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언론에서 공천 탈락이 거론된 송영선 한나라당 의원(가운데)이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방호 사무총장에게 소명서를 전달하며 말을 건네자 이 총장이 손사래를 치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다시 불붙은 한나라 공천갈등
“공심위원 교체할 수도” 4명 인준 보류
‘이명박계 독주’ 제동…지분 다툼 재연
“공심위원 교체할 수도” 4명 인준 보류
‘이명박계 독주’ 제동…지분 다툼 재연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3일 공천심사위원회(공심위)의 공정성에 정색을 하고 문제를 제기했다. 정몽준 최고위원도 ‘계파공천’ 양상을 비판했다. 더 나아가 강 대표를 비롯한 최고위원회는 공심위가 확정한 1차 공천자 71명 가운데 4명의 인준을 보류했다. 경합지역 공천이 막바지로 치달으면서, 공천 심사의 공정성을 둘러싼 논란이 불붙는 형국이다.
강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계파적인 시각에서만 공천심사에 임하는 사람들이 있다는데, 공천심사가 끝날 때까지 그 공심위원으로 간다는 보장이 없다. 문제가 있다면 공심위원도 최고위 의결로 교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공심위원 교체를 언급한 초강경 경고다. 정몽준 최고위원도 “강 대표가 공심위 일부 위원이 계파적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했는데 나도 비슷한 우려가 있다”고 거들었다.
이날 최고위는 공심위가 공천자로 확정했다고 발표한 71명 가운데 인명진 윤리위원장이 도덕성 문제를 제기한 서울 은평갑(김영일)과 강북을(안홍렬) 등 4곳의 인준을 보류했다. 공심위가 전략지역 공천자로 확정했던 충남 서산·태안의 김병묵 전 경희대 총장과 경기 안성의 김학용 전 경기도의원의 공천도 일단 보류됐다. 도덕성이 문제가 된 2곳에 대해, 안강민 공심위원장은 “좀더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충남 서산·태안과 경기 안성은 여론조사 등을 거쳐서 확정하기로 했다고 나경원 대변인이 전했다.
강재섭 대표와 정몽준 최고위원이 공천심사 과정을 ‘계파 공천’이라고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나선 직접 발단은, ‘이명박계’로 분류되는 한 공심위원이 박근혜계인 송영선 의원이 공천에서 탈락된 듯한 뉘앙스로 브리핑을 한 것 때문이라고 한 관계자는 말했다. ‘친박’ 인사들은 이날 최고위에서 이 공심위원의 실명을 거론하며 강하게 비판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그 이면엔, 이명박계의 독주를 제어하려는 강 대표와 정 최고위원의 정치적 이해가 깔려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강 대표와 정 최고위원은 특히 이방호 사무총장 등 ‘이명박계’로 분류되는 공천심사위원들이 공천을 ‘싹쓸이’하다시피 하는 현상에 강한 불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으로 있을 수도권 경합지와 영남지역 공천심사를 앞두고, 최고위원회의 권한을 내세워 ‘이명박계’를 견제하며 자기 사람을 보호하려 한다는 것이다. 강 대표와 가까운 인사들이 아직 한사람도 공천 확정되지 않은 채 ‘2배수 후보’에만 들어 있는 상황도 강 대표의 심기를 건드린 것으로 보인다. 정몽준 최고위원이 지원한 후보들 가운데서도 아직 공천이 확정된 인사가 없다. 강 대표와 가까운 한 인사는 “‘강재섭 사람’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이 여론조사나 면접에서 많이 밀렸다는 이야기를 듣고, 강 대표가 화가 많이 났다”고 전했다. 그러나 공천심사위가 강 대표 등의 우려를 수용할지 극히 불투명해, 논란을 앞으로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그러나 그 이면엔, 이명박계의 독주를 제어하려는 강 대표와 정 최고위원의 정치적 이해가 깔려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강 대표와 정 최고위원은 특히 이방호 사무총장 등 ‘이명박계’로 분류되는 공천심사위원들이 공천을 ‘싹쓸이’하다시피 하는 현상에 강한 불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으로 있을 수도권 경합지와 영남지역 공천심사를 앞두고, 최고위원회의 권한을 내세워 ‘이명박계’를 견제하며 자기 사람을 보호하려 한다는 것이다. 강 대표와 가까운 인사들이 아직 한사람도 공천 확정되지 않은 채 ‘2배수 후보’에만 들어 있는 상황도 강 대표의 심기를 건드린 것으로 보인다. 정몽준 최고위원이 지원한 후보들 가운데서도 아직 공천이 확정된 인사가 없다. 강 대표와 가까운 한 인사는 “‘강재섭 사람’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이 여론조사나 면접에서 많이 밀렸다는 이야기를 듣고, 강 대표가 화가 많이 났다”고 전했다. 그러나 공천심사위가 강 대표 등의 우려를 수용할지 극히 불투명해, 논란을 앞으로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