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건 통전부장 서울 방문
정상회담 유일한 북쪽 배석자
개성방문 ‘3통 문제’ 진전될 듯
종전선언 등 쟁점 논의할 수도 김양건 북쪽 통일전선부장의 방남은 2007 남북 정상회담 이후 순항하고 있는 남북관계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김 통전부장의 방남은 여러모로 2000년 6·15 정상회담 직후인 그해 9월 김용순 특사의 방문을 연상시킨다. 당시 김용순 북한 노동당 중앙위 비서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서울을 방문해 임동원 국정원장 등과 국방장관 회담 및 경제시찰단 방남 등 굵직한 합의를 만들어냈다. 둘 다 정상회담의 유일한 북쪽 배석자이며, 김 국방위원장의 측근 실세다. 김양건 부장은 특사가 아니라 통전부장 자격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자격만 놓고 보면 무게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2000년과 2007년의 정상회담 뒤 남북관계 전개 상황에 견줘 보면 자격이 큰 의미는 없어 보인다. 김용순 비서는 정상회담 뒤에도 풀리지 않던 국방장관 회담 등 남북 현안을 특사 자격으로 풀어야 했지만, 김 부장은 이런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 남북이 지난 14~16일 총리회담을 통해 ‘2007 정상선언’ 이행 로드맵을 한차례 가다듬었기 때문이다. 이재정 통일부 장관도 남북관계가 잘 풀리고 있어 김 부장이 긴급하게 내려와야 할 사정은 없다고 설명했다. 김 부장의 공식 방문 목적이 정상선언 이행에 대한 구체적 협의와 현장 시찰이기 때문에 우선 남북 조선협력단지와 개성공단 통신·통관·통행 등 3통 문제의 진전이 예상된다. 김 부장은 경남 거제 조선단지를 비롯한 산업시설을 둘러보고 경제계 인사들과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장이 이재정 통일부 장관과 김만복 국가정보원장을 만나 ‘3~4자 정상 종전선언’이나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방남,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관련 문제 등 ‘예민한 쟁점’을 협의할 가능성도 있다. 김성배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은 “김 통전부장의 방남을 계기로 남북이 ‘2007 정상선언’의 이행과 관련한 ‘모든 의제’를 다 논의할 것 같다”며 “앞으로 남북관계에 상당한 탄력이 붙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정부 당국자도 “무슨 얘기든 다 할 수 있는 자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부장의 방문이 대선을 20여일 앞둔 시기여서 정치권에서도 주시하고 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개성방문 ‘3통 문제’ 진전될 듯
종전선언 등 쟁점 논의할 수도 김양건 북쪽 통일전선부장의 방남은 2007 남북 정상회담 이후 순항하고 있는 남북관계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김 통전부장의 방남은 여러모로 2000년 6·15 정상회담 직후인 그해 9월 김용순 특사의 방문을 연상시킨다. 당시 김용순 북한 노동당 중앙위 비서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서울을 방문해 임동원 국정원장 등과 국방장관 회담 및 경제시찰단 방남 등 굵직한 합의를 만들어냈다. 둘 다 정상회담의 유일한 북쪽 배석자이며, 김 국방위원장의 측근 실세다. 김양건 부장은 특사가 아니라 통전부장 자격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자격만 놓고 보면 무게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2000년과 2007년의 정상회담 뒤 남북관계 전개 상황에 견줘 보면 자격이 큰 의미는 없어 보인다. 김용순 비서는 정상회담 뒤에도 풀리지 않던 국방장관 회담 등 남북 현안을 특사 자격으로 풀어야 했지만, 김 부장은 이런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 남북이 지난 14~16일 총리회담을 통해 ‘2007 정상선언’ 이행 로드맵을 한차례 가다듬었기 때문이다. 이재정 통일부 장관도 남북관계가 잘 풀리고 있어 김 부장이 긴급하게 내려와야 할 사정은 없다고 설명했다. 김 부장의 공식 방문 목적이 정상선언 이행에 대한 구체적 협의와 현장 시찰이기 때문에 우선 남북 조선협력단지와 개성공단 통신·통관·통행 등 3통 문제의 진전이 예상된다. 김 부장은 경남 거제 조선단지를 비롯한 산업시설을 둘러보고 경제계 인사들과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장이 이재정 통일부 장관과 김만복 국가정보원장을 만나 ‘3~4자 정상 종전선언’이나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방남,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관련 문제 등 ‘예민한 쟁점’을 협의할 가능성도 있다. 김성배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은 “김 통전부장의 방남을 계기로 남북이 ‘2007 정상선언’의 이행과 관련한 ‘모든 의제’를 다 논의할 것 같다”며 “앞으로 남북관계에 상당한 탄력이 붙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정부 당국자도 “무슨 얘기든 다 할 수 있는 자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부장의 방문이 대선을 20여일 앞둔 시기여서 정치권에서도 주시하고 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