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치권은 6일 중국이 동북공정 신간 발행을 통해 고조선과 발해, 고구려, 부여 등 우리 고대사에 대한 전면적인 왜곡을 시도한 데 대한 성토를 계속하며 정부의 강경하고 실질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우리당 김근태(金槿泰)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 회의에서 "소위 동북공정은 동북아 미래에 먹장구름을 몰고 올 것"이라며 "역사왜곡은 또 다른 형태의 침략행위이며, 역사왜곡과 공동번영은 양립할 수 없다"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장은 "동북공정을 추진하는 중국이 일본의 과거사 왜곡을 비판하는 것은 이율배반"이라며 "이 점에 있어서 정부와 정치권, 국민 사이에 어떤 이견도 있을 수 없는 만큼 국론결집을 위한 야당의 협력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김한길 원내대표도 "역사는 다르게 써도 역사가 변하는게 아니며 숨길수도 없다"며 "중국정부가 특별한 목적 때문에 역사를 다르게 쓰고 싶은 것이라면 일본의 역사왜곡을 비난할 자격이 없다"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중국의 역사왜곡 시도를 여당과 한목소리로 비판하면서도 정부가 미온적으로 대처해온 점을 질책하는데도 목소리를 높였다.
전재희(全在姬) 정책위의장은 이날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 "중국이 치밀하고 입체적인 계획으로 우리 역사를 뿌리채 왜곡하고 있다"면서 "역사연구에 대대적인 지원을 해서 중국역사가 잘못됐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 정책위의장은 또 "우리나라는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나중에는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도 못 막고, 둑이 터져도 아무도 못 막게 될 수도 있다"며 강력한 대처를 주문했다.
유기준(兪奇濬) 대변인은 현안브리핑을 통해 "동북공정은 단순히 역사의 문제만이 아니다. 북한에 무슨 일이라도 생기면 중국이 북한지역에 개입할 근거를 만드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도 나오고 있다"면서 "정부는 지금이라도 적극 대응해서 후손들로부터 손가락질을 받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대변인은 정부가 일부러 동북공정에 대응하지 않았다는 서울대 임효재 교수의 주장과 관련, "임 교수의 말이 사실이라면 우리의 역사주권을 중국에 넘긴 것과 다름없다"며 "`자주'를 강조하는 노무현 정권은 중국에게는 왜 말 한마디 못하느냐" 고 따졌다. 맹찬형 기자 mangels@yna.co.kr (서울=연합뉴스)
유 대변인은 정부가 일부러 동북공정에 대응하지 않았다는 서울대 임효재 교수의 주장과 관련, "임 교수의 말이 사실이라면 우리의 역사주권을 중국에 넘긴 것과 다름없다"며 "`자주'를 강조하는 노무현 정권은 중국에게는 왜 말 한마디 못하느냐" 고 따졌다. 맹찬형 기자 mangels@yna.co.kr (서울=연합뉴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