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논술
37. 공익과 사익의 충돌과 조화
38. 유전자가 모든 것을 지배하는가?
39. 대표자를 선출하는 다양한 방법 통합논술 교과서 / 이 주제가 왜 중요한가 유전자는 생물체 개개의 유전 형질을 담당하는 인자다. 유전자의 본체는 디옥시리보핵산(DNA)인데, 디엔에이가 유전물질이라는 것은 20세기에 들어 밝혀졌다. 디엔에이의 구조는 20세기 중반이 될 때까지도 베일에 가려져 있다가 1953년 생물학자인 제임스 왓슨과 물리학자인 프란시스 크릭에 의해 알려졌다. 이들은 화학 분석과 엑스(X)선 회절분석법 등을 종합해 디엔에이가 이중나선 구조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유전자와 관련된 연구는 과학의 역사에서 비교적 최근에 빛을 발하고 있는 분야다. 그러나 길지 않은 역사에도 의학이나 공학뿐만 아니라 사회학, 철학 등 인간 삶의 본질을 밝히는 모든 영역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논술고사에서 이 주제는 자연계 언어 논술을 중심으로 주로 출제되었는데, 개체의 이타적 희생을 유전자의 보존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 보게 한 문제, 유전자 검사 때문에 나타날 수 있는 현대 사회의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 문제, 출산에 관한 개인의 선택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 중 하나로 ‘유전자 보존’을 포함해 분석해 보도록 한 문제 등이 나왔다. 2006학년도 고려대 수시 2 (자연) 고려대 2006학년도 수시 2학기 논술고사에서는 한 생명의 나타남과 사라짐은 일회적인 현상이 아니라 영원히 이어지는 사건이라는 내용을 담을 글이 첫번째 제시문으로 주어졌다. 두번째 제시문에는 집단의 생존과 이익을 위한 개체의 희생이 뜻하는 바는 무엇인지에 대한 사회생물학적 입장을 담았다. 혈연 관계에 있는 개체의 이타적 희생은 결국 자신의 유전자를 후대로 이어가기 위한 행동이라는 것이다. 세번째 제시문에서는 자연계에서 볼 수 있는 이타적 행위의 사례를 보여줬다. 경고음을 낸 땅다람쥐가 침입자에게 잡아먹힘으로써 다수의 다른 땅다람쥐들을 살리는 것, 당까마귀 떼가 산란 양을 조절해 집단의 개체 수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것 등이다. 논제는 첫째와 둘째 제시문을 짧게 요약하고, 모든 제시문을 연관시킬 하나의 주제를 찾아내 그 주제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라는 것이었다. 제시문은 모두 개체의 희생을 통한 종족의 유지 및 번성을 다루는 것으로, 자연계에서 나타나는 이타성의 근원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요하는 문제였다. 2002학년도 경희대 정시(교차지원 불가 학과) ‘편재전산시스템’(ubiquitous computing) 및 생명공학과 관련된 글 두 개가 주어지고, 두 제시문의 공통 주제어를 제시한 뒤 각각에서 제기하는 문제점들에 대한 통합적인 해결방안에 대해 논술하라는 문제가 주어졌다. 제시문 (가)에서는 편재전산시스템이 확산됨에 따라 인류는 일상의 잡다한 일에서 벗어나게 되고, 창조적인 일에 몰두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반면 정보격차나 사생활 침해와 같은 문제 발생의 가능성도 제기한다. (나)에서는 유전과 관련된 학문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질병을 극복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등 좋은 결과도 나타났지만, 원치 않는 유전 정보의 공개나 유전자 조작을 통한 운명의 통제와 같은 부정적 결과도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치명적인 결함을 지닌 태아의 출산을 결정하는 문제에서 우생학적 관점이 개입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비극적 결과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2008학년도 중앙대 모의 주어진 네 개의 제시문에 나타난 견해를 근거로 출산에 관한 개인의 선택에 대해 논하라는 문제가 주어졌다. (가)는 합리적 의사 결정의 요인인 비용과 편익의 상관관계를 설명한 것이었다. 이런 요소가 출산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주는지 생각해 봐야 하는 제시문이었다. (나)는 자녀 양육에 따른 긍정적 측면을 보여준 것으로, (가)에 나타난 ‘편익’의 개념과 연결될 수 있는 내용이었다. 반면 (다)는 양육 과정에서 겪는 고통을 서술한 것으로, (가)의 ‘비용’ 차원에서 거론될 수 있는 내용이었다.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에서 발췌한 (라)는 새의 수태 조절을 예로 들어 출산과 관련한 생물학적 요인을 생각해보도록 하기 위한 글이었다.
