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첫날인 2004년 7월1일, 도심 삼일로의 중앙 버스전용차로에서 버스들이 여유있게 달리는 모습이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대선후보 리더십 검증] 한나라당 이명박 ④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는 자신을 ‘CEO시장’이라고 자평한다. 기업에서 영업 이익이 가장 중요한 것처럼, 그가 가장 우선시한 인사의 잣대는 효율과 성과였다. 한편으론 한번 일을 맡기면 책임을 맡겨 끝까지 밀어줬다. 그들은 확실히 ‘엠비의 사람’이 됐다. 그러나 공직자로서 자기 주변 정리엔 소홀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 분명한 ‘내사람’ 만들기 = 이 후보는 처음에 사람을 쓸 때는 신중하지만 일단 선택한 ‘내사람’은 끝까지 책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문가로서 밖에서 영입됐던 ㄱ·ㄴ씨가 대표적 사례다. 그들은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었으나 ‘적’이 많았다. ㄱ씨는 독선적인 스타일로 동료 공무원들의 공분을 사곤 했으며, 시 공무원으로 들어오기 이전에 ‘검은 돈’에 물렀다는 소문도 끊이지 않았다. 결국 ㄱ씨는 비리 혐의로 구속됨으로써 이 후보 곁을 떠났다. ㄴ씨는 이 후보의 대표 업적이랄 수 있는 버스체계 개편을 맡았다. 서울시 공무원들의 말을 종합하면, 버스체계 개편 시작일을 하루 앞둔 2007년 6월30일까지도 대다수 간부들은 준비가 미흡해 연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지만, ㄴ씨만은 가능하다고 큰소리쳤다. 결국 이 후보는 ㄹ씨의 말에 따랐고 이튿날 ‘버스대란’이 벌어졌다. 언론마다 카드 단말기 작동이 안 된다며 아우성치자, 이 후보는 밤늦게 ‘대시민 사과문’까지 읽었다. 두 사람을 잘라야 한다는 의견이 잇따랐지만 이 후보는 꿈쩍도 하지 않았다.
이 후보가 당시 중용했던 간부들을 살펴보면, 이 후보가 선호하는 스타일을 가늠해볼 수 있다. ㄷ씨는 아이디어가 풍부했고, 아무리 ‘견적’이 많이 나와도 새로운 사업 추진을 겁내지 않았다. 대신 그의 자리를 물려받은 후임 인사는 ㄷ씨가 벌여놓은 방대한 사업에 눌려 마무리에 애를 먹었다. 눈치가 빠른 ㄹ씨는 윗사람의 의중을 재빠르고 정확하게 읽었다. 거듭되는 그의 고속 승진에 주변에선 시기도 일었지만, 이 후보는 개의치 않았다. ㄷ·ㄹ씨 모두 지난 2006년 지방선거 때 한나라당 공천을 받을 거라는 얘기가 흘러나왔다.
특정 지역 편중 인사도 내내 도마에 올랐다. 이 후보는 여당 후보를 도와줬거나 특정 지역 출신의 공무원 이름이 적힌 ‘살생부’가 들어왔으나 자신은 이를 보지 않았다고 누누히 밝혀왔다. 그러나 당장 ‘살생’하진 않았다고 하더라도 결과적론 호남 출신이 불이익을 받았다는 것이 정설이다. 호남 출신의 과장 ㅁ씨는 “임기가 얼마 안 남았던 어느날 이 시장이 간부회의 석상에서 ‘주변에서 오해가 있는 모양인데, 난 특정 지역 출신을 절대 배척하지 않았다’고 말했을 만큼, 호남을 차별한다는 평이 많았다”고 말했다. 비호남 출신인 ㅂ씨도 “지역 안배를 신경쓰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의 자서전을 보면, 서울시 공무원 중 여당 후보를 도운 사람들이 있다고 확신하고 있으며 이것이 계속 가슴에 남아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는 선거 전 서울시 공무원들의 반대로 청계천 지하에 못 들어가봤고, 시청을 방문하려 했지만 문전박대 당했다고 썼다. 