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고양이와 집사, 밀당의 즐거움

등록 2014-08-29 18:37수정 2015-10-23 18:15

인간과 고양이의 같은 상황 다른 마음을 잘 표현한 <상상고양이>.
인간과 고양이의 같은 상황 다른 마음을 잘 표현한 <상상고양이>.
[토요판] 위근우의 웹툰 내비게이터
<상상 고양이>의 김경
요즘 같은 애묘 시대에 역행하는 발언 같지만 개인적으로 고양이보다는 개를 좋아하는 편이다. 우선 사자, 호랑이, 퓨마 등 맹수류는 하나같이 고양잇과라는 점에서 그들이 숨기고 있는 발톱이 두렵고, 꼬리를 살랑살랑 흔드는 개와 달리 함께 사는 인간을 집사로 만들어버리는 도도함도 왠지 얄밉게 느껴진다. 하지만 soon 작가의 <탐묘인간>이나 초 작가의 <내 어린 고양이와 늙은 개>처럼 고양이와 반려 관계를 맺어 행복해진 이야기를 담은 만화를 보다 보면 이 동물과 함께 사는 즐거움을 조금은 이해하게 되는데, 그중에서도 김경 작가의 <상상 고양이>는 내가 고양이를 탐탁하지 않게 생각했던 그 이유가 누군가에게는 그들을 사랑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반려 동물을 다루는 많은 만화가 반려 동물의 시선에서 그려진다. 해당 동물의 캐릭터를 보여주기에도 좋고, 그저 동물을 통해 위로받는 모습을 비춰주는 것만으로는 둘 사이의 교감을 명확히 그려내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한데, 자칫 인간의 눈으로 쉽게 동물의 마음을 짐작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도 가능하다. <상상 고양이>가 흥미로운 건, 자신이 고양이 복길이를 키운다고 생각하는 주인공 남자의 시선과, 귀찮지만 자신이 인간 남자와 놀아준다고 생각하는 복길이의 시선을 대비시켜 인간과 동물의 동상이몽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가령 전에는 이불에서 털 뭉치를 토하던 복길이가 이불에서 나와 토하는 걸 보고 주인공은 “치우기 편하라고 여기다 한 거야?”라며 길이 들었다 생각하고 뿌듯해하지만, 정작 복길이는 ‘내 자리가 더러워지는데 좋을 리가 없지 않은가’라며 방과 이불의 주인임을 자처하는 식이다. 물론 이 역시 인간인 작가의 상상이지만 자신이 동물의 주인이라는 믿음과 대비되는 동물의 마음을 들려주며 적어도 저들이 우리의 소유물도 아니며 우리 생각대로 사는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환기시켜준다.

위근우 매거진 <아이즈> 취재팀장
위근우 매거진 <아이즈> 취재팀장
앞서 말했던 고양이 집사들의 마음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건 이 지점이다. 자신이 인간의 집에 얹혀산다기보다는 자신의 영역을 인간에게 양보해준다고 생각하는 고양이의 도도함은 흔히 인간이 반려 동물에게 기대하는 모습은 아닐지 모른다. 실제로 내 주위의 고양이 집사들 역시 순종적인 개와는 달리 고양이에게 애를 먹고는 한다.(개가 키우기 편하다는 뜻은 아니다.) 하지만 <상상 고양이>에서 보여주듯, 내가 친히 너와 놀아주겠다는 고양이와 그런 고양이가 자신에게 애교를 부린다고 착각하는 인간은 비록 서로를 오해할지언정 좀더 주체적인 관계를 맺고 자신들의 입장에서 티격태격한다. 하여 그들의 관계는 벗보단 차라리 연애에 가까워 보인다. 이 주체적인 ‘밀당’의 즐거움이야말로 많은 고양이 반려인들이 스스로를 집사이자 고양이의 수족을 자처하는 이유 아닐까. 물론 나처럼 아직 고양이에게 마음을 주기 어려운 이들은 <상상 고양이>를 보는 것만으로 충분하겠지만.

위근우 매거진 <아이즈> 취재팀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