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소환이 임박한 가운데 경남 김해 진영읍 봉하마을 주민들이 18일 오후 ‘검찰이 노 전 대통령에 대한 편파수사를 하고 언론도 편파보도를 하고 있다‘라는 대형펼침막을 들고 집회를 하고 있다. 김해/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박연차 로비수사] 23일 이전 소환 어려울 듯
검찰, 막판 ‘확실한 증거’ 총력…“충분한 준비위한 것”
권양숙씨 ‘차단막’에 정상문 ‘침묵’…수사 난항 분석도
검찰, 막판 ‘확실한 증거’ 총력…“충분한 준비위한 것”
권양숙씨 ‘차단막’에 정상문 ‘침묵’…수사 난항 분석도
노무현 전 대통령의 혐의 입증에 자신감을 보이던 검찰이 정작 소환 일정을 잡는 데는 느릿한 ‘소걸음’을 걷고 있다.
지난 11일 노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씨를 불러 조사할 때만 해도, 수사팀은 언론의 예측을 뛰어넘을 정도로 발빠른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이후 대부분의 시간을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이 건넨 500만달러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보냈고, 이 때문에 이번주 초로 예상됐던 노 전 대통령의 소환 일정도 지연이 불가피해졌다. 조사 2~3일 전에는 노 전 대통령 쪽과 협의가 필요한 점 등을 고려할 때 23일 이전에는 조사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수사팀의 이런 ‘뜸들이기’ 탓인지, 검찰 안팎에선 ‘수사가 난항을 겪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검찰이 ‘비장의 카드’를 갖고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지금껏 알려진 의혹과 노 전 대통령을 직접 연결할 확실한 고리를 내놓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검찰은 100만달러 의혹과 관련해 여전히 노 전 대통령 쪽이 쳐놓은 ‘권양숙 차단막’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500만달러 의혹도 마찬가지다. ‘호의적이긴 하지만 정상적 투자였다’는 노 전 대통령 쪽의 논리에 대해 ‘노건호씨가 그 돈을 사실상 운용했다’고 밝히고 있지만, 노건호씨를 넘어 노 전 대통령까지는 연루된 사실을 확인하지는 못했다.
정대근 전 농협중앙회 회장이 정 전 비서관을 통해 노 전 대통령의 회갑 기념 선물로 3만달러를 건넸다는 사실이 새롭게 드러난 것도 검찰의 다급한 처지와 무관하지 않다는 평가다. 검찰이 확실한 증거 수집을 위해 정 전 비서관 등 노 전 대통령 주변 인물의 돈거래를 샅샅이 조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검찰이 대전지검에서 구속된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까지 불러 ‘3자 회동’과 ㈜봉화에 투자된 70억원의 성격을 추궁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강 회장은 3자 회동 당시 500만달러에 대한 사전 모의가 있었다는 점을 부인했고, 노 전 대통령도 자신의 누리집에 ‘퇴임 뒤 사업 논의는 박 회장과 관계가 없다’는 취지의 글을 올려 반격에 나서기도 했다. 무엇보다 검찰을 곤혹스럽게 하는 것은 정상문 전 총무비서관의 ‘침묵’이다. 검찰 입장에서 정 전 비서관의 진술은 노 전 대통령의 혐의 입증에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영장 기각 이후 정 전 비서관은 노 전 대통령 쪽과 방어논리를 공유하며 검찰의 애를 태웠다. 검찰이 집요한 계좌추적 끝에 19일 새벽 정 전 비서관을 체포한 것도 이런 사정과 관련이 깊다. 특히 수사팀은 정 전 비서관이 박 회장한테서 받은 3억원을 챙긴 사실이 드러났다며, 권양숙씨가 검찰에 한 진술의 신빙성에 강한 의구심을 나타냈다. 홍만표 대검 수사기획관은 “권씨가 100만달러와 3억원을 모두 자신이 받았다고 진술했지만, 추적 결과 3억원이 정 전 비서관의 차명계좌에 보관돼 있었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를 근거로 ‘100만달러를 받았다’는 권씨의 진술도 거짓일 수 있다고 추론한다. 새로 드러난 3억원의 소재는 이를 뒷받침할 유력한 정황증거라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수사팀은 노 전 대통령의 소환 일정과 관련해 “조사할 양이 방대해 충분한 준비기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주변 인물들을 상대로 사실관계를 파악한 뒤 조사 시간은 최소화하는 게 예우 차원에서도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검찰 수사 초점 대 노무현 전 대통령 쪽 반박
정대근 전 농협중앙회 회장이 정 전 비서관을 통해 노 전 대통령의 회갑 기념 선물로 3만달러를 건넸다는 사실이 새롭게 드러난 것도 검찰의 다급한 처지와 무관하지 않다는 평가다. 검찰이 확실한 증거 수집을 위해 정 전 비서관 등 노 전 대통령 주변 인물의 돈거래를 샅샅이 조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검찰이 대전지검에서 구속된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까지 불러 ‘3자 회동’과 ㈜봉화에 투자된 70억원의 성격을 추궁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강 회장은 3자 회동 당시 500만달러에 대한 사전 모의가 있었다는 점을 부인했고, 노 전 대통령도 자신의 누리집에 ‘퇴임 뒤 사업 논의는 박 회장과 관계가 없다’는 취지의 글을 올려 반격에 나서기도 했다. 무엇보다 검찰을 곤혹스럽게 하는 것은 정상문 전 총무비서관의 ‘침묵’이다. 검찰 입장에서 정 전 비서관의 진술은 노 전 대통령의 혐의 입증에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영장 기각 이후 정 전 비서관은 노 전 대통령 쪽과 방어논리를 공유하며 검찰의 애를 태웠다. 검찰이 집요한 계좌추적 끝에 19일 새벽 정 전 비서관을 체포한 것도 이런 사정과 관련이 깊다. 특히 수사팀은 정 전 비서관이 박 회장한테서 받은 3억원을 챙긴 사실이 드러났다며, 권양숙씨가 검찰에 한 진술의 신빙성에 강한 의구심을 나타냈다. 홍만표 대검 수사기획관은 “권씨가 100만달러와 3억원을 모두 자신이 받았다고 진술했지만, 추적 결과 3억원이 정 전 비서관의 차명계좌에 보관돼 있었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를 근거로 ‘100만달러를 받았다’는 권씨의 진술도 거짓일 수 있다고 추론한다. 새로 드러난 3억원의 소재는 이를 뒷받침할 유력한 정황증거라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수사팀은 노 전 대통령의 소환 일정과 관련해 “조사할 양이 방대해 충분한 준비기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주변 인물들을 상대로 사실관계를 파악한 뒤 조사 시간은 최소화하는 게 예우 차원에서도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