그러나 당시 상황을 알고 있는 공무원들은, 청계천 지하에도 갔었고, 시청 사무실에도 왔었다고 전한다. 실제로 그는 자신에게 시청 안내를 하지 않았던 총무과장 ㅅ씨를 한직으로 발령냈다. ■ 공익·인화보다 효율 우선= 대기업을 해본 사람답게 그는 확실히 핵심을 잘 파악하고 판단이 빨랐다. 과장 ㅈ씨는 “두툼한 보고서를 들고 가도 금방금방 요점을 잡아내고 정확한 지시를 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ㅊ씨는 “전임 시장들은 가끔씩 일요일에 시청에 나와 휴일에 일하고 있는 직원들을 불러 점심을 사주며 위로했지만 이 후보는 거의 그런 일이 없었다”며 “능률을 중시해서 그런지 일부 총애하는 사람들 말고는 정을 별로 느끼지 못했다”고 말했다. 효율을 중시하다보니 공익성을 소홀히했다는 평가도 많다. ㅋ 과장은 “서울시 사업으로 특정 업체가 혜택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어서 시장에게 특혜 논란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하자, ‘당신은 일만 잘하면 되지 기업체가 특혜를 받고 안 받고가 그리 중요하냐’라고 말했다”며 “기업과 달리 행정의 기본은 공공성인데 이를 소홀히 생각하는 것 같았다”고 지적했다. 이 시장이 정력적으로 추진한 뉴타운 개발 사업지에 친인척이 소유하고 있는 땅이 있거나, 자신의 건물이 있는 지역을 고도제한을 풀어준 일 등은 설사 일부러 특혜를 받을 의도는 없었다 하더라도 공직자로서의 처신엔 어긋나다는 비판이 높다. ■ 권한에 비해 무거운 책임= ‘일머리’를 알았던 이 후보는 시장 바로 아래 국장(3급 이상)을 ‘잡아야’ 성과를 낼 수 있음을 재빠르게 파악했다. 이 후보는 잘못된 일이 있으면 국장들을 호되게 대했다. 대신 과장(4급) 이하는 직접 꾸중하지 않았다. 그러나 시장으로부터 야단을 맞은 국장은 바로 밑의 과장을 혼냈고, 과장은 주임을 닦달했다. 일은 속도를 냈다. 하지만 국장들에게 무거운 책임을 지웠던 만큼, 권한은 이전보다 덜 줬다고 한다. 예전엔 실·국장 소관이었던 사무관(5급) 인사권을 부시장 쪽으로 집중시켰고, 자체적으로 사업 우선 순위를 정했던 것도 부시장단 윗선으로 올라갔다. 당시 본청에서 과장으로 일했던 ㅇ씨는 “당시 서울시 국장은 ‘3D 업종’이라고 불렸다”고 말했다. ■ 한나라당 사람들 챙기기= 시장 재임 시절, 서울메트로 등 시 산하 투자기관의 사외이사 중 대부분을 한나라당 사람들로 채웠던 것도 입길에 오른다. 시장 임기말인 2006년 6월 서울시 5개 투자기관 사외이사 25명 중 한나라당 출신 인사는 모두 16명이었다. 서울지하철공사 후신인 서울메트로의 경우, 고건 전 시장 때 선임된 회계사·변호사·시민단체 간부·대학교수 4명의 임기가 만료되자, 한나라당 당직자 4명이 뒤를 이었다. 벽제화장장 등을 관리하는 시설관리공단에도 장묘전문가 등이 물러나자 이 후보의 대학 동기이자 ‘천호동 뉴타운’ 특혜 의혹이 쏠렸던 홍은플래닝 대표이사 출신의 안순용씨가 이사로 선임됐다. 특히 이 후보는 사외이사 추천권과 승인권을 시장이 모두 갖는 것으로 규정을 바꿔 한나라당 인사를 손쉽게 선임할 수 있었으며, 이 때문에 감사원 지적과 개선 권고를 받았다. 한 투자기관의 고위간부 ㅌ씨는 “이 후보는 산하기관 사외이사 쯤은 자기 사람으로 심는다 해도 별 문제가 안 된다고 생각한 것 같다. 공직자로서 공사 구분에 대한 인식이 별로 없다”라고 말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이 후보의 자서전을 보면, 서울시 공무원 중 여당 후보를 도운 사람들이 있다고 확신하고 있으며 이것이 계속 가슴에 남아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는 선거 전 서울시 공무원들의 반대로 청계천 지하에 못 들어가봤고, 시청을 방문하려 했지만 문전박대 당했다고 썼다. 