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30일 오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무역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영상 홍보물을 보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성급한 탈당’ 친노 입지약화 우려
친노-신당파 ‘주도권 싸움’ 불가피 지난 28일 국무회의에서 열린우리당 탈당 가능성을 강하게 내비쳤던 노무현 대통령이 30일엔 “당을 지키겠다”고 선언했다. 명분은 “지역당으로 회귀하는 신당에 반대한다”는 것이다. 열린우리당의 많은 의원들은 “또 말을 바꾸냐”며 반발했다. 노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지난 28일 국무회의 발언이 ‘곧 탈당’으로 해석되는 걸 차단하면서, 신당을 추진하는 쪽과 한판 싸움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윤태영 대변인은 “국무회의 발언은 당적을 포기하는 4번째 대통령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는 취지였다. ‘즉각 탈당’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여기엔 당내 통합신당파들에 밀려서 당을 떠나진 않겠다는 의지가 실려 있다. 당내 ‘친노’ 의원들에게 “흔들리지 말고 당을 지키라”는 메시지도 담고 있다. 노 대통령의 측근인 이광재 의원은 “대통령의 뜻은 한결같다. 필요하면 탈당할 수 있으나 지금의 정계개편 구도엔 동의할 수 없다. 그러니 당을 지킨다는 얘기다”라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은 냉소했다. 오락가락하는 태도에 “짜증난다”는 반응이 많았다. 우상호 대변인은 “우리는 시대정신을 구현할 새 정치세력을 규합하려는 것이지, 결코 지역당으로 돌아가려는 것이 아니다. 대통령은 큰 걱정 안 하셔도 된다”고 말했다. 말은 부드럽지만 “당 일에서 손떼라”는 차가운 반격이다. 노 대통령 탈당에 찬성하는 한 초선 의원은 “대통령 심기가 혼란스러운 모양이다. 하도 왔다 갔다 하니까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의원들은 무엇보다 당내 광범위한 공감대를 형성한 통합신당 추진을 ‘지역당 회귀 시도’로 깎아내린 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서울지역 한 초선 의원은 “대통령 얘기는 ‘통합신당은 지역당에 불과하니 하고 싶으면 당신들이 나가서 해보라’는 것 아니냐”며 “당·청 관계가 갈 데까지 간 것 같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당 진로를 놓고 벌어질 격렬한 내부투쟁 과정에서 이른바 통합신당파가 스스로 당을 떠나는 상황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친노 직계’ 의원들 중심의 열린우리당 사수론자들이 당을 이어가야 되는데, 이런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는 얘기다. 노 대통령의 또다른 핵심 참모는 “지금은 당내에서 대통령 탈당을 요구하는 사람의 목소리가 많은 듯 보이지만 앞으로의 당 진로에 대해선 토론이 필요하다”며 “이 과정에서 통합신당파가 당을 나갈 수도 있고 이른바 ‘친노 직계’가 당을 나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물론, 친노파가 당을 나가면 노 대통령도 탈당할 게 분명하다. 노 대통령이 “당을 지키겠다”고 하면서도 “탈당이 당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덧붙인 건 이런 상황을 염두에 둔 것 같다. 노 대통령의 이날 발언으로, 당내에선 정계개편 추진을 둘러싸고 통합신당파와 ‘친노 직계’들과의 정면 충돌이 불가피하다는 견해가 많다. 김근태 의장과 김한길 원내대표 등 통합신당파는 노 대통령과 모양 좋게 갈라서는 걸 바라지만, 이제 그렇게 될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인다. 신승근 이태희 기자 skshin@hani.co.kr
친노-신당파 ‘주도권 싸움’ 불가피 지난 28일 국무회의에서 열린우리당 탈당 가능성을 강하게 내비쳤던 노무현 대통령이 30일엔 “당을 지키겠다”고 선언했다. 명분은 “지역당으로 회귀하는 신당에 반대한다”는 것이다. 열린우리당의 많은 의원들은 “또 말을 바꾸냐”며 반발했다. 노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지난 28일 국무회의 발언이 ‘곧 탈당’으로 해석되는 걸 차단하면서, 신당을 추진하는 쪽과 한판 싸움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윤태영 대변인은 “국무회의 발언은 당적을 포기하는 4번째 대통령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는 취지였다. ‘즉각 탈당’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여기엔 당내 통합신당파들에 밀려서 당을 떠나진 않겠다는 의지가 실려 있다. 당내 ‘친노’ 의원들에게 “흔들리지 말고 당을 지키라”는 메시지도 담고 있다. 노 대통령의 측근인 이광재 의원은 “대통령의 뜻은 한결같다. 필요하면 탈당할 수 있으나 지금의 정계개편 구도엔 동의할 수 없다. 그러니 당을 지킨다는 얘기다”라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은 냉소했다. 오락가락하는 태도에 “짜증난다”는 반응이 많았다. 우상호 대변인은 “우리는 시대정신을 구현할 새 정치세력을 규합하려는 것이지, 결코 지역당으로 돌아가려는 것이 아니다. 대통령은 큰 걱정 안 하셔도 된다”고 말했다. 말은 부드럽지만 “당 일에서 손떼라”는 차가운 반격이다. 노 대통령 탈당에 찬성하는 한 초선 의원은 “대통령 심기가 혼란스러운 모양이다. 하도 왔다 갔다 하니까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의원들은 무엇보다 당내 광범위한 공감대를 형성한 통합신당 추진을 ‘지역당 회귀 시도’로 깎아내린 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서울지역 한 초선 의원은 “대통령 얘기는 ‘통합신당은 지역당에 불과하니 하고 싶으면 당신들이 나가서 해보라’는 것 아니냐”며 “당·청 관계가 갈 데까지 간 것 같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당 진로를 놓고 벌어질 격렬한 내부투쟁 과정에서 이른바 통합신당파가 스스로 당을 떠나는 상황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친노 직계’ 의원들 중심의 열린우리당 사수론자들이 당을 이어가야 되는데, 이런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는 얘기다. 노 대통령의 또다른 핵심 참모는 “지금은 당내에서 대통령 탈당을 요구하는 사람의 목소리가 많은 듯 보이지만 앞으로의 당 진로에 대해선 토론이 필요하다”며 “이 과정에서 통합신당파가 당을 나갈 수도 있고 이른바 ‘친노 직계’가 당을 나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물론, 친노파가 당을 나가면 노 대통령도 탈당할 게 분명하다. 노 대통령이 “당을 지키겠다”고 하면서도 “탈당이 당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덧붙인 건 이런 상황을 염두에 둔 것 같다. 노 대통령의 이날 발언으로, 당내에선 정계개편 추진을 둘러싸고 통합신당파와 ‘친노 직계’들과의 정면 충돌이 불가피하다는 견해가 많다. 김근태 의장과 김한길 원내대표 등 통합신당파는 노 대통령과 모양 좋게 갈라서는 걸 바라지만, 이제 그렇게 될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인다. 신승근 이태희 기자 skshin@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