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래집단에 눈뜨는 아이들 상상력과 감수성 함양이 중요
[어린이날 특집] 책과 어린이|3~4학년 책
3-4학년은 그림책을 완전히 떼고 본격적으로 활자 중심의 어린이책을 접하는 시기다. 이 시기는 또 아이들이 관계에 본격적으로 눈을 뜨면서 또래집단과의 관계가 강화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 어린이책에 대해 편집자들은 이 시기에는 차츰 학습과 관련된 책에 관심을 가지면서도, 상상력과 감수성을 높이는 책에 대한 비중을 여전히 높여야 할 시기라고 강조한다.
푸른책들 신재옥 편집자는 3-4학년 대해 “아이들의 심리적 인식이 어느 정도 생긴다”며, 이렇게 심리적 인식이 형성되면서 “학교에서 친구관계나 선생님과의 관계에서도 갈등을 겪는 경우가 있다”고 지적한다. 신 편집자는 따라서 책을 통해 이런 갈등을 해소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뜨인돌어린이 이경화 팀장은 이 시기가 학습서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는 5-6학년보다도 오히려 다양한 책을 읽을 수 있는 기회라며, “문학서 같은 경우에는 특정 분야를 한정짓지 말고 다양 하게, 본인이 끌리는 대로 자유롭게 접하게 하라”고 조언한다.
이 시기에는 학습용 서적들도 놀이와 학습을 결합한 ‘에듀테인먼트’ 형식이 특히 강조된다. 여전히 아이들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놀이를 활용해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놀이와 학습을 모두 잘 알고 있는 좋은 필자를 찾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 따라 어떤 것은 놀이쪽에 치우치거나 어떤 책은 학습쪽에 치우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대해 파란자전거 김문정 편집자는 “부모님들이 책을 살 때 필자의 약력을 꼼꼼히 살펴볼 것”을 권한다. 해당 필자의 경력을 살펴보고 이 사람이 학습을 소화해 놀이와 조화롭게 결합시킬 수 있는지를 따져보라는 것이다. 김 편집자는 만일 “필자가 놀이쪽에 더욱 전문성이 있는 사람이라면, 학습 영역에 대해서는 감수자가 있는지를 꼭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인다.
편집자들은 이 시기까지는 부모들이 아이들과 함께 독서를 하고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한겨레 아이들 하선영 편집자는 “3-4학년 아이들에게는 여전히 책과 현실을 이어주는 어머니 아버지의 ‘다리’ 구실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가령 아이가 생각하는 ‘용기’라는 경험이 단순할 수 있는데, 어머니가 책을 함께 읽으면서 용기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대화를 나눈다면, 아이의 감수성과 세상 인식이 한뼘 넓어질 것이라는 것이다.
김보근 기자 tree21@hani.co.kr
▷ 추천 도서 보러 가기
3~4학년 책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