다스의 실소유주가 누구인지를 수사했던 특수1부(부장 최재경)를 중심으로 수사팀을 구성한 것은 수사의 초점이 김씨보다 이 후보 쪽에 있음을 내비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당시 특수1부는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 후보인지를 수사했으나, “김경준씨를 조사하지 않으면 결론을 내릴 수 없다”며 김씨를 참고인중지 처분했다. 검찰은 다스가 지분 구조상 혼자서 독자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비비케이에 190억원을 투자하게 된 경위를 역추적하면 다스의 실소유주를 확인할 수 있다고 판단해 비비케이 대표인 김씨의 진술이 필요하다고 결론 내렸다. 만약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 후보인 것으로 밝혀지면, 이 후보는 “3천만원 이상의 주식은 행정자치부의 주식백지신탁심사위원회에 신고해야 한다”는 공직자윤리법을 위반한 것이 된다. 검찰은 한나라당 경선이 한창이던 지난 8월 다스의 협력업체를 압수수색했다. 이 후보가 당시 높은 지지율로 경선 승리가 유력했던 상황임에도 수사 범위를 확대한 것은 검찰이 이 사안에 대해 어떤 심증을 갖고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검찰은 김경준씨가 귀국하는 대로 이 후보의 다스 차명보유와 주가조작 연루 의혹과 함께 금융조세조사1부에 계류 중인 김경준씨의 주가조작과 횡령 사건도 동시에 수사한다는 방침이다. 김홍일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는 특별수사팀을 꾸린 이유에 대해 “대선을 불과 40여일 앞둔 검찰로서는 최대한 신속하고 철저하게 사건을 수사해서 실체를 규명하는 게 긴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검찰 수사가 대선 전에 결론이 내려질지는 이 후보 쪽의 수사 협조 여부도 한 변수다. 당시 다스의 의사결정 구조와 비비케이 투자 결정 과정 등을 잘 알고 있는 회사 관계자들이 대부분 이 후보 쪽과 이해관계를 같이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단 특별수사팀 구성에 검찰의 의지는 담겼지만, 검찰이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건의 수사 결과를 발표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검찰 관계자는 “도곡동 땅 관련 수사는 한나라당 경선 전에 결론을 내는게 옳았지만, 이번 수사는 언제 결과를 발표해야 하는지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