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여파로 중국 공장의 가동 중단이 지속되면서 중국 현지에 공장을 둔 국내 기업들에 비상이 걸렸다. 삼성전자(가전), 현대차(자동차), 에스케이(SK)이노베이션(전기차 배터리) 등 주요 업종의 중국 공장이 조업을 중단해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으며 중국산 부품 공급이 막히면서 국내 공장까지 덩달아 휴업에 들어가게 됐다.
2일 업계 설명을 종합하면 가전제품을 생산하는 삼성전자의 중국 장쑤성 쑤저우 공장이 8일까지 가동을 멈추며, 에어컨과 자동차 부품 등을 생산하는 엘지(LG)전자의 중국 공장들도 지난달 끝난 중국 춘절(설) 연휴를 연장하라는 정부의 지침 등에 따라 재가동을 늦추고 있다. 엘지전자는 중국에 16개 공장을 두고 있는데 대다수가 9일까지 가동을 멈춘다고 했다.
충칭 등에 공장을 둔 현대차와 옌청에서 가동 중인 기아차도 9일까지 생산라인을 돌리지 않기로 했다. 전기차 배터리를 만드는 장쑤성 창저우 에스케이이노베이션 공장도 같은 기간 가동을 중단한다.
공장이 멈출 경우 수율 타격이 큰 반도체 업계는 평소보다 적은 인력으로 중국 공장을 가동하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에스케이(SK)하이닉스의 중국 반도체 공장들은 바깥과 접촉이 없던 직원을 중심으로 제품을 계속 생산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도 중국의 패널 생산 공장을 계속 돌리고 있다. 엘지디스플레이의 경우 패널을 조립하는 옌타이 지역 공장만 가동을 중단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은 계속하고 있다.
중국의 부품 공장 다수가 가동을 멈춘 상황도 국내 기업들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쌍용자동차는 4일부터 12일까지 평택 공장의 가동을 멈추기로 했는데, 중국 부품 공장의 가동 중단으로 주요 부품인 와이어링(전선 제품) 공급에 차질이 생겼기 때문이다. 쌍용차 쪽은 “와이어링 재고가 3일까지 공장을 돌릴 정도로밖에 남지 않았는데 중국의 공급업체는 9일까지 쉰다고 한다”고 밝혔다. 현대차에 와이어링을 공급하는 중국 부품 공장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나오기도 했다. 부품 재고가 부족해질 경우 현대차의 국내 생산라인도 일부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 국내 자동차 업체들은 중국산 부품 재고 물량이 떨어질 때를 대비해 대체 공급처를 찾고 있다.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국내 기업들의 1분기 실적에 당장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중국 공장 가동을 중단한 포스코는 “자동차 등 연관 산업의 공장 가동 중지까지 겹치면서 단기적으로 수요 위축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에스케이하이닉스는 “반도체 생산에 당장 조업상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니지만, 장기화로 사태가 커질 경우에 대비해 비상계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신다은 기자
down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