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초짜 사서의 진정한 사서 되기

등록 2009-09-04 19:26

〈쉿, 조용히!〉
〈쉿, 조용히!〉




이권우의 요즘 읽는 책 /

〈쉿, 조용히!〉
스콧 더글러스 지음·박수연 옮김/부키·1만3500원

대중 잡아 사십 줄 넘어선 사람들이 기억하는 도서관에 얽힌 이야기는 상당히 유사할 듯싶다. 도서관이 책 읽는 곳이라기보다는 입시 공부하는 장소로만 아는 경우가 다수이리라. 학교에 있는 도서관의 문은 굳게 잠겨 있었을 터. 그나마 도서관을 자유롭게 이용해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도 가장 자주 들은 소리는 “쉿, 조용히!”라는 핀잔일 가능성이 높다. 입시 중심의 교육과 도서관이 시민들의 관심영역이 아닐 적의 이야기이다.

도서관 문화가 상당히 발전하고 성숙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에서도 우리와 유사한 경험을 하는 모양이다. 도서관에서 가장 빈번하게 듣는 소리가 “쉿, 조용히”라니 흥미롭기까지 하다. 이 말을 얼마나 자주 썼으면 도서관에서 벌어지는 재미있고 감동적인 이야기를 모은 책의 제목이 되었을꼬! ‘풋내기 사서의 좌충우돌 도서관 일기’라는 부제를 단 <쉿, 조용히!>에는 주변에서 흔히 듣던 이야기가 나온다. 자조 섞인 말이기는 하지만, 사서는 책을 읽는 직업이 아니라 책 표지만 보는 사람이라고 한다. 책을 사고 정리하고 빌려주는 과정에서 내용을 알기보다는 이른바 서지사항이라는 것만 파악할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미국의 사서도 마찬가지란다. 발칙하기 짝이 없는 지은이는 ‘업계 비밀’을 만천하에 까발리는데, “사서들은 책을 읽을 시간이 없”단다.

지은이는 본디 사서를 꿈꾸었던 사람은 아니다. 문학청년이었는데 우연한 기회에 도서관 사무보조가 되었고 내친김에 대학원을 다녀 사서가 되었다. 그러다 보니 책의 앞부분은 삐딱한 시선으로 도서관 내부를 관찰한 결과가 담겨 있다. 이 책을 사서가 보면 무척 기분 나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책의 가치는 일반인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도서관 세계를 ‘내부고발’하는 데 있지 않다. 철없이 굴던 아르바이트생이 도서관의 가치를 알고 사서의 바람직한 자세가 무엇인지 깨달아 가는 데 있다. 누구나 처음에는 초보다. 그러나 모든 초보가 시간이 흘러 다 프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권우의 요즘 읽은 책
이권우의 요즘 읽은 책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도서관 이야기를 하며 지은이는 우리 시민사회가 아직 그 중요성을 깊이 깨닫지 못한 도서관의 가치를 잘 설명해준다. 도서관은 “더 나은 내일로 가는 다리”라는 말은 정보 격차를 줄이는 공공영역의 역할을 뜻한다. “책을 읽어줄수록 내가 몇몇 아이들의 인생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느끼게 되었다”는 사서의 역할이 무엇인지 말해준다. “무엇이 도서관을 도서관답게 만드는 걸까? 도서관은 이용자들이 없으면 아무것도 아니었다”는 지역공동체에 이바지하는 도서관의 기능을 떠올리게 한다. “도서관에서 천하의 머저리처럼 굴던 아이들이 이 사회의 생산적인 일꾼으로 성장하기도 한다”는 단기적인 성과에 급급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공공도서관 사서가 된다는 것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사서가 된다는 의미”라는 말은 지은이가 비로소 한 사회가 요구하는 진정한 사서가 되었다는 사실을 뜻한다.

우리에게도 지은이 같은 사서는 얼마든지 있다. 그럼에도 이 책을 읽으며 이런 사서를 더 자주 만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도서관은 사회가 시민들에게 베푸는 평생교육과 평등교육의 장이다. 더 욕심을 부려 해가 될 것 없다는 말이다.

이권우 도서평론가·안양대 강의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