38. 유전자가 모든 것을 지배하는가?
39. 대표자를 선출하는 다양한 방법 통합논술 교과서 / 이 주제가 왜 중요한가 유전자는 생물체 개개의 유전 형질을 담당하는 인자다. 유전자의 본체는 디옥시리보핵산(DNA)인데, 디엔에이가 유전물질이라는 것은 20세기에 들어 밝혀졌다. 디엔에이의 구조는 20세기 중반이 될 때까지도 베일에 가려져 있다가 1953년 생물학자인 제임스 왓슨과 물리학자인 프란시스 크릭에 의해 알려졌다. 이들은 화학 분석과 엑스(X)선 회절분석법 등을 종합해 디엔에이가 이중나선 구조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유전자와 관련된 연구는 과학의 역사에서 비교적 최근에 빛을 발하고 있는 분야다. 그러나 길지 않은 역사에도 의학이나 공학뿐만 아니라 사회학, 철학 등 인간 삶의 본질을 밝히는 모든 영역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논술고사에서 이 주제는 자연계 언어 논술을 중심으로 주로 출제되었는데, 개체의 이타적 희생을 유전자의 보존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 보게 한 문제, 유전자 검사 때문에 나타날 수 있는 현대 사회의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 문제, 출산에 관한 개인의 선택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 중 하나로 ‘유전자 보존’을 포함해 분석해 보도록 한 문제 등이 나왔다. 2006학년도 고려대 수시 2 (자연) 고려대 2006학년도 수시 2학기 논술고사에서는 한 생명의 나타남과 사라짐은 일회적인 현상이 아니라 영원히 이어지는 사건이라는 내용을 담을 글이 첫번째 제시문으로 주어졌다. 두번째 제시문에는 집단의 생존과 이익을 위한 개체의 희생이 뜻하는 바는 무엇인지에 대한 사회생물학적 입장을 담았다. 혈연 관계에 있는 개체의 이타적 희생은 결국 자신의 유전자를 후대로 이어가기 위한 행동이라는 것이다. 세번째 제시문에서는 자연계에서 볼 수 있는 이타적 행위의 사례를 보여줬다. 경고음을 낸 땅다람쥐가 침입자에게 잡아먹힘으로써 다수의 다른 땅다람쥐들을 살리는 것, 당까마귀 떼가 산란 양을 조절해 집단의 개체 수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것 등이다. 논제는 첫째와 둘째 제시문을 짧게 요약하고, 모든 제시문을 연관시킬 하나의 주제를 찾아내 그 주제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라는 것이었다. 제시문은 모두 개체의 희생을 통한 종족의 유지 및 번성을 다루는 것으로, 자연계에서 나타나는 이타성의 근원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요하는 문제였다. 2002학년도 경희대 정시(교차지원 불가 학과) ‘편재전산시스템’(ubiquitous computing) 및 생명공학과 관련된 글 두 개가 주어지고, 두 제시문의 공통 주제어를 제시한 뒤 각각에서 제기하는 문제점들에 대한 통합적인 해결방안에 대해 논술하라는 문제가 주어졌다. 제시문 (가)에서는 편재전산시스템이 확산됨에 따라 인류는 일상의 잡다한 일에서 벗어나게 되고, 창조적인 일에 몰두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반면 정보격차나 사생활 침해와 같은 문제 발생의 가능성도 제기한다. (나)에서는 유전과 관련된 학문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질병을 극복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등 좋은 결과도 나타났지만, 원치 않는 유전 정보의 공개나 유전자 조작을 통한 운명의 통제와 같은 부정적 결과도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치명적인 결함을 지닌 태아의 출산을 결정하는 문제에서 우생학적 관점이 개입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비극적 결과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2008학년도 중앙대 모의 주어진 네 개의 제시문에 나타난 견해를 근거로 출산에 관한 개인의 선택에 대해 논하라는 문제가 주어졌다. (가)는 합리적 의사 결정의 요인인 비용과 편익의 상관관계를 설명한 것이었다. 이런 요소가 출산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주는지 생각해 봐야 하는 제시문이었다. (나)는 자녀 양육에 따른 긍정적 측면을 보여준 것으로, (가)에 나타난 ‘편익’의 개념과 연결될 수 있는 내용이었다. 반면 (다)는 양육 과정에서 겪는 고통을 서술한 것으로, (가)의 ‘비용’ 차원에서 거론될 수 있는 내용이었다.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에서 발췌한 (라)는 새의 수태 조절을 예로 들어 출산과 관련한 생물학적 요인을 생각해보도록 하기 위한 글이었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