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연차씨 “그냥 준 돈”…사실상 ‘몽통’ 지목
“나중에 알았다”는 노 전대통령 입장과 달라
“나중에 알았다”는 노 전대통령 입장과 달라
노무현 전 대통령을 겨냥한 검찰 수사가 ‘8부 능선’을 넘어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검찰은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으로부터 노 전 대통령의 조카사위 연철호씨에게 500만달러를 투자한 것은 노 전 대통령의 요청에 따른 것이며, 노 전 대통령을 의식해 정상문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에게 100만달러를 건넸다는 진술을 받아냈다.
노 전 대통령은 자신을 둘러싼 두 가지 금품수수 의혹에 대해 모두 퇴임 뒤에 알았을 뿐이라고 설명해 왔다. ‘100만달러’를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부인 권양숙씨가 정 전 비서관을 거쳐 박 회장에게서 빌린 돈이 있고, 500만달러는 연씨의 사업에 대한 투자금으로 자신과는 무관하다는 뜻을 밝혀 왔다.
하지만 100만달러가 노 전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청와대 안에서, 그것도 청와대 살림살이 및 대통령 가족과 관련된 돈의 출납 등을 맡은 정 전 비서관에게 전달됐다는 점에서 노 전 대통령이 이런 사실을 전혀 몰랐다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수사팀 관계자는 “(청와대 안에서 돈을 받았다는 것과) 이 돈이 노 전 대통령에게 전달됐는지, 부인 권씨에게 전달됐는지는 별개의 문제”라고 말했지만, 검찰은 적어도 노 전 대통령이 이런 사실을 알고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자신의 후원자한테서 부인이 거액을 받았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는 것 자체가 석연치 않기 때문이다. 박 회장은 이와 관련해 “노 대통령 쪽의 요구로 돈을 건넸다”며, 빌려 준 돈이 아니라 그냥 준 돈이라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10억원 상당의 돈이 원화가 아닌 달러로만 건너갔다는 것도 정상적 차용금은 아닐 것이라는 분석을 뒷받침한다.
검찰은 박 회장한테서 ‘빌린’ 돈을 권씨가 사용했다는 노 전 대통령의 주장에 대해 “(노 전 대통령이 올린) 사과 글을 통해 처음 들었다”고 설명했다. 100만달러의 존재를 처음 알았다는 게 아니라, 이미 돈의 ‘실수령자’를 노 전 대통령으로 지목하고 있었기 때문에 맥락이 다르다는 뜻으로 들린다. 그러나 문재인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100만달러의 사용처에 대해 “(권씨가) 집안일에 썼다는 것만 알 뿐 나도 모른다”며 “(하지만) 노 전 대통령이 이 돈의 존재를 안 것은 근래라고 알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500만달러에 대해서도 노 전 대통령이 투자 과정에 개입했고, 퇴임 전에 이를 알고 있었을 것이라는 점을 관련자 진술 등을 통해 어느 정도 밝혀낸 듯하다. 500만달러 투자가 논의되던 지난해 1월에 노 전 대통령의 아들 노건호씨와 연철호씨가 베트남에 있던 박 회장을 찾아가 “사업 설명을 했다”는 사실까지 드러나면서, 노 전 대통령의 입지는 점차 좁아지는 형국이다.
당시 노씨는 다니던 회사에 무급휴직계를 내고 경영대학원을 다닐 정도로 창업투자에 관심을 보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형식적으로는 연씨 회사가 박 회장의 투자금을 운용하지만 투자 방향이나 이익금 배분 등에는 노 전 대통령 쪽이 개입했을 개연성이 제기된다.
노 전 대통령은 지난 8일 자신의 누리집에 올린 글에서 “제가 알고 있는 진실과 검찰이 의심하고 있는 프레임이 같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노 전 대통령과 검찰이 조사실에 마주 앉아 각자의 ‘진실’을 다툴 날이 다가오고 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