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사진과 오늘] 서울광장의 붉은 악마와 효순·미선 촛불 - 6월13일(금)

등록 2014-06-12 17:52수정 2014-06-13 09:16

2013년 6월13일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사고현장에서 열린 추모행사 참석자가 고인의 넋을 위로하며 종이 나비를 영정사진에 붙이고 있다. 한겨레 박종식
2013년 6월13일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사고현장에서 열린 추모행사 참석자가 고인의 넋을 위로하며 종이 나비를 영정사진에 붙이고 있다. 한겨레 박종식
4강 신화를 일궈낸 한일 월드컵 열기가 온나라를 달구던 2002년 오늘, 두 여중생이 참혹한 죽임을 당했습니다. 어린 넋들에게 바친 추모시로 12년 전 그날을 돌아봅니다.
그날 유월 푸른 하늘
햇살아래 눈부신 흰빛으로 피어나던 접시꽃을 보았다
그날 유월 십삼일
미군의 궤도차량에 난도질처럼 으깨어진 흰 접시꽃 두 송이가 있었다.
살아서 세상의 작은 등불이었을 어린 꽃들이
붉은 피 흘리며 죽어 이 땅의 한 사람 한 사람
까맣게 잊고 살던 우리들을 일깨우는구나
여기 이렇게 우리들의 손에 들린 촛불이 되어 타오르는구나

죄가 있다면 이 잘못된 조국,
자국민의 존엄성과 생존권을 보호하지 못하고 짓밟으려는
못난 조국에서 태어난 것이리라
제국주의 미국의 식민지, 분단된 땅을 조국이라는 이름으로 둔 것이리라
사리사욕에 물든 이 나라 정치꾼들이
역대 군사독재 정권들이 너희들을 죽였다
미국에 빌붙어 눈치만 살피는 이 나라 대통령들이 너희들을 죽였다
- 박남준 시인의 〈흰 접시꽃 두 송이, 미선이와 효순이에게〉중에서 -

2002년 6월13일 오전 10시45분께 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56번 지방도로. 친구의 생일잔치에 가던 조양중학교 2학년 심미선, 신효순 학생이 미군 2사단 44공병대 소속 가교운반용 궤도차량(운전사 워커 마크 병장·36)에 치어 그 자리에서 숨졌다. 사건 처리과정에서 비극은 분노로 이어졌다. 미군은 "조사 결과 신양과 심양의 죽음을 몰고 온 비극적 사건과 관련해 누구에게도 과실이 없다"고 했다. 더구나 '한-미 주둔군 지위협정(SOFA)' 제22조 3항에 따라 재판권을 가해자 쪽인 미국이 가졌다. 미 군사법원은 11월 말 무죄를 선고했다. 법정에서 무죄평결을 받고 미소까지 짓던 관제병과 운전병의 죄를 영원히 물을 수 없게 된 것입니다.

2002년 6월 내내 서울광장은, 대한민국 온누리는 ‘오 필승 코리아!’를 연호하는 붉은 함성으로 가득 찼다. 한겨레 박승화
2002년 6월 내내 서울광장은, 대한민국 온누리는 ‘오 필승 코리아!’를 연호하는 붉은 함성으로 가득 찼다. 한겨레 박승화

2002년 6월 13일, 초여름
월드컵의 뜨거운 함성이 온 세계를 뒤덮고 있을 때
대한민국의 한 작은 도시 의정부에서는
들꽃 같은 두 소녀의 잔인한 죽음이 기다리고 있었다

세계적인 화가와 무용가가 꿈이었던 우리의 두 여중생은
그렇게 갔다, 그렇게 백주대낮에 형체도 비명도 없이 갔다
바로 그 날,
우리들은 어디에 있었던가, 어디에서 무얼 하고 있었던가
월드컵의 화려한 잔치 속에 불꽃놀이를 하고 있을 때,
'오 대한민국! 오 필승 코리아!'를 외치며 열광하고 있을 때,
'꿈은 이루어진다'는 대형 현수막을 활짝 펼치고 있을 때,
두 소녀의 꿈은 미군탱크 아래 참혹하게 짓밟히고 있었다
- 이산하 시인의 〈두 소녀의 죽음〉중에서 -

사고가 발생한 날은 지방선거 투표일이라 언론에 거의 보도조차 되지 않았다. 장례를 치르고 한줌의 재로 변한 이들을 보내던 날 국화꽃 한 송이씩을 손에 든 친구들은 교실의 빈자리를 보며 울음바다를 이뤘다. 느닷없는 어린 생명의 죽음 앞에 유족들은 피맺힌 울음을 오래토록 흘렸다. 탄식과 비통의 울음은 온 나라를 휩쓴 월드컵 열기 속에 묻혀버렸습니다.

2002년 12월14일 열린 ‘주권회복의 날 10만 범국민평화대행진’에 참석한 시민학생들이 촛불을 밝혔다. 6월의 붉은 함성이 울려 퍼지던 바로 그 자리에서. 한겨레 박승화
2002년 12월14일 열린 ‘주권회복의 날 10만 범국민평화대행진’에 참석한 시민학생들이 촛불을 밝혔다. 6월의 붉은 함성이 울려 퍼지던 바로 그 자리에서. 한겨레 박승화

촛불이 타오른다.
촛불이 타오른다.
눈물처럼 촛불이
슬픔처럼 촛불이

여기 서울의 시청 앞에서
저기 부산과 광주, 인천 대전 대구 등 대도시뿐만 아니라
전국 곳곳의 버스터미널에서, 농협공판장에서, 시장에서, 공원에서
촛불은 자존심의 화염이 된다.
여기 한반도에서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일본에서도, 독일, 프랑스, 러시아, 스웨덴에서도
촛불은 뜨거운 연대의 화염이 된다.

효순아, 미선아
이 꽃밭에서 새처럼 나비처럼 날아오르렴
날아오르며, 날아오르며
다시 푸른 산이 된 사람들을 보아주렴
다시 붉은 마음의 화산이 된 사람들을 보아주렴
- 안찬수 시인의〈촛불〉중에서 -

피지도 못하고 하늘의 별이 된 250여 꽃송이를 가슴에 안은 채 다시 월드컵을 맞게 되었습니다. 장철규 기획위원 chang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