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과의 혼인 건수
통합논술 교과서 / ③ 문화에 우열은 없는가
통계로 접근하기 / 난이도 = 중등~고1
외국인과의 혼인 건수를 살펴보면 한국남자와 외국여자, 한국여자와 외국남자 모두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한국여자와 외국남자의 혼인은 특별한 기복 없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전통적으로 ‘단일민족주의’와 ‘순혈주의’를 중시하던 우리나라에서 국제결혼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결혼에 대한 의식의 변화를 반영한다.
1994년 12월 갤럽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20대 중 국제결혼에 대하여 64.7%가 거부감이 있다고 응답했는데, 10년이 흐른 뒤에는 그 비율이 35%로 줄어 과거에 비해 국제결혼에 대한 거부감이 현격하게 줄어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제결혼의 증가로 인한 다른 문화의 유입 또한 늘게 되고, 문화 수용 및 융합에 따르는 여러 가지 문제 발생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새로운 문화의 도입 과정에서 어떠한 태도를 가지느냐는 우리 고유 문화의 창조적 발전의 계기가 될 수도 있고, 타 문화와의 갈등 요소가 될 수도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