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웹툰 ‘마음의 소리’ 작가 조석이 완성한 장르는…

등록 2013-06-21 19:14수정 2015-10-23 18:57

조석 작가의 웹툰 <마음의 소리> 제462회 ‘내 몸의 주인’ 편의 한 장면. 웹툰 갈무리
조석 작가의 웹툰 <마음의 소리> 제462회 ‘내 몸의 주인’ 편의 한 장면. 웹툰 갈무리
[토요판] 위근우의 웹툰 네비게이터
어떤웹툰작가
웹툰의 시대, 라고 하면 너무 호들갑스러운 표현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2000년대부터 급속히 발달한 인터넷 환경 속에서 티브이, 영화 등 기존 엔터테인먼트의 아성에 도전할 만한 대중적이고 재밌는 매체가 웹툰이라는 것에 대해 부정하긴 어려울 것 같다. 드라마를 ‘본방 사수’하듯, 좋아하는 웹툰 한두 개쯤은 고정적으로 보는 시대, 이 지면을 통해 웹툰 작가들에 대해 정당한 평가를 공유하고 싶은 건 그래서다. 즐거움을 갈수록 찾기 어려운 시대에 우리에게 재미를 선사하는 존재들이라니, 얼마나 소중한가.

시간의 문제일 뿐 언젠가 꼭 도래할 것이라 믿는 것들이 있다. 이승엽의 400 홈런, 록밴드 콜드플레이 내한, 그리고 <마음의 소리> 1000회 특집. 어느새 700회도 훌쩍 넘은 이 웹툰은 매주 화, 금요일 단 한 번의 연재 건너뛰기도 마감 지연도 없이 독자들을 만나고 있다. 새삼스럽게 <마음의 소리>를 그리는 조석 작가의 성실함에 한마디 찬사를 덧붙이려는 건 아니다. 중요한 건 이렇게 오래오래 쌓인 시간과 독자와의 신뢰가 <마음의 소리>를 비롯한 그의 작품의 어떤 정체성이자 재미의 요소가 되었다는 것이다. 언젠가 나는 다른 지면에 ‘<마음의 소리>는 서사물’이라 한 적이 있고, 조석은 스스로 “내 만화 장르가 개그가 아니라 열심, 혹은 부지런함이 된 것 같다”고 한 적이 있다.

사실 작품 안에서 웃음이 작동하는 방식에 집중해 조석을 비평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초기 <마음의 소리>가 일상에 기반한 짧고 직설적인 농담에 가까웠다면, 폭발적 반응을 이끌어내던 중반기에는 에어로빅을 추다 몸이 꼬여서 풍요의 춤을 추거나 원귀의 한을 풀어주고, ‘타이거 어퍼컷’을 날리는 식의 황당한 아이디어가 매 컷 등장하는 소동극이 되었고, 600회를 넘기면서부터는 마치 시트콤처럼 흥미로운 설정에서 벌어지는 해프닝을 일관성 있는 내러티브로 보여주었다. 중요한 건 그 변화가 모두 <마음의 소리>라는 오래된 타이틀의 웃음 유통기한을 연장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들이었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조석의 성실한 연재를 목도한 독자들에게도 역시 그러한 의미로 받아들여진다는 것이다. 이것은 웃음이라는 일관된 목적을 향해 쉬지 않고 걷는 한 타이틀 혹은 한 작가의 우직한 성장기에 가깝다.

위근우 매거진 <아이즈> 취재팀장
위근우 매거진 <아이즈> 취재팀장
<마음의 소리> 최근 회에서 고정 캐릭터인 조준이 가발을 거꾸로 썼다가 소변도 뒤로 보는 척하거나,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고 개들을 산책시키던 조석이 개들에게 끌려 전차 경주를 하게 되는 식의 캐릭터 쇼가 뜬금없이 느껴지지 않는 건 이러한 맥락 때문일 것이다. 그동안 쌓아온 서사 덕분에 조준이 가진 대머리로서의 정체성에 대해, 조석이 자신의 애완견들에게 일종의 호구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해 <마음의 소리>는 굳이 매번 설명할 필요가 없다. 매 회 새로운 에피소드를 보여주지만 그것은 ‘<마음의 소리> 월드’라는 하나의 세계 안에서 이해되고, 이들 에피소드들은 또다시 이 세계를 확장하는 벽돌 구실을 한다. 하여 이 독특한 웃음의 선순환 구조는 그 자체로 하나의 장르일지 모르겠다. 조석이라는 이름의 장르.

위근우 매거진 <아이즈> 취재팀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