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메인 페이지.
국정감사 무더기 증인 신청 숨은 의도는
한나라당이 포털 관계자들을 무더기로 국정감사 증인으로 신청했다.
박형준 한나라당 의원실은 20일 “오는 10월에 열릴 문화관광부 국정감사 때 네이버와 다음의 뉴스팀장을 증인으로 신청했다”고 밝혔다. 박 의원실의 정현권 보좌관은 “사실상 언론의 역할을 하고 있는 포털이 그만한 책임을 지고 있지 않다”며 “문화관광부 신문과장, 미디어평론가 변희재, 다음·네이버 뉴스팀장 4명을 증인으로 채택해 포털뉴스의 운영실태를 집중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차명진 의원실도 포털사의 대표를 국감 증인으로 채택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차 의원실의 송세리아 보좌관은 “중소 콘텐츠 제공업체들과 불공정 거래의 의혹이 있는 포털을 조사하기 위해 포털 대표들의 증인 채택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민주당 이승희 의원실도 “뉴스를 포함한 포털의 전반적 불공정거래 행위를 조사하기 위해 포털 관계자들의 증인 채택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민사회단체에서 주로 제기했던 포털 문제에 대해 정치권이 본격적으로 문제제기를 하고 나선 것이다.
그러나 포털 업계에서는 한나라당의 증인 신청 배경에 의구심을 표명하고 있다. 겉으로 내세우는 것과는 다른 정치적인 계산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영향력이 커진 포털 길들이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여의도연구소 “포털, 뉴스 자의적 편집으로 넷심(Net心) 이끌고 있다”
한나라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소장 임태희 의원·여연)는 19일 포털뉴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연구한 ‘포털뉴스 무엇이 문제인가’보고서를 냈다. 여연은 보고서를 통해 “포털 뉴스는 100여개의 언론사로부터 하루 4천~1만개의 뉴스를 공급받아 자의적 선정 및 편집과정을 거쳐 새로운 의제를 형성하면서 넷심(Net心)을 이끌고 있다”며 “포털뉴스의 편집은 네티즌이 많이 읽을 수 있도록 선정적으로 제목을 고쳐 원래 의도와는 다른 기사 제목으로 바뀌고 있으며, 국민의 의식주에 밀접한 기사보다는 연예ㆍ스포츠 기사위주로 취사선택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포털이 신문법 및 언론중재법의 규제를 받고 있는 것이 아닌 정보통신법의 규제를 받고 있으며, 기자를 두고 취재행위를 하고 있지만 언론사로 등록되지 않는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포털사에 대하여 사실상 언론사에 준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하는 법적ㆍ제도적 보완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관계법 개정을 요구했다. 보고서 내용 중 특히 눈에 띄는 것은 포털 기사의 편향성을 지적한 부분이다. 보고서는 포털의 메인기사를 분석한 결과 조ㆍ중ㆍ동의 기사는 약 10%가 메인화면에 노출되는 반면 연합·노컷·오마이뉴스·프레시안의 기사는 약 50% 이상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데일리안〉,〈업코리아〉 등 노무현 정부에 비판적인 신문의 기사는 홀대받고 있다는 것이다. 또 지난 5.31 지방선거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불리한 기사가 주요하게 노출되었고, ‘메구미 부친 방한’ 과 같은 소식은 전혀 다루어지지 않았다는 내용도 담고 있다. 