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정으로 활약하는 <오성×한음>의 오성과 한음. 하지만 이 설정이 이 작품의 전부는 아니다.
[토요판] 위근우의 웹툰 내비게이터
<포천>, <한섬세대>, <오성×한음>의 유승진 작가
<포천>, <한섬세대>, <오성×한음>의 유승진 작가
정통 사극 <명량>, 웨스턴 사극 <군도>, 코믹 사극 <해적>까지 올해 극장가는 사극 풍년이다. 성격이 다른 이들 사극에서 조선이라는 시대적 배경은 때론 역사적 사건으로, 때론 장르적 상상력을 실현할 수 있는 시공간으로 활용된다. 이 중 무엇이 옳거나 그르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너무 역사 고증에 충실하면 픽션으로서의 상상력을 발휘하기 어렵고, 시대를 너무 맥거핀(극적 장치)으로 활용하면 굳이 그 시대를 선택할 당위가 사라진다. 사극들은 이 양극단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며 최적의 균형을 찾게 된다. 그런 면에서 현재 <오성×한음>을 연재하는 유승진 작가의 ‘팩션’ 사극들은 상당히 모범적인 답을 모색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사실 오성과 한음이라는 오래된 콤비를 소환해 셜록 홈스와 왓슨 같은 추리 콤비로 재탄생시키는 것이 아주 기발하지는 않다. 역사 속 석학이 추리를 펼치는 <탐정 아리스토텔레스>나 <살인의 해석> 같은 국외 추리소설도 있었고, 당장 한국에도 케이블 드라마 <조선추리활극 정약용>이 있다. 사극에 특화된 만화가로서 유승진 작가의 탁월함은 이러한 가상의 설정을 실제 역사의 흐름 안에 위화감 없이 배치한다는 것이다. 가령 실제로 젊은 날의 두 사람이 사가독서라 하여 일종의 휴가를 받은 것에 대해 탐정으로서 왕의 밀명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절묘하게 끼워 맞추는 식이다. 이건 단순히 작가의 역사 지식을 과시하는 정도로 폄하할 수 없는데, 그들의 첫 사건이자 미처 피의자의 억울함을 풀어주지 못했던 사건을 역시 역사에 기록된 고문 중 낙태한 임산부의 일과 연결시킬 때, 공권력의 빈틈을 보완하는 탐정으로서 두 사람의 캐릭터가 훨씬 생생하고 단단하게 만들어진다.
이처럼 실제 역사에 단단히 뿌리박을수록 동시대의 고민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다는 게 사극의 아이러니다. 당대의 사회적 요소를 외면했을 때 사극에 남는 건 화려한 비단 의복 같은 스타일뿐이다. 하지만 형조(현재 법무부)의 개혁이 필요했던 선조 시대를 반영한 <오성×한음>은 공권력의 정의라는, 현재에도 유효한 테마 안에서 추리극을 펼칠 수 있다. 제목부터 88만원 세대에 대한 패러디인 <한섬세대>는 한 달 한 섬의 녹봉에 불과한 미관말직에 목을 매는 조선 후기 젊은이들을 통해 현대의 청춘을 이야기한다. 이것은 어쩌면 우리가 굳이 과거의 사건을 역사책이 아닌 극으로 봐야 하고, 굳이 극을 동시대가 아닌 과거를 배경으로 풀어내야 하는지에 대한 답이 아닐까. 사극을 통해 역사는 살아있는 이야기가 되고, 역사를 통해 사극은 구체적인 실체를 얻게 된다. 물론 앞서 이것은 역사와 픽션 사이에서 균형을 잘 잡았을 때의 이야기다. 유승진 작가의 작품들처럼.
위근우 매거진 <아이즈> 취재팀장
위근우 매거진 <아이즈> 취재팀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