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자주파 당원(왼쪽)과 평등파 당원들이 3일 오후 서울 서초구 반포동 센트럴시티 밀레니엄홀에서 열린 임시 당대회에서 서로 다른 주장을 담은 손팻말을 각각 들고 있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민노총 · 전농 등 내부갈등 속 갈릴 것으로 관측
중앙파 “노동자정당 아냐” - 국민파 “지지 계속” 민주노동당의 ‘분당 위기’가 민주노총,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빈민연합 등 민주노동당을 지지해온 대중단체 내부의 갈등과 대립으로 이어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일각에선 민주노동당이 둘로 나뉠 경우 일부 단체들의 지지 정당도 둘로 갈릴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 민주노총 내부 이견=국민파와 중앙파로 대립해온 민주노총의 의견그룹들은 지난 3일 열린 민노당 당대회 결과에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당내 평등파와 비슷한 정치적 태도를 보여온 중앙파의 한 간부는 4일 “조합원들의 탈당 신청이 쏟아지고 있다”며 “종북 노선과 관련된 평가는 아예 거부되는 등 민노당은 더이상 노동자의 정당으로 볼 수 없어 새로운 정당 결성이 불가피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간부는 또 “16일 열리는 ‘전진’의 총회 결정을 지켜본 뒤 방침을 정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그동안 당내 자주파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취하면서도, 신당 추진 움직임에는 신중한 태도를 견지해 왔다. 반면, 국민파(자주파 계열)로 분류되는 ‘민주노동자전국회의’의 한 고위 간부는 이날 “분당 행위는 당원들의 염원을 배신하는 것이며, 민노당을 아끼고 사랑하는 민중의 뜻을 정면으로 거스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 지도부도 이들과 같은 반응이다. 우문숙 민주노총 대변인은 “당대회는 정파 논리로 부결된 게 아니라, 대의원들로부터 혁신안의 내용이 올바르지 않다는 검증을 받은 것으로 봐야 한다”며 “기존 민노당에 대한 지지 방침은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 내에서 ‘교섭’과 ‘투쟁’ 전술을 두고 팽팽한 대립을 보여온 양쪽의 갈등은 민노당의 분당 위기가 고조되면서 좀더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 총선 대응에 변수=민주노총 내부의 의견이 팽팽히 맞서면서 ‘4월 총선 대응방안’을 두고도 내부 논쟁에 휩싸일 전망이다. 민주노총은 지난달 24일 대의원대회에서 민주노총 출신 간부 33명이 민노당으로 출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일부 산별연맹의 현장 간부들은 민노당에 대한 배타적 지지 방침을 철회하는 방안을 두고 내부 논의를 벌이기 시작했다. 새 진보정당이 나오게 되면 예비 후보들의 출마 정당이 기존 민노당과 새 진보정당으로 나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의 한 관계자는 “총선에서 민주노총의 지지를 받는 정당과 그렇지 않은 정당은 영향력에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며 “온건 평등파에 가까운 이들이 탈당에 신중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정영태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민노당의 분열은 민주노총의 정치적 분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는 노동운동의 영향력 축소로 이어질 것 같다”고 우려했다. ■ 전농·전빈련에도 영향=전국농민회총연맹과 전국빈민연합 등도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두 단체는 당 비대위의 혁신안에 서로 다른 태도를 보여왔다. 혁신안에 반대해온 전농의 이창한 정책위원장은 이날 “민노당이 어려운 상황에 처한 만큼 당의 정상화를 위해 힘을 뭉쳐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혁신안을 지지해온 전빈련의 김상열 대외협력국장은 “특정 정파의 이익을 앞세운 어제 당대회 결과와 관련해 앞으로의 입장을 논의하는 긴급 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빈련의 경우, 전농과 달리 민노당에 대한 배타적 지지 방침을 철회할 가능성이 있음을 내비친 셈이다. 하지만 이들 두 단체는 민노당의 정파 갈등이 자신들의 조직 내부 갈등으로까지 심화·확대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황보연 이완 기자 whynot@hani.co.kr
중앙파 “노동자정당 아냐” - 국민파 “지지 계속” 민주노동당의 ‘분당 위기’가 민주노총,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빈민연합 등 민주노동당을 지지해온 대중단체 내부의 갈등과 대립으로 이어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일각에선 민주노동당이 둘로 나뉠 경우 일부 단체들의 지지 정당도 둘로 갈릴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 민주노총 내부 이견=국민파와 중앙파로 대립해온 민주노총의 의견그룹들은 지난 3일 열린 민노당 당대회 결과에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당내 평등파와 비슷한 정치적 태도를 보여온 중앙파의 한 간부는 4일 “조합원들의 탈당 신청이 쏟아지고 있다”며 “종북 노선과 관련된 평가는 아예 거부되는 등 민노당은 더이상 노동자의 정당으로 볼 수 없어 새로운 정당 결성이 불가피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간부는 또 “16일 열리는 ‘전진’의 총회 결정을 지켜본 뒤 방침을 정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그동안 당내 자주파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취하면서도, 신당 추진 움직임에는 신중한 태도를 견지해 왔다. 반면, 국민파(자주파 계열)로 분류되는 ‘민주노동자전국회의’의 한 고위 간부는 이날 “분당 행위는 당원들의 염원을 배신하는 것이며, 민노당을 아끼고 사랑하는 민중의 뜻을 정면으로 거스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 지도부도 이들과 같은 반응이다. 우문숙 민주노총 대변인은 “당대회는 정파 논리로 부결된 게 아니라, 대의원들로부터 혁신안의 내용이 올바르지 않다는 검증을 받은 것으로 봐야 한다”며 “기존 민노당에 대한 지지 방침은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 내에서 ‘교섭’과 ‘투쟁’ 전술을 두고 팽팽한 대립을 보여온 양쪽의 갈등은 민노당의 분당 위기가 고조되면서 좀더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 총선 대응에 변수=민주노총 내부의 의견이 팽팽히 맞서면서 ‘4월 총선 대응방안’을 두고도 내부 논쟁에 휩싸일 전망이다. 민주노총은 지난달 24일 대의원대회에서 민주노총 출신 간부 33명이 민노당으로 출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일부 산별연맹의 현장 간부들은 민노당에 대한 배타적 지지 방침을 철회하는 방안을 두고 내부 논의를 벌이기 시작했다. 새 진보정당이 나오게 되면 예비 후보들의 출마 정당이 기존 민노당과 새 진보정당으로 나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의 한 관계자는 “총선에서 민주노총의 지지를 받는 정당과 그렇지 않은 정당은 영향력에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며 “온건 평등파에 가까운 이들이 탈당에 신중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정영태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민노당의 분열은 민주노총의 정치적 분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는 노동운동의 영향력 축소로 이어질 것 같다”고 우려했다. ■ 전농·전빈련에도 영향=전국농민회총연맹과 전국빈민연합 등도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두 단체는 당 비대위의 혁신안에 서로 다른 태도를 보여왔다. 혁신안에 반대해온 전농의 이창한 정책위원장은 이날 “민노당이 어려운 상황에 처한 만큼 당의 정상화를 위해 힘을 뭉쳐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혁신안을 지지해온 전빈련의 김상열 대외협력국장은 “특정 정파의 이익을 앞세운 어제 당대회 결과와 관련해 앞으로의 입장을 논의하는 긴급 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빈련의 경우, 전농과 달리 민노당에 대한 배타적 지지 방침을 철회할 가능성이 있음을 내비친 셈이다. 하지만 이들 두 단체는 민노당의 정파 갈등이 자신들의 조직 내부 갈등으로까지 심화·확대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황보연 이완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