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강경…국회 임명동의 ‘마지막 관문’
정치권 반응
한명숙 국무총리 지명자가 첫 여성 총리에 오르려면 중요한 ‘관문’이 하나 남아있다. 김대중 정부 시절인 지난 2002년 7월31일 당시 장상 총리 지명자가 넘지 못한 국회 임명동의다.
국회의 임명동의를 얻으려면 재적 의원 과반수 출석에 출석 의원 과반수의 찬성이 필요하다. 현재 국회 의석 분포로만 보면, 열린우리당이 143석으로, 단독으로는 전체 297석의 과반(149석)에 못 미친다. 이 때문에 한나라당 등 야당의 태도가 매우 중요하다.
야당은 대체로 여성 총리 지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최종 판단은 청문회 이후로 미루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특히, 한나라당은 한 지명자의 열린우리당 탈당을 요구하는 등 강경한 분위기다.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는 “지금 여자냐, 남자냐가 중요한 게 아니다”라며 “지방선거를 코앞에 두고 중립적인 인사를 해야 한다는 게 기본적인 입장”이라고 말했다. 같은 당 이재오 원내대표는 “한 지명자가 열린우리당 당적을 정리하지 않으면 인사청문회를 보이콧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규진 국민중심당 대변인도 “한 지명자가 당적을 버리도록 다른 야당과 연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이상열 민주당 대변인은 “여성 총리 지명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당적보다는 지방선거를 공정하게 치르겠다는 의지가 더 중요하다”고 밝혔다. 심상정 민주노동당 의원단 수석부대표도 여성 총리 지명을 환영하면서 “인사청문회에서 한 지명자가 양극화 및 빈부격차 해소에 어떤 해법과 비전을 갖고 있는지 서민의 눈으로 꼼꼼히 따져 묻겠다”고 말했다.
황준범 성연철 기자 jaybee@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