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선하의 ‘창의적 아이가 미래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임선하의 ‘창의적 아이가 미래다’ /
6.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의 최근 사례
7.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의 방향과 내용
8.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의 대안적 논의 세계 각국은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요인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주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창의성 교육은 여러 방향에서 연구·시도돼 왔다. 미국의 경우 1968년 창의성 연구와 교육 전문기관(Creative Education Foundation)이 세워졌고, 학술 잡지(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도 출간됐다. 버펄로 주립대학이 대학원(1967년)과 학부(1974년)에 창의성 과목을 개설한 이래 미국의 다른 많은 대학에서도 창의성 과목을 개설했다. 비즈니스 영역에서 권위를 자랑하는 프랑스의 인시아드(INSEAD)에서는 MBA의 선택과목으로 ‘산업계의 창의성’을 열었다. 쉬팡치(XuFangqi)의 2005년 조사를 보면 전세계에서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 강의를 개설한 학교는 갈수록 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는 아직 걸음마 단계다. 몇몇 대학에서 창의성 과목이 개설됐지만, 항상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 대학에서보다는 기업체의 연수 과정에 더 많은 과정이 개설돼 있는 실정이다. 변화하는 트렌드를 따라잡고 새 아이디어를 활용하기에 좋은 영역이라는 점 때문에 창의적 문제해결력 교육은 비즈니스 영역에서도 활발히 이뤄진다. 교육과 심리학, 공학에서도 이 분야 교육이 각광받고 있다. 토런스(E.Paul Torrance) 교수는 142편의 연구물을 검토한 뒤 창의성 교육방안을 크게 9가지로 나눴다. 아래는 토런스 교수가 구분한 창의성 교육 방안의 유형과 이들 각각의 방안을 지지하는 연구물 수와 이를 반영해 개발된 자료를 실제 교육에 적용했을 때의 성공률이다. 많이 연구하고 관심을 갖는 방안이라고 해서 꼭 높은 성공률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임선하 현대창의성연구소장 www.creman.net
7.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의 방향과 내용
8.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의 대안적 논의 세계 각국은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요인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주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창의성 교육은 여러 방향에서 연구·시도돼 왔다. 미국의 경우 1968년 창의성 연구와 교육 전문기관(Creative Education Foundation)이 세워졌고, 학술 잡지(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도 출간됐다. 버펄로 주립대학이 대학원(1967년)과 학부(1974년)에 창의성 과목을 개설한 이래 미국의 다른 많은 대학에서도 창의성 과목을 개설했다. 비즈니스 영역에서 권위를 자랑하는 프랑스의 인시아드(INSEAD)에서는 MBA의 선택과목으로 ‘산업계의 창의성’을 열었다. 쉬팡치(XuFangqi)의 2005년 조사를 보면 전세계에서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 강의를 개설한 학교는 갈수록 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는 아직 걸음마 단계다. 몇몇 대학에서 창의성 과목이 개설됐지만, 항상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 대학에서보다는 기업체의 연수 과정에 더 많은 과정이 개설돼 있는 실정이다. 변화하는 트렌드를 따라잡고 새 아이디어를 활용하기에 좋은 영역이라는 점 때문에 창의적 문제해결력 교육은 비즈니스 영역에서도 활발히 이뤄진다. 교육과 심리학, 공학에서도 이 분야 교육이 각광받고 있다. 토런스(E.Paul Torrance) 교수는 142편의 연구물을 검토한 뒤 창의성 교육방안을 크게 9가지로 나눴다. 아래는 토런스 교수가 구분한 창의성 교육 방안의 유형과 이들 각각의 방안을 지지하는 연구물 수와 이를 반영해 개발된 자료를 실제 교육에 적용했을 때의 성공률이다. 많이 연구하고 관심을 갖는 방안이라고 해서 꼭 높은 성공률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임선하 현대창의성연구소장 www.creman.net
| |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