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미사일 파장]
푸틴 “충분히 논의할 것”…프랑스선 2단계안 제시
푸틴 “충분히 논의할 것”…프랑스선 2단계안 제시
대북 제재를 둘러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논란이 15∼17일 러시아에서 열리는 주요 8국(G8) 정상회의에서도 재연될 전망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12일 미국 <엔비시(NBC)> 방송과 한 회견에서 “우리(G8 정상들)는 이란 핵프로그램이나 북한 미사일 사태와 같은 민감한 국제 현안들을 충분히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은 “북한이 협상을 중단하도록 부추기는 일은 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혀, 대북 제재에 반대한다는 태도를 거듭 확인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도 이날 장 아셀보른 룩셈부르크 외무장관과 회담한 뒤 연 기자회견에서 “안보리의 대응은 확고해야 하지만, 감정적으로 과장된다거나 상황을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갈 수 있는 위협이 포함돼서는 안 된다”며 일본이 주도한 결의안에 반대 태도를 분명히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보도했다.
일본의 대북 제재 결의안에 한때 모호한 태도를 보였던 러시아는 중국이 의장성명 초안을 내놓은 이후 분명하게 반대를 공언하고 있다. 비탤리 처킨 유엔 주재 러시아대사는 11일 “(일본의 결의안에 포함된) 유엔헌장 제7장 규정에 심각한 우려를 갖고 있다”며 “과거 일부 국가들은 이 조항을 군사행동을 하는 근거로 사용했다”고 지적했다.
현재 안보리엔 강력한 대북 제재내용을 담은 일본 주도의 북한 제재 결의안과, 북한 미사일 발사를 비난하지만 구속력은 없는 중국의 의장성명 초안이 나란히 올라와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장 마크 사블리에르 프랑스 대사는 분열을 피하기 위해 중국의 의장성명안을 먼저 채택한 뒤 나중에 일본·미국의 북한제재 결의안을 표결하자는 ‘2단계 접근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일본과 미국은 늦어도 이번 주말까지는 결의안을 표결하자는 태도를 굽히지 않고 있다고 유엔 외교소식통은 전했다.
외신 종합, 뉴욕/박찬수 기자 pcs@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