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교육

산타 할아버지가 착한 아이 찾는 방법은?

등록 2008-12-07 16:21수정 2008-12-07 16:23

산타 할아버지가 착한 아이 찾는 방법은?
산타 할아버지가 착한 아이 찾는 방법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창의적 문제해결 연습

이제 곧 12월25일이다. 크리스마스 하면 생각나는 건 뭐니 뭐니 해도 산타클로스 할아버지, 루돌프, 크리스마스트리, 선물 등이다. 전세계의 아이들이 새로운 한 해를 기다리는 들뜬 마음으로 즐기는 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 있을까? 우리는 크리스마스를 ‘성탄절’이라고도 하며 해마다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념하고 있다. 예수의 탄생을 기념하는 일은 대략 3세기에 들어와서 행해진 것으로 보이는데 1월6일, 3월21일, 12월25일 가운데 하루를 선택해 의식을 행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어느 문서에서도 예수의 탄생이 정확히 12월25일이라는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면 사람들은 언제부터 12월25일을 크리스마스로 기념하게 되었을까?

최초로 12월25일을 크리스마스로 결정한 사람은 기독교인이었던 로마의 황제 콘스탄티누스다.

그는 4세기 당시 사람들이 일년 중 해가 가장 짧았다가 길어지기 시작하는 동지를 ‘태양의 탄생일’이라 여기고 이를 크게 기념하는 축제를 전통적으로 지켜왔다는 점에 착안해 이날을 성탄절로 결정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때부터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들이 같은 날을 기념하게 된 것이다.

시간이 점점 지나면서 중세의 크리스마스 때에는 교회에서의 의식과 농신제(農神祭)에 따르는 가장행렬이나 소요가 뒤섞여 행해졌다.


교회 내에서 드리는 예수 탄생의 예배와는 별도로 크리스마스 때 이뤄지는 민간행사는 민족이나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다고 하더라도 비기독교적인 풍습을 반영하면서 현재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크리스마스는 가톨릭 국가에서 반드시 기념해야 할 축일이었다. 특히 어린이나 가족 중심의 축일이었다. 종교 기념일이었던 크리스마스는 차차 세속화해 ‘크리스마스의 할아버지’, 즉 산타클로스가 등장하게 됐다.

여덟 마리의 순록이 끄는 썰매를 타고 붉은 모자, 붉은 옷에 장화를 신은 흰 수염의 산타클로스가 북국에서 찾아와 큰 자루를 등에 메고, 집집마다 굴뚝을 타고 슬그머니 들어와 착한 어린이에게는 양말주머니에 여러 가지 선물을 넣어 주는 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에는 절대 빠질 수 없는 아름다운 크리스마스트리가 있다.

트리를 장식하는것은 아주아주 오래전, 크리스마스날을 기념하기도 전에 생긴 관습이다. 고대 영국과 로마에서는 한 겨울 동짓날을 기념하기 위해 푸른 상록수 가지를 집에다 장식했다고 한다. 춥고 어두운 한겨울에 푸른 나뭇가지를 장식함으로써 다가올 봄을 기다렸다.

세월이 가면서 16세기 즈음부터 이 관습은 독일의 기독교인들이 크리스마스날에 트리를 장식하는 것으로 이어졌고, 1700년대 후반에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 사는 독일인 이민자들로부터 크리스마스 트리가 처음 미국에 소개됐다.

하지만 1884년까지는 그다지 유행하지 않았다가 영국 빅토리아 왕의 남편이었던 독일인 앨버트공에 의해 영국 왕실에 최초로 크리스마스트리가 세워졌다. 당시에는 영국 왕실과 왕실 가문이 모든 이들의 동경의 대상었다. 그때부터 사람들은 영국 왕실에 세워진 크리스마스트리를 모방해 자기집에 장식하기 시작했다. 크리스마스트리가 하나의 유행으로 확고하게 자리잡게 된 것이다.

크리스마스트리로는 주로 전나무나 소나무를 쓰는데, 거기에도 얽힌 유래가 있다. 7세기께 선교사였던 성 보나파이스가 독일의 한 마을에서 설교를 전하고 있었다. 떡갈나무를 신성하게 여기던 마을 사람들에게 우상숭배를 해서는 안 된다는 말을 하면서 그 떡갈나무를 쓰러뜨렸다. 그러자 그 떡갈나무가 쓰러지면서 다른 나무들을 모두 쓰러뜨려 버렸다고 한다.