그러나 당시 상황을 알고 있는 공무원들은, 청계천 지하에도 갔었고, 시청 사무실에도 왔었다고 전한다. 실제로 그는 자신에게 시청 안내를 하지 않았던 총무과장 ㅅ씨를 한직으로 발령냈다. ■ 공익·인화보다 효율 우선= 대기업을 해본 사람답게 그는 확실히 핵심을 잘 파악하고 판단이 빨랐다. 과장 ㅈ씨는 “두툼한 보고서를 들고 가도 금방금방 요점을 잡아내고 정확한 지시를 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ㅊ씨는 “전임 시장들은 가끔씩 일요일에 시청에 나와 휴일에 일하고 있는 직원들을 불러 점심을 사주며 위로했지만 이 후보는 거의 그런 일이 없었다”며 “능률을 중시해서 그런지 일부 총애하는 사람들 말고는 정을 별로 느끼지 못했다”고 말했다. 효율을 중시하다보니 공익성을 소홀히했다는 평가도 많다. ㅋ 과장은 “서울시 사업으로 특정 업체가 혜택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어서 시장에게 특혜 논란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하자, ‘당신은 일만 잘하면 되지 기업체가 특혜를 받고 안 받고가 그리 중요하냐’라고 말했다”며 “기업과 달리 행정의 기본은 공공성인데 이를 소홀히 생각하는 것 같았다”고 지적했다. 이 시장이 정력적으로 추진한 뉴타운 개발 사업지에 친인척이 소유하고 있는 땅이 있거나, 자신의 건물이 있는 지역을 고도제한을 풀어준 일 등은 설사 일부러 특혜를 받을 의도는 없었다 하더라도 공직자로서의 처신엔 어긋나다는 비판이 높다. ■ 권한에 비해 무거운 책임= ‘일머리’를 알았던 이 후보는 시장 바로 아래 국장(3급 이상)을 ‘잡아야’ 성과를 낼 수 있음을 재빠르게 파악했다. 이 후보는 잘못된 일이 있으면 국장들을 호되게 대했다. 대신 과장(4급) 이하는 직접 꾸중하지 않았다. 그러나 시장으로부터 야단을 맞은 국장은 바로 밑의 과장을 혼냈고, 과장은 주임을 닦달했다. 일은 속도를 냈다. 하지만 국장들에게 무거운 책임을 지웠던 만큼, 권한은 이전보다 덜 줬다고 한다. 예전엔 실·국장 소관이었던 사무관(5급) 인사권을 부시장 쪽으로 집중시켰고, 자체적으로 사업 우선 순위를 정했던 것도 부시장단 윗선으로 올라갔다. 당시 본청에서 과장으로 일했던 ㅇ씨는 “당시 서울시 국장은 ‘3D 업종’이라고 불렸다”고 말했다. ■ 한나라당 사람들 챙기기= 시장 재임 시절, 서울메트로 등 시 산하 투자기관의 사외이사 중 대부분을 한나라당 사람들로 채웠던 것도 입길에 오른다. 시장 임기말인 2006년 6월 서울시 5개 투자기관 사외이사 25명 중 한나라당 출신 인사는 모두 16명이었다. 서울지하철공사 후신인 서울메트로의 경우, 고건 전 시장 때 선임된 회계사·변호사·시민단체 간부·대학교수 4명의 임기가 만료되자, 한나라당 당직자 4명이 뒤를 이었다. 벽제화장장 등을 관리하는 시설관리공단에도 장묘전문가 등이 물러나자 이 후보의 대학 동기이자 ‘천호동 뉴타운’ 특혜 의혹이 쏠렸던 홍은플래닝 대표이사 출신의 안순용씨가 이사로 선임됐다. 특히 이 후보는 사외이사 추천권과 승인권을 시장이 모두 갖는 것으로 규정을 바꿔 한나라당 인사를 손쉽게 선임할 수 있었으며, 이 때문에 감사원 지적과 개선 권고를 받았다. 한 투자기관의 고위간부 ㅌ씨는 “이 후보는 산하기관 사외이사 쯤은 자기 사람으로 심는다 해도 별 문제가 안 된다고 생각한 것 같다. 공직자로서 공사 구분에 대한 인식이 별로 없다”라고 말했다.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