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북대 총장 선거 과정에서 불거진 경찰 개입 논란에 대한 경찰 수사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 사건을 수사하는 전북 전주덕진경찰서는 29일 “전북대 교수에게 총장 비리와 관련한 문자를 보낸 경찰청 김 경감은 그제(27일) 조사를 받았다. 김 경감의 진술한 부분에 대한 사실 여부를 가릴 것이며, 추가로 확인할 것이 많아 다시 부를 수도 있다”고 밝혔다. 김 경감은 10월31일 1차 출장 조사를 받았고, 이날 2차 조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덕진경찰서 관계자는 “그러나 조사해야 할 대상자(문자 수신 교수)가 전화연결이 안 된다.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처음으로 문자메시지를 받은 것으로 알려진 교수가 김 경감한테서 문자를 받은 것은 맞지만, (총장 내사와 관련해) 처음 문자를 받았는지 여부는 아직 확인이 안 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전주지방검찰청 고위 관계자는 “먼저 경찰에 고발돼 수사를 개시하고 있기 때문에 병행하거나 경찰 건을 가져다가 수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철저히 수사지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김 경감이 내사 사실을 누설해 ‘수사첩보 수집 및 처리 규칙’을 위반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사실관계 파악이 중요하다. 단순히 문제가 있는 행위인지, 법령 위반에 이르는 것인지는 수사과정에서 면밀히 분석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북대 교수 40명은 지난 26일 제18대 전북대총장 임용후보자 선거와 관련해, 교수회장 등 3명을 교육공무원법 위반과 명예훼손 혐의 등으로 전주지검에 고발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