보고서를 작성한 나경태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새로운 사실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 팽배해 있던 포털뉴스의 문제점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나 연구원은 “이번 보고서가 국감 때 영향을 주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그건 의원들이 알아서 판단할 일”이라고 여운을 남겼다. 보고서는 이미 한나라당 의원들에게 배포됐고 국감때 기초자료로 사용될 예정이다. 한나라당의 한 의원실 보좌관은 “이미 보고서가 의원실에 배포됐으며 추가조사를 거쳐 국감때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 “해명 자료 만들것” <네이버>는 보고서 대해 “기본적 팩트조차 틀렸다”는 입장이다. 네이버 홍보팀의 이상훈 서비스PR파트장은 “보고서가 사실과 다른 점이 많은 것으로 판단돼 공식 해명자료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보고서가 인용한 대부분의 데이터는 민언련과 같은 시민단체에서 이미 발표한 내용이다. 나경태 연구원도 “대부분 기존에 나왔던 자료를 참고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네이버는 보고서가 사용한 기초자료인 시민단체의 통계 자체가 신빙성이 없는 자료라고 보고 있다. 실례로 보고서에서 네이버와 한 뉴스 제공 업체간의 계약서라고 공개한 내용은 네이버가 아닌 다른 포털인 것으로 판명돼, 여연쪽에서 급히 내용을 삭제하기도 했다. 정치권의 ‘포털 견제’ 왜? “대선 앞두고 본격적인 포털 길들이기” 정치권의 포털뉴스에 대한 문제제기는 꾸준히 있어왔다. 박찬숙·노웅래 의원은 2005년 11월 포털을 ‘인터넷신문’과 ‘인터넷언론’으로 정의해 언론중재법 대상에 포함시키고, ‘인터넷피해구제심의위원회’ 및 ‘게시중지청구권’ 도입하는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심재철 의원은 지난 6월 포털사이트에서 자의적 편집 조회수 조작을 하면 1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을 내도록하고, 포털뉴스 자문기구 설치를 골자로 하는 신문법 개정안을 냈다. 이승희 의원도 포털이 독자적 기사생산을 해야 신문법에 적용을 받는 현행 조항을 삭제해 포털을 언론에 등록시켜야 한다는 내용의 신문법 개정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여기에 차명진 의원, 이승희 의원 등이 뉴스문제를 포함한 전반적인 ‘공정거래’의 차원에서 문제제기를 할 예정이다. 이승희 의원실의 김정훈 비서관은 “이미 포털의 불공정거래 의혹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에 해석을 내려달라고 부탁했는데 해석이 곤란한다는 애매한 답변이 돌아와 본격적으로 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정치권의 포털 견제의 강도가 갈수록 심해지는 것에 대해서 내년 대선을 의식한 ‘길들이기’가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경미디어연구소의 최진순기자는 “유사언론인 포털을 더이상 두고 볼 수 없다는 정치권의 인식도 있었지만, 내년 대선을 앞두고 본격적인 포털 길들이기가 시작된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최 기자는 “아직 관련 법제도 미비한 가운데 포털 관련자들을 무조건적으로 국감장에 세우는 것이 적절한가에 대해 의문이 든다”라며 “현황 파악을 하는 자리라면 꼭 그곳이 국감장일 필요가 있느냐”고 덧붙였다. <한겨레> 온라인뉴스팀 이정국 기자 jglee@hani.co.kr
미디어 다음 메인 페이지.
