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인간과동물

이 세상에 하나 밖에 둘도 없는, 나의 훈아

등록 2018-03-30 13:01수정 2018-03-30 14:07

[애니멀피플] 김하연의 묻지 않는 고양이
적극적으로 삶을 개척하는 고양이 훈이
살기 위해 두려움 무릅쓰고 다가오는
우리 주변 수많은 '훈이'들을 위하여
턱에 까만 털이 난 고양이 훈이. 가수 나훈아의 턱수염과 비슷한 모양이라 훈이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턱에 까만 털이 난 고양이 훈이. 가수 나훈아의 턱수염과 비슷한 모양이라 훈이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이름은 훈이. 입 아래 턱수염처럼 난 털이 가수 나훈아와 비슷해서 그렇게 지었다. 훈이는 어느 해 봄, 건물 주차장 옆 작은 지붕 위에서 태어났다. 훈이를 포함해서 모두 여섯이 형제였다. 그러다가 엄마가 새끼들을 품 안에 넣고 돌보고 있을 무렵 아이 둘이 사라졌다. 사람 손이 닿지 않은 곳에서 지냈던 터라 사람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은 아닌 것 같았다. 훈이 엄마는 아이들이 발도리를 시작했을 정도로 컸을 무렵 내게 아이들을 데리고 와서 스스럼없이 보여주었다.

엄마와 인연이 된 것도 6년이 되었다. 그동안 크고 작은 일을 겪으면서 엄마가 날 믿었기에 아이들을 데리고 온 것 같았다. 그런데 데리고 온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맡기고 갔다. 어느 날 엄마는 아이들 옆에서 사라졌다.

그렇게 훈이와 인연은 시작되었다. 다른 형제들이 두려움에 앞으로 나서지 않고 불안해하며 망설이고 있을 때, 내 앞으로 가장 가까이 다가온 아이가 훈이였다. 오토바이 소리만 나면 달려 나와 내 주위를 서성거리다가 비닐봉지에 손을 집에 넣으면 모든 동작을 멈추고 눈에서 뭐가 나올 것 같이 손을 뚫어지게 볼 만큼 식탐이 있었다. 다른 형제들이 뒤에서 머뭇거릴 때 가장 앞에 앉아서 닭가슴살을 얻기 전까지는 사료에 눈길도 주지 않고 오로지 내 손만 바라보는 아이였다. 그러다 조금이라도 기다림이 길어지면 바닥에 누워서 뒹굴뒹굴거리고 기지개도 폈다가 ‘똥꼬발랄’한 자세로 그루밍도 하다가 저렇게 손을 뻗는 시늉까지 한다. 닭가슴살을 안 줄 수가 없다. 안 준다면 내가 나쁜 사람이 되는 느낌이 든다. 얼마나 간절하게 원하는지는 눈빛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래서 훈이를 위한 닭가슴살 하나는 꼭 남겨 놓는다.

훈이가 사람을 보는 눈은 여느 길고양이처럼 경계로 가득 차 있지 않다. 사람의 온화한 손길을 아는 그의 눈빛은 집고양이만큼 친근하다.
훈이가 사람을 보는 눈은 여느 길고양이처럼 경계로 가득 차 있지 않다. 사람의 온화한 손길을 아는 그의 눈빛은 집고양이만큼 친근하다.
이렇게 믿어야 한다면 믿고, 의지할 수 있다면 의지하는 것이 적극적인 삶의 태도임을 몸으로 보여주는 아이가 훈이다. 사실 주차장 아이들을 돌보는 사람은 나 뿐이 아니다. 다른 두 가지의 사료가 각기 다른 장소에 놓여 있는 것으로 보아 두 명 정도 더 있을 것 같다. 아마도 나를 비롯해서 그 두 분의 호의가 쌓여서 훈이의 눈빛이 집고양이에 버금가도록 친근하게 변했을 것이다. 한 사람보다는 두 사람이, 두 사람보다는 세 사람의 호의가 길 위에 쌓이면 길고양이는 살만해지고 눈빛도 변하는 것이다. 길고양이가 살만하다면 사람도 그만큼 살만해지는 것이다.

훈이가 자신만의 영역을 찾아 떠나는 그 순간까지 내미는 손을 꽉 잡아줄 것이다. 닭가슴살도 주고 똥도 부지런히 치우면서 말이다. 저런 눈빛을 내게 선물한다면 그 정도 수고는 수고도 아니다. 멀리 보지 말고 자신의 발 아래를 조금만 둘러보자. 우리 주변에는 많은 훈이들이 어제도 오늘도 당연히 내일도 나와 당신에게 손을 내밀고 있다. 살기 위해 살아내기 위해서. 부디 그 손을 뿌리치지 않고 한 번 정도만이라도 잡아주면 좋겠다.

김하연 길고양이 사진가

훈이가 어서 닭가슴살을 내놓으라는 듯 뒹굴거리며 기다리고 있다.
훈이가 어서 닭가슴살을 내놓으라는 듯 뒹굴거리며 기다리고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