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조 현대중공업지부는 지난 16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고 회사 쪽의 일방적인 희망퇴직 등 구조조정에 맞서 쟁의행위를 결의했다. 금속노조 현대중공업지부 제공
‘개별 면담은 당당히 거부’ ‘강압적인 면담시 녹취하여 신고’
현대중공업 회사 쪽이 일감부족을 이유로 지난 16일부터 희망퇴직자 모집에 나선 데 맞서 노조 쪽이 조합원들에게 전달한 행동지침이다. 2015년부터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을 싸고 마찰을 빚어온 현대중공업 노사가 최근 다시 희망퇴직 등 문제를 싸고 갈등을 빚고 있다.
17일 현대중공업 노사의 말을 종합하면 회사 쪽은 지난 3일 노조를 찾아 희망퇴직과 조기정년 선택제에 관한 회사 방침을 전달하려다 노조의 반발에 부닥쳤다. 박근태 금속노조 현대중공업지부장은 “두 달 전 임·단협 타결 때 고용안정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한 노사합의 위반”이라고 항의하며 15일째 삭발·단식농성을 이어갔다.
회사 쪽은 최근 임직원들에게 배포한 홍보물에서 “‘수주 절벽’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심각한 일감부족에 시달려, 회사 전체 11개 도크 중 3개를 가동 중단했고, 유휴인력은 3000명 이상이나 된다. 50년 가까이 피땀 흘려 일궈온 현대중공업을 지키기 위해선 지금의 일감 상황에 맞게 회사 규모를 줄이는 강도 높은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희망퇴직 등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에 금속노조 현대중공업지부는 “현대중공업은 자구안 이행율 100.5%, 부채비율 70%대, 흑자 지속에 사내유보금도 14조원으로 위기상황이 아니다. 올 하반기 들어서면서 조선 물량이 점점 늘어난다는 전망도 있어 대규모 인원 감축의 명분이 없는데도 무리하게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비정규직 비율을 늘려 인건비를 줄이고 노조 조직력을 무너뜨려 더 많은 이윤을 착취하려는 목적 말고는 아무것도 아니”라고 반박했다. 이어 “집단감원 사유가 발생했을 때 방법·규모·처우 등에 대해 반드시 노조와 사전협의하고 그 절차를 사전 합의하도록 한 단체협약(제41조)은 물론 법적 요건과 절차까지 어긴 ‘변형적 정리해고’”라며 희망퇴직 중단과 유휴인력 문제 해결에 관한 노사합의 이행을 요구했다.
회사 쪽이 29일까지 2주간 근속 10년차 이상 모든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절차에 들어간 지난 16일 지부는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쟁의행위를 결의하고 쟁의비 예산을 확정했다. 18일엔 임시대의원대회에서 올해 임금·단체협약 요구안을 확정하고, 곧바로 회사 쪽에 교섭을 요구할 예정이다. 회사 쪽의 희망퇴직 추진에 맞서 임·단협 교섭과 연계한 쟁의 수순에 나선 것이다. 현대중공업 계열 현대미포조선도 회사 쪽의 희망퇴직 추진에 노조가 “고용불안 위기감으로 노조를 분열시키고 투쟁 동력을 약화시켜 임단협 교섭을 사쪽 의도대로 끌고 가려는 술책”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민주노총과 금속노조, 노동당·민중당·정의당 등 진보3당, 울산지역 6·13지방선거 민주노총지지 후보단은 지난 16일 청와대 앞을 항의 방문해, 현대중공업 대규모 인원 감축 구조조정 중단을 촉구했다. 민중당 울산시당 제공
문성현 노사정위원회 위원장은 17일 현대중공업 노조를 방문해 “책임 있는 단위가 참여하는 노·사·정이 함께 모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송철호 더불어민주당 울산시장 후보도 이날 울산시의회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현대중공업 경영진에게 “인원감축 방식의 구조조정을 중단하고 노사정 위원장의 중재 노력을 적극 수용할 것”을 촉구했다. 민주노총과 금속노조, 노동당·민중당·정의당 등 진보3당 등은 지난 16일 청와대 앞을 항의 방문해, 현대중공업 대규모 인원 감축 구조조정 중단을 촉구했다. 울산시의회 박학천 의원 등 시의원 7명도 같은 날 '현대중공업 구조조정 중단 및 조선산업 생태계 유지를 위한 정부지원대책 촉구 결의안'을 발의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