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 금융위원장이 24일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금융위 제공
정부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금융지원 대상으로 중견기업과 대기업으로까지 확대한다. 최근 신용경색 현상이 빚어진 채권시장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2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하고, 증권시장안정펀드도 10조7천원 조성한다.
은성수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24일 오후 제2차 비상경제회의를 설명하는 언론브리핑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은 위원장은 “2차 회의에서는 지원 규모를 100조원+알파’로 과감히 늘리면서 지원 대상을 중견·대기업가지 확대하고 금융시장 안정장치들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발표 내용을 보면, 우선 중소·중견기업 자금지원을 29조1천억원 편성하고, 필요한 경우 대기업도 지원 대상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기업자금애로가 중견·대기업으로까지 파급되고 있는 만큼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기업자금 지원 여력을 확충하겠다는 것이다. 은 위원장은 “정책금융기관이 단기적으로 감내가능한 최대 수준으로 자금을 공급하겠다”며 “29조원 규모의 자금지원을 최대한 신속하게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또 채권시장의 신용경색을 진정시키기 위해 채권시장안정펀드를 20조원 규모로 가동한다. 우선 10조원 규모로 가동하고, 신속하게 10조원을 추가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투자대상은 회사채와 우량 기업어음(CP), 금융채다. 금융권 내부절차를 거쳐 4월초에 본격 매입을 시작한다. 애초 10조원이 검토됐으나 논의과정에서 2배로 확대됐다. 은 위원장은 “바로 오늘 오후 출자 금융회사로 구성된 리스크관리위원회에서 3조원 규모의 1차 캐피탈 콜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이를 토대로 4월 초부터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채권 매입을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일시적 자금시장 경색으로 시장 소화가 어려운 기업의 시장성 차입수요를 정책금융 지원으로 보완하기 위해 회사채 신속인수제를 시행한다. 대상은 회사채 차환에 어려움을 겪는 중견기업과 대기업이다. 방식은 기업이 만기도래액의 20%는 자체 상환하고, 나머지 80%는 산업은행이 인수해 채권은행과 신용보증기금에 매각하는 방식이다. 규모는 최대 2조2천억원이다. 산은은 또 회사채 등급 A 이상 또는 코로나19 피해로 등급이 하락한 기업 중 투자등급 이상 회사채 차환발행분을 1조9천억원어치 직접 매입한다.
기업어음 등 단기자금시장의 불안을 완화하고자 7조원가량의 유동성을 지원한다. 증권사에 대한 유동성 지원이 5조원, 정책금융기관을 통한 차환 지원이 2조원 규모다.
증권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증권시장안정펀드는 10조7천억원 규모로 조성한다. 금융권 내부 절차를 거쳐 4월초 가동할 방침이다. 은 위원장은 “5대 금융지주와 업권별 주요 금융회사 등이 뜻을 모아 10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겠다”며 “1차 캐피탈 콜 규모는 3조원 내외가 될 것이며 4월초부터 본격 투자를 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 전에라도 유관기관이 조성하기로 한 7천억원은 보다 신속하게 투입하겠다”고 말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