한나라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소장 임태희 의원·여연)는 19일 포털뉴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연구한 ‘포털뉴스 무엇이 문제인가’보고서를 냈다. 여연은 보고서를 통해 “포털 뉴스는 100여개의 언론사로부터 하루 4천~1만개의 뉴스를 공급받아 자의적 선정 및 편집과정을 거쳐 새로운 의제를 형성하면서 넷심(Net心)을 이끌고 있다”며 “포털뉴스의 편집은 네티즌이 많이 읽을 수 있도록 선정적으로 제목을 고쳐 원래 의도와는 다른 기사 제목으로 바뀌고 있으며, 국민의 의식주에 밀접한 기사보다는 연예ㆍ스포츠 기사위주로 취사선택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포털이 신문법 및 언론중재법의 규제를 받고 있는 것이 아닌 정보통신법의 규제를 받고 있으며, 기자를 두고 취재행위를 하고 있지만 언론사로 등록되지 않는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포털사에 대하여 사실상 언론사에 준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하는 법적ㆍ제도적 보완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관계법 개정을 요구했다. 보고서 내용 중 특히 눈에 띄는 것은 포털 기사의 편향성을 지적한 부분이다. 보고서는 포털의 메인기사를 분석한 결과 조ㆍ중ㆍ동의 기사는 약 10%가 메인화면에 노출되는 반면 연합·노컷·오마이뉴스·프레시안의 기사는 약 50% 이상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데일리안〉,〈업코리아〉 등 노무현 정부에 비판적인 신문의 기사는 홀대받고 있다는 것이다. 또 지난 5.31 지방선거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불리한 기사가 주요하게 노출되었고, ‘메구미 부친 방한’ 과 같은 소식은 전혀 다루어지지 않았다는 내용도 담고 있다. 보고서를 작성한 나경태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새로운 사실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 팽배해 있던 포털뉴스의 문제점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나 연구원은 “이번 보고서가 국감 때 영향을 주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그건 의원들이 알아서 판단할 일”이라고 여운을 남겼다. 보고서는 이미 한나라당 의원들에게 배포됐고 국감때 기초자료로 사용될 예정이다. 한나라당의 한 의원실 보좌관은 “이미 보고서가 의원실에 배포됐으며 추가조사를 거쳐 국감때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 “해명 자료 만들것” <네이버>는 보고서 대해 “기본적 팩트조차 틀렸다”는 입장이다. 네이버 홍보팀의 이상훈 서비스PR파트장은 “보고서가 사실과 다른 점이 많은 것으로 판단돼 공식 해명자료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보고서가 인용한 대부분의 데이터는 민언련과 같은 시민단체에서 이미 발표한 내용이다. 나경태 연구원도 “대부분 기존에 나왔던 자료를 참고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네이버는 보고서가 사용한 기초자료인 시민단체의 통계 자체가 신빙성이 없는 자료라고 보고 있다. 실례로 보고서에서 네이버와 한 뉴스 제공 업체간의 계약서라고 공개한 내용은 네이버가 아닌 다른 포털인 것으로 판명돼, 여연쪽에서 급히 내용을 삭제하기도 했다. 정치권의 ‘포털 견제’ 왜? “대선 앞두고 본격적인 포털 길들이기” 정치권의 포털뉴스에 대한 문제제기는 꾸준히 있어왔다. 박찬숙·노웅래 의원은 2005년 11월 포털을 ‘인터넷신문’과 ‘인터넷언론’으로 정의해 언론중재법 대상에 포함시키고, ‘인터넷피해구제심의위원회’ 및 ‘게시중지청구권’ 도입하는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심재철 의원은 지난 6월 포털사이트에서 자의적 편집 조회수 조작을 하면 1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을 내도록하고, 포털뉴스 자문기구 설치를 골자로 하는 신문법 개정안을 냈다. 이승희 의원도 포털이 독자적 기사생산을 해야 신문법에 적용을 받는 현행 조항을 삭제해 포털을 언론에 등록시켜야 한다는 내용의 신문법 개정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여기에 차명진 의원, 이승희 의원 등이 뉴스문제를 포함한 전반적인 ‘공정거래’의 차원에서 문제제기를 할 예정이다. 이승희 의원실의 김정훈 비서관은 “이미 포털의 불공정거래 의혹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에 해석을 내려달라고 부탁했는데 해석이 곤란한다는 애매한 답변이 돌아와 본격적으로 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정치권의 포털 견제의 강도가 갈수록 심해지는 것에 대해서 내년 대선을 의식한 ‘길들이기’가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경미디어연구소의 최진순기자는 “유사언론인 포털을 더이상 두고 볼 수 없다는 정치권의 인식도 있었지만, 내년 대선을 앞두고 본격적인 포털 길들이기가 시작된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최 기자는 “아직 관련 법제도 미비한 가운데 포털 관련자들을 무조건적으로 국감장에 세우는 것이 적절한가에 대해 의문이 든다”라며 “현황 파악을 하는 자리라면 꼭 그곳이 국감장일 필요가 있느냐”고 덧붙였다. <한겨레> 온라인뉴스팀 이정국 기자 jglee@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