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의료·건강

하루에 물 2리터씩 한달을 마셔보니

등록 2017-04-26 11:33수정 2017-04-26 11:48

[이길우의 건강 컬럼] 물은 최고의 건강식품
* 이길우의 기찬몸 바로가기

물을 깨물어 드신 적이 있나요? 액체인 물을 마시는 것이 아니라 우물우물 씹어드시는 분이 있습니다. 그 분은 물을 아주 소중하고 맛있는 음식으로 여깁니다. 음식을 먹으면서 부가적으로 마시는 물이 아니라, 물 자체가 요리라고 생각하고 섭취를 하는 것입니다. 사실 물을 매우 맛있는 음식입니다. 갈증이 나거나, 몸에 열이 났을때 마시는 시원한 물은 최고의 음식입니다. 물은 최고의 건강음식으로 꼽히곤 합니다.

하루에 얼만큼의 물을 마셔야 할까요? 또 언제 마셔야 할까요? 찬물을 마셔야 할까요? 아니면 뜨거운 물을 마셔야 하나요? 전문가들에게 문의를 했습니다.

우선, 왜 물을 마셔야 할까요? 당연히 생명을 유지하는데 수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몸의 60~70%는 수분입니다. 인간 뇌의 75%, 심장의 86%, 근육의 75%, 혈액의 94%, 심지어 뼈의 22%가 수분입니다. 평소보다 수분이 1~2%만 부족해도 심한 갈증과 고통이 따르고, 5%만 부족하면 혼수 상태에 빠집니다. 10%가 줄어들면 심근경색과 심장마비 가능성이 높고, 20% 이상 잃게 되면 생명이 위험합니다. 수분이 부족하면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못해, 체내의 독소가 배출되지 않고 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물은 최고의 건강음식이다
물은 최고의 건강음식이다

 

물의 몸에서 작용을 구체적으로 나열해 봅니다. 체온 조절, 혈압 유지, 노폐물 제거, 산소 운반, 영양소 운반, 면역물질 운반 및 분비, 세포간 정보 전달, 노화 방지, 피부 탄력 유지, 변비 예방 등등 인체의 거의 모든 작동에 수분이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중요하고 활발한 역할을 하는 수분은 몸 안에서 제 역할을 하고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맑고 깨끗한 물이 인체를 통과하면서 이런 저런 역할을 하고, 더럽혀진 채 배출되는 거죠. 하루에 배출되는 수분의 양은 대략 2.6ℓ 정도 된다고 합니다. 대소변으로 배출되는 1.6ℓ, 땀으로 배출되는 0.6ℓ, 호흡을 통해 배출되는 0.4ℓ 입니다. 그러니 이 수치가 정확하다면 매일매일 이만큼의 수분을 보충해 줘야 합니다. 수분 보충은 물을 마시거나, 국이나 과일, 채소 등 음식물을 통해 가능합니다.

물은 옴 안에 들어가 많은 역할을 한다
물은 옴 안에 들어가 많은 역할을 한다

음식물을 통해 하루 0.5ℓ 정도의 수분이 섭취된다고 하니, 결국 물을 적어도 2ℓ를 마셔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하루 물 섭취량은 1.5~2ℓ입니다. 200mℓ가 들어가는 일반적인 컵으로 약 8~10잔 정도입니다. 또 전문가들은 키와 몸무게를 더하고, 100으로 나눈 값이 개인이 마셔야하는 적정한 물의 양이라고도 합니다.

 

물 2ℓ라면 큰 음료수 병 한 병입니다. 적지않은 양입니다. 저는 운동해서 땀을 흘리지 않으면 거의 물을 마시지 않았습니다. 아침 먹으면서 반 컵, 점심 먹으며 한 컵, 저녁의 술자리에 가서는 더욱 물을 안 마십니다. 아무리 넉넉히 잡더라도 500㎖ 이상 먹지 않았습니다. 물론 낮에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 커피나 차를 마십니다. 전문가들은 커피,차나 술은 흡수된 물로 치면 안된다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커피나 술은 체내 수분을 보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소비하는 물질이라고 합니다. 커피나 차에 들어있는 카페인은 콩팥을 자극해 흡수한 수분보다 더 많은 수분을 소변으로 배출시킵니다. 이뇨작용이죠. 술도 알코올 속의 이뇨성분 때문에 더 많은 수분이 소변으로 배출된다고 합니다. 그러니 커피나 차, 술은 수분 섭취에는 도움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하루 2리터 정도의 물을 마시라고 권장한다. 2 리터는 큰 생수병 한병의 부피이다.
전문가들은 하루 2리터 정도의 물을 마시라고 권장한다. 2 리터는 큰 생수병 한병의 부피이다.

