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전북대학교 총장 선거를 앞두고 경찰청 김아무개 경감이 교수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
“수사가 너무 길어지는 것 같아 답답하고 불편하다. 문자메시지를 교수들에게 보낸 경찰청 소속 김 경감을 서울중앙지검에 직접 고소하고 싶은 생각도 드는 등 만감이 교차한다.”
지난해 10월 치러진 전북대학교 총장 선거와 관련해, 전북대 교수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낸 경찰청 수사국 김 경감 등에 대한 수사가 장기화하자, 이를 고발한 전북대 한 교수의 푸념이다. 장준갑 등 전북대 교수 40명은 지난해 11월26일, 김 경감으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처음 받은 교수와 이를 전달한 교수 등 3명을 교육공무원법 위반과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전주지검에 고발했다. 검찰은 경찰에 지난 1월27일까지 재지휘받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현재 전북 전주덕진경찰서는 이와 관련한 수사를 벌이고 있다.
그런데, 이 사건에 대한 수사는 왜 지연되고 있을까? 애초부터 이 사건은 경찰관이 개입돼 수사가 바로 끝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물론 경찰 쪽에서는 공정한 수사를 벌이겠다고 밝혔다. 전북경찰청은 수사 초기인 지난해 11월 “경찰관이라고 봐주는 것 없다. 해당 경찰서에서 성역없이 본말을 제대로 수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인철 전북경찰청장도 지난 1월7일 기자간담회에서 “국립대 총장선거에 경찰관이 개입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이다. 사건에 여러 사람이 개입돼 있기에 법률적인 검토를 충분히 하겠다”고 말했다. 그래서 덕진경찰서는 지난달 말까지는 수사를 끝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해 11월13일 전북대학교에서 교수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경찰개입 의혹 등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박임근 기자
이에 대해 전주덕진경찰서는 지난 30일 “사건이 복잡하다. 아직 검찰에 송치하지 않았다. 여러 관련자들의 진술을 확인하다보니까 수사 기간이 길어진다”고 밝혔다. 경찰은 “추가 보강수사를 위해 검찰 지휘를 받아 수사 기간이 한 달간 연장됐다. 2월27일까지는 수사를 마무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발인 장준갑 교수는 “지난해 11월 검찰에서 고발 사건에 대한 수사지휘 통지를 보냈다. 하지만 두 달이 넘었는데도 아무런 얘기가 없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이번 사태의 본질을 명명백백하게 규명하지 못하면 다음 총장 선거도 이번처럼 정책 대결 없이 진흙탕 싸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조속히 진상을 규명하고 위법 행위자를 처벌해야 한다. 진실을 기본이 돼야 대학 발전과 구성원 화합이 가능하다”고 역설했다.
전북대에선 지난해 10월29일 치러진 전북대의 제18대 총장임용후보자 선거 과정에서 경찰청의 한 경감이 당시 총장이었던 후보자에 대한 내사 사실을 교수들에게 알려 논란을 일으켰다. 이 논란 속에서 당시 총장이었던 후보가 2순위로 밀리고, 다른 후보가 1순위로 올라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선거 결과에 따라 1순위로 뽑힌 김동원(60) 후보자는 예정보다 40여일 늦은 지난달 28일부터 4년 임기의 총장직을 시작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