그때 오로지 넘어지지 않았던 나무가 전나무의 묘목이었는데, 성 보나파이스는 이를 기적이라 하면서, 전나무를 하나님의 나무라고 일컬은 것에서 유래됐다는 것이다.

그럼, 다음 물음에 자신만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최대한 발휘해 생각해 보자.

1. 산타 할아버지가 어떤 방법으로 착한 아이들을 가려내고 찾아가서 선물을 줄까?

2. 산타 할아버지는 크리스마스이브 하룻밤 안에 온 세상 어린이들에게 어떻게 선물을 줄 수 있을까?

3. 전세계 사람들이 크리스마스트리를 직접 만들고 꾸미고 있다. 과연 크리스마스트리가 우리에게 주는 장점과 단점이라면 무엇이 있을까?

창의적 문제해결 연습 답안

1. 정답은 없다. 여러 상황을 그럴듯하게 생각해 볼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이렇게 생각해 볼 수도 있겠다. 산타할아버지는 각 학교의 교장선생님이다. 아이들의 태도를 선생님들에게 항상 보고를 받고, 학부모들과 얘기를 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다른 여러 상황을 상상해 보자.

2. 정해진 방법은 없겠지만, 산타할아버지가 한 분뿐이라는 가정이라면 현실적으로 불가능 할 것이다. 지역마다 산타할아버지가 있다면 시간 여유가 생겨 충분히 선물을 전달해 줄 수 있겠지만, 아마 한 분뿐이라면 이렇게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 직접 산타할아버지가 선물을 전달해 주는 경우

- 산타할아버지는 지구가 자전을 하는 것에 힘입어 지구 자전의 반대로 이동을 한다면 시간을 좀더 벌 수 있을 것이다. 지구가 자전하는 방향으로 돌면서 아이들에게 선물을 준다면 약 31시간 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7시간을 더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유니세프가 조사한 통계를 보면 18살 이하 청소년은 세계적으로 약 20억명에 이르는데, 그중에서 크리스마스를 기념하지 않는 이슬람교·힌두교·유대교·불교를 믿는 어린이들을 빼고 나면 약 4억~5억에 이르는 어린이들이 있다. 31시간 동안 5억의 가정을 방문해야 한다면 산타할아버지는 1초에 4480가구를 다녀야 한다.

- 그렇다면 산타할아버지는 얼마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을까? 지구 반지름은 6400㎞이다. 이런 면적의 29%만이 땅이고, 지표면의 면적은 1억5천만㎢가 된다. 집들이 약 1㎞ 정도 떨어져 있다고 가정한다면, 1㎞씩 떨어진 5억 가정을 31시간 동안 방문하려면 초속 4480㎞로 날아다녀야 한다. 굴뚝으로 내려가는 시간이 없다고 가정을 해도 마하 4218 정도의 속도로 이동해야 한다. 산타할아버지는 사슴이 달리는 평균속도보다 약 26만배 빠른 속도로 크리스마스이브의 밤하늘을 횡단해야 한다.

* 산타할아버지가 다른 이에게 도움을 받는 경우

산타할아버지가 크리스마스이브 전에 각 가정의 부모님에게 선물을 전달해 준다. 부모님은 아이가 잠든 후 양말에 몰래 선물을 넣어 놓는다. 사실 이런 경우가 대부분이다.

클래스온 대표강사 김두산
클래스온 대표강사 김두산
3. 장점을 꼽아보자. 먼저 힘든 삶을 사는 사람들에게 환하게 즐거운 분위기를 만들어 주고 가족들의 화목한 분위기를 조성해 주기도 한다. 또 크리스마스트리에 들어가는 장식품을 만드는 사람과 사는 사람들이 많아지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단점도 있다. 무분별한 전나무 숲 파괴와 그에 따른 자연적인 폐해들이 생겨나겠고, 시선을 압도하는 크리스마스 전구의 전력 소비량이 세계적으로 대폭 증가해 경제적으로 엄청난 낭비일 수도 있다.

※ 매주 목요일 클래스온 누리집(www.class-on.com)에서는 문제 출제자가 직접 풀이한 동영상을 제공합니다. 문제에 대한 궁금한 점은 1644-0020 문의하면 됩니다.

클래스온 대표강사 김두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