저는 한달전부터 하루 2ℓ의 물을 마시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처음엔 2ℓ들이 큰 생수병을 백팩에 넣어 다니며 마셨습니다. 정확한 양을 마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너무 무거워서 500㎖ 들이 생수병을 갖고 다니며 마시고, 물병을 보충했습니다.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마신 셈입니다. 개인적으로 효과는 좋았습니다. 우선 피곤함이 눈에 띄게 줄었고, 비록 소변을 자주 봐야 했지만 속이 편했습니다. 대변의 상태도 한결 좋았습니다. 식사량도 줄어드는 효과를 보았습니다. 물로 배를 채우니 허기짐의 느낌이 크게 줄어든 탓입니다. 또 부작용일 수도 있지만 술자리에서 마시는 술의 양도 늘었습니다. 술 마신 다음날 숙취도 크게 덜했습니다. 혈색도 좋아졌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처음엔 갈증도 없는데 물을 마시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곧 익숙해졌습니다. 저와 가끔 산을 같이 가는 한 젊은 미국인은 항상 백팩에 2ℓ 등이 큰 물병을 갖고 다니며 마신지가 오래됐다고 합니다. 그는 한때 미 해병대원으로 아프카니스탄 전투에도 참여하기도 했는데, 멋진 체형과 뛰어난 체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이 항상 마시는 물이 최고의 몸 컨디션을 유지하게 하는 비결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물을 ‘많이’ 마시는 것에 반대하기도 합니다. 위장에 수분이 많아지면 소화를 못 시켜 탈이 난다는 것입니다. 농촌에서 오랫동안 의료활동을 한 의사는 과도한 수분 섭취가 많은 농촌의 노인들이 위장병을 일으키는 요인이라고 말합니다. 즉, 식사하면서 막걸리 한사발을 들이키고, 냉수 마시고, 식사후에 커피도 마시는 것이 농촌 노인들의 생활 습관이라고 합니다. 위장에 탈이 나서 오신 노인들을 위장 상태를 보면 지나친 수분 섭취로 위장이 늘어지고, 제 역할을 못하는 것을 많이 보았다고 합니다.

물을 갈증이 생기기 전에 마셔야 하루 2리터를 마실 수 있다.
물을 갈증이 생기기 전에 마셔야 하루 2리터를 마실 수 있다.

이글 초반부에 물을 씹어 드신다고 소개한 분은 오랜 시일 전통 무술을 수련하고, 젊은 시절 물리 치료사를 했던 건강 전문가입니다. 하지만 평소 몸이 차고 위장에 가끔 통증이 있어 새로운 수분 섭취 방법을 써 보기로 했다고 합니다. 그 방법은 식사 때는 수분 섭취를 최소화 하는 것입니다. 국도 안 먹고, 찌게도 피하고, 식사 전후에 물도 안 마십니다. 그리고 식사후 두시간이 경과한 뒤에 물을 마시는 것입니다. 마시는 물은 한꺼번에 많이 마시지 않고 갈증을 삭이면서 홀짝홀짝 여러번 마시는 것입니다. 마치 아궁이에 장작을 피울때 마른걸 넣으면 잘 타는데 젖어있는 걸 넣으면 연기만 나고 잘 타지않는 것처럼, 마른 반찬과 밥이 위장에 들어가면 위산이 잘 분비되어 원활히 소화가 된다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음양의 원리를 물과 식사에 적용시켜 자연 건강법을 주창한 <밥따로 물따로>의 저자 이상문 선생이 추천하는 물 섭취 방법입니다. 그는 영양가 많은 음식일지라도 몸 속에서 완전연소가 되지 않는다면 장 내부에는 음식 찌꺼기와 독가스만 남게 되어 건강을 오히려 해치게 된다고 합니다. 밥을 물에 적시지 말아야 위산이 희석 되지 않고, 완전 소화를 돕는다는 것이죠. 그는 인체의 배는 땅에 해당하고 머리는 하늘에 해당 하는데, 땅은 음이라 무겁고 차가워 따뜻한 불의 기운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배는 항상 따뜻하게 해줘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따뜻하고 물기가 적은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이 방법을 쓴 건강전문가는 보름만에 몸이 더워지면서 대소변의 상태가 매우 좋아졌다고 합니다. 처음엔 물없이 식사하기가 매우 어려웠지만 두시간뒤에 마시는 물의 맛은 평소 마시던 물보다 훨씬 좋았고, 몸의 컨디션도 좋아져서 이 방법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랫동안 인체를 관찰해 온 이 건강전문가는 찬 성질의 몸을 지닌 사람은 가능한 따뜻한 물을 마시고, 더운 성질의 몸을 지닌 사람은 찬 물을 마셔야 몸 안에서 조화를 이룬다는 것입니다. 특히 손발이 남보다 차가운 사람은 가능한 냉장고에서 막 꺼낸 찬물을 마시지 말라고 조언했습니다.

인체 세포는 수분이 부족하면 빨리 노화한다.
인체 세포는 수분이 부족하면 빨리 노화한다.

   

물론 전문가들은 물을 많이 마신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고 합니다. 너무 많이 마시면 부족한 것만큼이나 해롭다는 것이죠. 물을 너무 많이 마시면 저나트륨혈증에 빠질 수 있고, 종아리나 눈 아래, 손 등이 붓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저는 당분간 하루 2ℓ 마시는 습관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스스로 생각하면 얼만큼 물을 섭취하는 지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물 섭취 방법 가운데 어떤 방법을 쓰는 것이 내 몸에 좋은 지는 스스로 결정해야 합니다. 노화는 인체의 세포에 수분이 부족해 급격히 온다고 합니다. 인위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면 피부 노화도 더디 올 것입니다. 화장품에 의존하지 말고 피부 세포에 생명력을 불어 넣는 방법은 물을 마시는 것이 최고일 것입니다.

글 이길우 선임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