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입시정보업체가 14일 서울 강남 센트럴시티에서 연 ‘고1 대학 합격설명회’에 참가한 학생·학부모들이 입시 전문가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혼란부르는 입학사정관제 대폭 확대]
정부지원 늘리자 대학들 법 어기고 전형계획 바꿔
연세대 122→1309명…한양대 40명→1031명으로
학생들 “갑자기 해외봉사활동 등 어찌하나” 당황 대학들이 지난해 11월 발표한 ‘2010학년도 대학 입학전형계획’을 흔들어 이른바 ‘입학사정관제 전형’을 대폭 확대하겠다는 입학전형 계획을 잇따라 내놓아, 당장 올해 시험을 치러야 하는 수험생과 교사들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입학사정관제 선도 대학에 예산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여파다. ■ 대학들, 법령 무시 대학들은 지난해 11월 대학 입학전형 계획을 발표했다.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입학전형을 공정하게 시행하고 응시생에게 예측 가능한 입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입학년도 1년3개월 전에 대입전형 계획을 공포하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달 들어 고려대·성균관대·연세대·한국외대·한양대 등이 ‘입학사정관이 전형하는 모집’ 인원을 대폭 늘리겠다고 잇따라 발표했다. 한양대는 지난해 11월엔 입학사정관으로 40명을 뽑겠다고 했는데, 이번엔 무려 26배나 늘린 1031명을 뽑겠다고 발표했다. 성균관대는 50명에서 626명으로 13배, 연세대와 한국외대도 11배가량 늘렸다. 수험생들은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서울 ㄷ고등학교 3학년인 김아무개군은 “입시 7~8개월을 남겨두고 입학사정관제가 입시에서 ‘대세’처럼 인식돼 무척 혼란스럽다”며 “갑자기 해외 봉사활동이나 자격증을 딸 수도 없는데 좀 황당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유성룡 이투스 입시정보실장은 “서울 주요 대학이 내용을 변경했으니 나머지 대학들도 너도나도 바꿀 것 같다”며 “입시는 학생들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예측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법령으로 사전 예고제를 명시하고 있는데, 대학들이 이를 무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손을 놓고 있는 모습이다. 대교협 관계자는 “입시전형 계획을 바꾸려면 대교협 차원에서 심의 대상인지 따져 봐야 하는데, 대학들이 (대교협에) 문서 한 장 보내지 않고 저마다 입시안을 발표하고 있다”며 “지금은 딱히 통제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 수험생들보다는 예산 겨냥? 대학들이 갑자기 입학사정관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은 정부 영향이 가장 크다는 지적이다. 교과부는 입학사정관제를 확산시키겠다며, 지난해 40개 대학에 128억원을 지원했던 예산을 올해는 더 늘려 40여개 대학에 236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입학사정관제를 활용한 학생 선발 인원, 입학사정관 채용 규모, 사업계획의 적절성 등을 평가해 차등 지원한다는 것이다. 한번 선정되면 큰 문제가 없는 한 5년 동안 지원받는다. 오는 7월 말 입학사정관제 지원 대학을 최종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의 한 사립대 입학처 담당자는 “정부가 10여개 선도 대학에 예산을 집중 지원한다고 하니까 대학들마다 경쟁이 붙은 것”이라며 “입학사정관제를 활용한 학생 선발 규모가 중요하니까, 입학사정관들이 조금이라도 참여하는 전형을 모두 끌어모아 다시 발표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사립대 입학처 담당자도 “정부가 입학사정관제를 교육 개혁의 핵심으로 보고 있어서, 대학들도 거부할 수 없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김소연 정민영 기자 dandy@hani.co.kr
연세대 122→1309명…한양대 40명→1031명으로
학생들 “갑자기 해외봉사활동 등 어찌하나” 당황 대학들이 지난해 11월 발표한 ‘2010학년도 대학 입학전형계획’을 흔들어 이른바 ‘입학사정관제 전형’을 대폭 확대하겠다는 입학전형 계획을 잇따라 내놓아, 당장 올해 시험을 치러야 하는 수험생과 교사들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입학사정관제 선도 대학에 예산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여파다. ■ 대학들, 법령 무시 대학들은 지난해 11월 대학 입학전형 계획을 발표했다.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입학전형을 공정하게 시행하고 응시생에게 예측 가능한 입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입학년도 1년3개월 전에 대입전형 계획을 공포하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달 들어 고려대·성균관대·연세대·한국외대·한양대 등이 ‘입학사정관이 전형하는 모집’ 인원을 대폭 늘리겠다고 잇따라 발표했다. 한양대는 지난해 11월엔 입학사정관으로 40명을 뽑겠다고 했는데, 이번엔 무려 26배나 늘린 1031명을 뽑겠다고 발표했다. 성균관대는 50명에서 626명으로 13배, 연세대와 한국외대도 11배가량 늘렸다. 수험생들은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서울 ㄷ고등학교 3학년인 김아무개군은 “입시 7~8개월을 남겨두고 입학사정관제가 입시에서 ‘대세’처럼 인식돼 무척 혼란스럽다”며 “갑자기 해외 봉사활동이나 자격증을 딸 수도 없는데 좀 황당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유성룡 이투스 입시정보실장은 “서울 주요 대학이 내용을 변경했으니 나머지 대학들도 너도나도 바꿀 것 같다”며 “입시는 학생들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예측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법령으로 사전 예고제를 명시하고 있는데, 대학들이 이를 무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손을 놓고 있는 모습이다. 대교협 관계자는 “입시전형 계획을 바꾸려면 대교협 차원에서 심의 대상인지 따져 봐야 하는데, 대학들이 (대교협에) 문서 한 장 보내지 않고 저마다 입시안을 발표하고 있다”며 “지금은 딱히 통제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 수험생들보다는 예산 겨냥? 대학들이 갑자기 입학사정관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은 정부 영향이 가장 크다는 지적이다. 교과부는 입학사정관제를 확산시키겠다며, 지난해 40개 대학에 128억원을 지원했던 예산을 올해는 더 늘려 40여개 대학에 236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입학사정관제를 활용한 학생 선발 인원, 입학사정관 채용 규모, 사업계획의 적절성 등을 평가해 차등 지원한다는 것이다. 한번 선정되면 큰 문제가 없는 한 5년 동안 지원받는다. 오는 7월 말 입학사정관제 지원 대학을 최종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의 한 사립대 입학처 담당자는 “정부가 10여개 선도 대학에 예산을 집중 지원한다고 하니까 대학들마다 경쟁이 붙은 것”이라며 “입학사정관제를 활용한 학생 선발 규모가 중요하니까, 입학사정관들이 조금이라도 참여하는 전형을 모두 끌어모아 다시 발표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사립대 입학처 담당자도 “정부가 입학사정관제를 교육 개혁의 핵심으로 보고 있어서, 대학들도 거부할 수 없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김소연 정민영 기자 dandy@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