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인택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9일 오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긴장된 표정으로 자리에 앉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의혹 백화점’ 현인택 후보자 도덕성 검증
부친 소유 땅→“회사 직원들 위해 팔고 되샀다”
논문 이중게재→“요약본은 논문 일부 아니다”
교통법규 위반·자녀 위장전입→“죄송하게 생각”
부친 소유 땅→“회사 직원들 위해 팔고 되샀다”
논문 이중게재→“요약본은 논문 일부 아니다”
교통법규 위반·자녀 위장전입→“죄송하게 생각”
‘비리의혹 백화점’이라 불린 현인택 통일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9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선 여야를 가리지 않고 도덕성을 검증하는 질의가 이어졌다. 현 후보자는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하거나, 오히려 의혹들과 맞서 “채찍질로 알고 열심히 하겠다”며 자진사퇴의 뜻이 없음을 분명히했다.
먼저 현 후보자의 부동산 관련 의혹이 도마에 올랐다.
문학진 민주당 의원은 “아버지가 소유한 제주시 택시회사와 회사 부지 땅을 2006년 2월 (등재이사) 고아무개씨에게 판 뒤 현 후보자가 10여일 뒤 그 땅을 공시지가보다 싸게 샀는데, 편법증여 아니냐”고 따졌다. 박선숙 민주당 의원은 “고아무개씨는 그해 부친 회사 경영에 대하여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사람이어서, 부친과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의한 특수관계자”라며 “특수관계자에게 판 부동산을 그 특수관계자가 다시 (땅을 판 사람의) 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에게 3년 이내에 판 경우는 증여로 보기 때문에 현 후보자가 증여세를 내야 하는데 내지 않았다”며 편법증여의 근거를 댔다.
그러자 현 후보자는 ‘3자’를 끼워넣어 세금도 내지 않은 채 공시지가보다 싼 가격으로 부친의 땅을 넘겨받은 것 아니냐는 의혹 등에 대해 “정상적 매매관계로 이해하면 그런 의혹을 얘기할 수 있지만 이건 부친이 정상가격을 받고 판 관계가 아니다”라며 회사와 땅 매매가 시가와 다르게 이뤄졌음을 부분적으로 인정했다. 그러면서 그는 “부친이 택시회사를 타인에게 넘기면 직원들이 갈 곳이 없어 일하던 직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판 것이고, 다시 토지를 타인에게 팔면 회사가 그 자리에서 떠나야 하니 나에게 사 달라고 해서 그렇게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논문을 이중으로 싣거나 논문을 허위로 등록해 연구업적을 부풀렸다는 의혹도 논란이 됐다.
이미경 민주당 의원은 “2003년 논문에 포함된 영문초록이 2005년 두뇌한국21(BK21)의 지원을 받아 작성한 논문에 그대로 자기표절돼 실려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이 “학자적 양심으로 사퇴할 용의가 없냐”고 하자, 현 후보자는 “그건 사실과 다르다. 영문초록은 요약본으로서 논문의 일부가 아니다”라고 맞받았다.
그러나 현 후보자는 박선영 자유선진당 의원이 “이중 게재된 논문을 자기 연구성과라고 기재해 나에게 제출한 서면 답변은 어떻게 된 것이냐”고 묻자, “그건 (답변과정에서의) 행정착오”라고 피해갔다.
다만, 현 후보자는 명백히 드러난 위반사항에 대해선 사과 뜻을 밝혔다.
현 후보자는 김충환 한나라당 의원이 2002년부터 열두차례 교통법규를 위반한 내용을 지적하자,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이범관 한나라당 의원이 자녀 위장전입 경위를 설명하라며 “잘못한 것은 사실 아니냐”고 묻자, “주민등록 표기에서, 행정편의로 한 것이지만, 그 자체는 오기였고,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 후보자는 2001년 미국에 머물다 귀국에 앞서 자녀의 주민등록을 제3자에 임대 중이던 본인 소유 서울 서초동 아파트로 옮기면서 자녀를 ‘임차인의 친척’으로 적어 문제가 됐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