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이래되 쿼터제 축소? ‘왕의 남자’ 경제효과 상당

등록 2006-02-13 19:19수정 2006-02-13 19:21


관객 1000만명을 넘어선 영화 <왕의 남자>가 일자리 1800개를 창출하거나 중형차 3000대, 휴대전화 22만대를 생산한 것과 맞먹는 경제적 효과를 낳은 것으로 분석됐다.

13일 한국은행의 ‘2000년 기준 산업연관표’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지난주말 관객 1000만명을 돌파한 <왕의 남자>로 인한 생산유발액은 모두 135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관객 1000만명이 7000원의 관람료를 내 모두 700억원의 매출액을 올렸다는 단순한 가정 아래, 영화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인 1.928을 곱한 액수다. 또 영화산업의 부가가치 유발계수인 0.849를 곱할 경우 594억원의 부가가치가 유발되는 것으로 추정됐다.

생산유발계수란 한 단위의 원자재 또는 임금 등을 투입했을 때 나타나는 생산효과를 나타내는 계수이며, 생산유발액은 한 산업에서 거둔 매출액이나 수입이 경제 전반에 파급돼 창출해 낸 생산액을 말한다.

영화 <왕의 남자>의 생산유발액 규모는 중형 승용차인 엔에프 쏘나타(대당 1800만원 가량)를 2950대, 휴대전화기(40만원 가량)를 21만7천대 생산한 것과 비슷한 것이다. 또 영화산업의 취업유발계수(10억원당 연간 30명)를 이 영화의 생산유발액 603억원(1350억원을 2000년 가격으로 환산한 것)에 적용하면, 모두 1808개의 일자리를 창출한 효과와 같은 것으로 계산됐다.

한은은 지난 2004년 관객 1000만명을 돌파한 영화 <실미도>와 <태극기 휘날리며>도 각각 일자리 2300개 창출 효과와 중형차 2만2천대 생산 효과를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또 <쉬리> <공동경비구역 JSA> <친구> <가문의 영광> <살인의 추억> 등 5편을 포함하면 7편의 흥행영화가 모두 1만650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김성재 기자 seong68@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