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추가건설은 57%가 반대
최근의 정책 현안 가운데, 학교 무상급식엔 찬성(70.6%), 원전 추가건설엔 반대 의견(57.1%)이 많았다.
10명 가운데 7명꼴의 지지를 받은 무상급식은 30대(83.8%)에서 특히 호응이 컸다. 반대는 29.4%로, 50대 이상(41%)에서 높았다. 30대가 무상급식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는 반면, 50대는 자녀가 성장해 무상급식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때문으로 보인다.
무상급식이 이념 및 정치 성향을 가르는 잣대로 인식되는 측면도 나타난다. 스스로를 진보라 꼽는 층에선 80.9%가, 보수라고 생각하는 층에선 52.9%가 찬성 의사를 밝혔다. 중도층은 73%가 지지했다.
이는 여당의 ‘선별 복지’와 야당 쪽의 ‘보편 복지’라는 프레임 대결에 대한 찬반이기도 하다. 민주당 지지자 가운데 87.4%, 한나라당 쪽에선 59.5%가 무상급식을 찬성했다. 오세훈 시장이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추진하고 있는 서울시에선 찬성 비율이 58.5%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서울과 대구·경북(65.4%)을 뺀 모든 지역에서 찬성비율이 전체 평균치보다 높았다.
원전 추가건설에 대해선, 자신을 진보로 보는 이들 가운데 68.4%, 중도층의 54.8%, 보수층의 45.9%가 반대했다. 한나라당 지지자 57.4%는 찬성, 민주당 지지자 65.9%는 반대쪽에 선 것과 상통한다. 지난 4·27 재보선에서 ‘삼척 원전유치’ 문제가 쟁점이 됐던 강원도에선 반대 비율(62%)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소득이 높은층(66.2%)과 고학력층(60% 안팎)의 반대 여론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박명호 교수는 “국민이 효율성보다 안전성을 선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영향도 남아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국가보안법을 놓고선 “부분적으로 개정해야 한다”는 의견과 “북한의 변화에 따라 처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각각 35.6%, 33%로 엇비슷하게 나왔다. 하지만 “전면 폐지해야 한다”는 쪽은 2007년 14.7%에서 8.2%로 줄었다. 지난해 천안함, 연평도 사건과 현 정부 대북 외교 정책 성향의 보수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