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혼식을 미뤘던 6쌍의 부부가 합동결혼식을 치른 뒤 다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우리말 논술 / 50. 사랑과 결혼, 그리고 가족의 의미
교과서 검색하기 [난이도 = 중2~고1]
① 혼인의 의미
혼인(婚姻)은 남녀가 부부(夫婦)가 되는 일이다. 부부가 된다는 것은, 법이 정한 일정한 적령기에 이른 남녀가 자유롭고 진지한 의사 결정에 따라, 서로의 애정, 인격, 신뢰에 기초하여 정신적, 육체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것이다. 혼인은 부부가 된다는 의사의 합치에서 출발하는데, 이 합의는 일종의 계약(契約)이다.
혼인은 부부가 되기로 한 남녀의 개인적인 사건인 동시에, 사회의 질서와 제도 속에 편입되는 사회적 행위이기도 하다. 따라서, 혼인은 사회 제도이며, 적법한 혼인은 법에 의하여 보호된다.
혼인을 통해서 탄생한 부부 공동체는, 사망, 이혼 등의 사유로 혼인이 해소되기까지는 계속하여 유지된다. 혼인이 성립하려면, 실질적 요건과 형식적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실질적 요건이란, 남녀 당사자의 자유로운 의사의 합치가 있을 것, 혼인 적령에 이르렀을 것, 근친 간 혼인이 아닐 것, 중혼(重婚)이 아닐 것 등을 말한다. 형식적 요건은 호적법에 따른 혼인 신고를 마치는 것으로 충족된다. - 고등학교 <법과 사회> (교학사) 49쪽 ② 가족의 역할 가족은 사회의 기본 집단으로, 공동 생활을 하면서 가족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서로 이해하고 협력한다. 가족 구성원들에게도 여러 지위가 생기며, 역할이 주어지는데, 가족이 원만하게 지내기 위해서는 가족원이 맡은 각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과거 전통 사회에서 가족은 모든 측면의 생활을 가족원이 함께 영위하였다.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기능은 가정 밖의 사회로 대부분 이전되었고 자녀 양육과 교육의 기능도 많이 약화되었으나, 여전히 가족은 가족원이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과거 전통 사회에서는 남편이 가족의 부양자로 경제적 역할을 담당하고 부인은 가정에서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하고 주로 정서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현대에서는 부부 역할의 뚜렷한 구분이 적어지고 부부가 상호 협조하여 역할을 수행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가족 역할은 주부가 주로 맡은 역할을 다른 가족원에게 분담시키는 것이 아니므로, 누구나 시간이나 적성에 맞게 가족 역할을 수행하는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문사) 30~31쪽 ③ 가족 기능을 대신하는 공동체 이스라엘의 키부츠는 1909년 갈릴리호 부근 요르단 강변에 설립된 것이 효시이며, 2000년 현재 약 270개가 있다. 그러나 이곳에서 생활하는 인구는 약 8만 명으로 이스라엘 전체 인구의 4% 정도에 불과하다. 키부츠는 원래 유럽에 있던 유대 인 청년들이 기존이 생활 방식을 반대하고 평등 사회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만든 집단이다. 이러한 이념에서 설립된 키부츠는 대부분 자급자족이 가능하고,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 집단이다. 남녀를 불문하고 집단 내의 모든 성인들은 집단 생활에 필요한 작업에 종사하고 식사도 공동 식당에서 같이 한다. 키부츠 내에서 남녀는 자유로이 부부가 될 수 있다. 그 절차는 매우 간단하여 사랑하는 젊은 남녀가 부부가 되기를 결정하면 그들의 방을 얻어 동거하는 것으로 부부가 된다. 부부란 다만 성 생활을 영위할 뿐 경제적인 것도 자녀의 교육도 키부츠가 담당한다. 자녀는 유아기부터 부모와 동거하지 않고 공동으로 양육된다. 이처럼 키부츠 내에는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기능 집단으로서의 가족은 없지만, 키부츠라는 대집단이 가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 고등학교 <사회·문화> 147쪽
혼인을 통해서 탄생한 부부 공동체는, 사망, 이혼 등의 사유로 혼인이 해소되기까지는 계속하여 유지된다. 혼인이 성립하려면, 실질적 요건과 형식적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실질적 요건이란, 남녀 당사자의 자유로운 의사의 합치가 있을 것, 혼인 적령에 이르렀을 것, 근친 간 혼인이 아닐 것, 중혼(重婚)이 아닐 것 등을 말한다. 형식적 요건은 호적법에 따른 혼인 신고를 마치는 것으로 충족된다. - 고등학교 <법과 사회> (교학사) 49쪽 ② 가족의 역할 가족은 사회의 기본 집단으로, 공동 생활을 하면서 가족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서로 이해하고 협력한다. 가족 구성원들에게도 여러 지위가 생기며, 역할이 주어지는데, 가족이 원만하게 지내기 위해서는 가족원이 맡은 각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과거 전통 사회에서 가족은 모든 측면의 생활을 가족원이 함께 영위하였다.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기능은 가정 밖의 사회로 대부분 이전되었고 자녀 양육과 교육의 기능도 많이 약화되었으나, 여전히 가족은 가족원이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과거 전통 사회에서는 남편이 가족의 부양자로 경제적 역할을 담당하고 부인은 가정에서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하고 주로 정서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현대에서는 부부 역할의 뚜렷한 구분이 적어지고 부부가 상호 협조하여 역할을 수행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가족 역할은 주부가 주로 맡은 역할을 다른 가족원에게 분담시키는 것이 아니므로, 누구나 시간이나 적성에 맞게 가족 역할을 수행하는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문사) 30~31쪽 ③ 가족 기능을 대신하는 공동체 이스라엘의 키부츠는 1909년 갈릴리호 부근 요르단 강변에 설립된 것이 효시이며, 2000년 현재 약 270개가 있다. 그러나 이곳에서 생활하는 인구는 약 8만 명으로 이스라엘 전체 인구의 4% 정도에 불과하다. 키부츠는 원래 유럽에 있던 유대 인 청년들이 기존이 생활 방식을 반대하고 평등 사회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만든 집단이다. 이러한 이념에서 설립된 키부츠는 대부분 자급자족이 가능하고,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 집단이다. 남녀를 불문하고 집단 내의 모든 성인들은 집단 생활에 필요한 작업에 종사하고 식사도 공동 식당에서 같이 한다. 키부츠 내에서 남녀는 자유로이 부부가 될 수 있다. 그 절차는 매우 간단하여 사랑하는 젊은 남녀가 부부가 되기를 결정하면 그들의 방을 얻어 동거하는 것으로 부부가 된다. 부부란 다만 성 생활을 영위할 뿐 경제적인 것도 자녀의 교육도 키부츠가 담당한다. 자녀는 유아기부터 부모와 동거하지 않고 공동으로 양육된다. 이처럼 키부츠 내에는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기능 집단으로서의 가족은 없지만, 키부츠라는 대집단이 가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 고등학교 <사회·문화> 147쪽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