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2년 3월18일 민주당 대통령후보 선출을 위해 광주 염주체육관에 모인 광주 시민들이 경선투표를 하기 위해 줄을 서 있다. 광주/이종근 기자 root@hani.co.kr
‘100% 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 핵심 쟁점으로
“개개인의 사정이나 유불리에 따라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다. 9개월 동안 당원들의 의견을 종합해서 만든 것을 쉽게 바꾸면 문제가 제기될 것이다. 한 자라도 고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2일 낮 유럽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는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제)에 반대한다는 뜻을 이렇게 밝혔다. 건드리면 그냥 있지 않겠다는 강한 경고다.
그런가 하면, 열린우리당은 이날 오전 비상대책위원회에서 17대 대통령 후보를 100% 국민참여 경선 방식으로 뽑기로 최종 결정했다. 열린우리당은 제도개선소위원회를 구성해 △여론조사 부분반영 여부 △지역별 편차 보완 방식 △법·제도 개정 대비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여당안 확정 ‘정계개편 고리’ 기대
박근혜 ‘당헌 수정 불가’ 강경
이명박·손학규·고건은 참여할 뜻
이처럼 완전 국민경선제는 2007년 대선 전초전의 최대 쟁점으로 단박에 떠올랐다. 국민들의 찬성 여론도 압도적이다.
완전 국민경선제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논쟁에서,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은 사정이 정반대다.
한나라당에서는 대선 예비후보들의 갈등을 부추기는 쪽으로 작용하고 있다. 박근혜 전 대표와 이명박 전 서울시장,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일종의 ‘제로섬’ 게임을 벌이는 양상이다. 탈당 가능성이 사실상 봉쇄된 상황에서 ‘내가 후보가 되는 방식’이 무엇인지 따질 수밖에 없다.
이명박 전 시장의 공식 발언은 “정권교체를 위해 어떤 제도가 좋은지 당이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측근들에게 “어떤 방식에서든 이길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추라”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완전 국민경선제가 여론의 호응을 얻을 경우, 한나라당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내년에 가서 제도 도입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손학규 전 지사는 올봄 당 혁신위원회에서 대선후보 경선 룰을 결정했을 때 “국민 참여율이 확대될수록 좋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 얘기는 ‘정치 철학’에서 나온 것이라고 측근들은 전했다. 찬성한다는 뜻이다. 범여권의 상황은 다르다. 대선 예비주자들이 경쟁 관계가 아닌 탓이다. 완전 국민경선제는 대선 예비주자들을 결속시키는 ‘핵심 고리’로 작동하고 있다. 통합신당 추진, 고건 전 총리와 민주당의 합류 등 여권발 정계개편 시나리오에서, 완전 국민경선제는 가장 기본적인 ‘전제 조건’이다. 범여권에서 지지율이 가장 높은 고건 전 총리는 물론 찬성이다. 가상 투표에서도 그는 가장 득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 정동영 전 의장은 아예 정치생명을 걸고 있다. 지지율이 지금처럼 낮은 상황에서는 열린우리당 대선후보가 돼도 본선 경쟁력이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통합신당 창당과 완전 국민경선제로 경쟁력을 갖춘 ‘반한나라당’ 후보를 만들어내야 재집권이 가능하고, 그 과정에서 정치적 활로도 찾을 수 있다는 계산이다.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박근혜 ‘당헌 수정 불가’ 강경
이명박·손학규·고건은 참여할 뜻
오픈 프라이머리에 대한 주요 정치인들의 견해
이명박 전 시장의 공식 발언은 “정권교체를 위해 어떤 제도가 좋은지 당이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측근들에게 “어떤 방식에서든 이길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추라”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완전 국민경선제가 여론의 호응을 얻을 경우, 한나라당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내년에 가서 제도 도입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손학규 전 지사는 올봄 당 혁신위원회에서 대선후보 경선 룰을 결정했을 때 “국민 참여율이 확대될수록 좋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 얘기는 ‘정치 철학’에서 나온 것이라고 측근들은 전했다. 찬성한다는 뜻이다. 범여권의 상황은 다르다. 대선 예비주자들이 경쟁 관계가 아닌 탓이다. 완전 국민경선제는 대선 예비주자들을 결속시키는 ‘핵심 고리’로 작동하고 있다. 통합신당 추진, 고건 전 총리와 민주당의 합류 등 여권발 정계개편 시나리오에서, 완전 국민경선제는 가장 기본적인 ‘전제 조건’이다. 범여권에서 지지율이 가장 높은 고건 전 총리는 물론 찬성이다. 가상 투표에서도 그는 가장 득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 정동영 전 의장은 아예 정치생명을 걸고 있다. 지지율이 지금처럼 낮은 상황에서는 열린우리당 대선후보가 돼도 본선 경쟁력이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통합신당 창당과 완전 국민경선제로 경쟁력을 갖춘 ‘반한나라당’ 후보를 만들어내야 재집권이 가능하고, 그 과정에서 정치적 활로도 찾을 수 있다는 계산이다.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