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지방선거땐 불구경하더니…” 평가절하
민주당 “따라갈 수밖에 없어” 참여 줄이을듯
고 전총리쪽 “당분간 정치인보다 명망가 주력”.
민주당 “따라갈 수밖에 없어” 참여 줄이을듯
고 전총리쪽 “당분간 정치인보다 명망가 주력”.
고건 전 총리가 오는 7월 ‘중도실용주의세력의 대통합을 위한 연대기구’ 출범을 목표로 독자세력화 수순에 돌입하자 정치권이 긴장하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1~2위를 달리고 있는 그의 적극적 행보가 적잖은 파장을 몰고올 수밖에 없는 탓이다.
당장 지방선거 참패의 충격에 빠진 열린우리당은 가뜩이나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여당에선 일단 “‘찻잔속의 태풍’에 그칠 것”이라고 평가절하하는 분위기가 대세다.
핵심 당직을 맡은 한 의원은 “여당이 참패한 직후 세력화에 나선 고 전 총리의 처신은 ‘초상집 음식으로 장사를 하려는 행위’”라며 “여당 의원들 다수가 분노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남지역의 한 의원도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의 통합에는 찬성하지만, 고 전 총리가 오란다고 갈 사람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고 전 총리와 가까운 관계로 알려진 호남의 한 의원도 “지방선거 때는 두 손 놓고 불구경하다 당이 풍비박산나자 기다렸다는 듯 나서는 것은 정치도의나 절차 양쪽 차원에서 모두 잘못”이라며 “고 전 총리는 결과적으로 이번 선거에서 한나라당을 도왔다”고 비판했다. 열리우리당의 고전이 예상되는 지방선거에서는 ‘국외자’로 남아있다가 패배가 확인되자마자 반사이익을 챙기려는 듯 신속하게 움직이는 고 전 총리의 구상에 호응할 여당 의원은 많지 않다는 것이다.
여당의 내부 흐름을 보면, 몇몇 의원들이 고 전 총리가 주도하는 통합기구에 당적을 유지한 채 개별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은 있지만 당내 ‘고건 비토정서’가 만만치 않아 그 숫자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당은 분위기가 확 다르다. 고 전 총리의 구상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분위기가 대세를 형성하고 있다.
민주당의 핵심 당직을 맡은 한 의원은 “호남에서 민주당이 선전한 바탕에는 ‘고건을 중심으로 다시 한번 정권을 잡아보라’는 호남 유권자의 기대가 담겨 있다”며 “민주당은 고 전 총리의 구상을 따라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한화갑 대표가 2일 자신의 영입제안을 거부한 고 전 총리를 비판한 데 대해 “지금은 두 사람이 방법론의 차이로 충돌하고 있지만 결국 담판을 통해 함께 갈 수 밖에 없는 운명”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소속의 다른 의원도 “고 전 총리가 당장 신당을 만든다면 부담스럽지만, 신당 창당을 위한 교두보로 국민운동 성격의 비정치적 연대기구를 만든다면 의원들 다수가 당적을 유지한 채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뚜렷한 대선주자가 없는 민주당 의원의 다수는 고 전 총리의 구상에 적극 동참할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이 ‘고건 신당’의 핵심동력이 된다는 얘기다. 한편, 고 전 총리의 김덕봉 공보특보는 “신당을 만드는 종착역에서는 현실 정치권과 고 전 총리가 맞닿을 수 있지만, 출발단계인 지금은 완전히 다르다”며 “당분간 현실 정치권 인사들 보다는 정파를 초월해 중도개혁세력 통합에 공감하는 명망가들을 중심으로 국민연대기구 발기인을 찾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결국 뚜렷한 대선주자가 없는 민주당 의원의 다수는 고 전 총리의 구상에 적극 동참할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이 ‘고건 신당’의 핵심동력이 된다는 얘기다. 한편, 고 전 총리의 김덕봉 공보특보는 “신당을 만드는 종착역에서는 현실 정치권과 고 전 총리가 맞닿을 수 있지만, 출발단계인 지금은 완전히 다르다”며 “당분간 현실 정치권 인사들 보다는 정파를 초월해 중도개혁세력 통합에 공감하는 명망가들을 중심으로 국민연대기구 발기인을 찾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