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미국의 교육수준별 외국인 노동력 비중 ② 국내 체류 외국인 수 ③ 총인구 대비 국내 체류 외국인 비중
우리말 논술
통합논술 교과서 / (49) 소수집단과 주류의 갈등과 통합
통계로 접근하기 / [난이도 수준-중2~고1]
외국에서 이민 온 소수인종의 풍부한 노동력에 힘입어 최근 미국 경제는 고성장ㆍ저물가 기조를 유지할 수 있었다. 상대적으로 값싼 노동력이 유입됨으로써 임금과 물가가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는 이민자 유입에 따른 연간 소득 증가분을 비교해 보면 확연히 드러난다.
이민자의 경제적 영향력에 대해 조사한 미국 정부 보고서를 보면 이민자 유입에 따른 연간 소득 증가분은 1996년 140억달러에서 2006년 370억달러로 10년 사이 약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들어 단순 기술을 요하는 분야뿐만 아니라 고학력ㆍ전문직에서도 소수인종의 영향력이 높아지는 추세다.
<그림 1>을 보면 박사학위 근로자의 경우 외국인 근로자 비중이 26%에 달해 외국인 전문인력 비중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 근로자 중 대졸 이상 외국인 근로자 비율은 1995년 11.2%에서 2000년에는 14.8%, 2005년에는 17.6%로 점차 늘고 있다. 외국인 고급 인력은 미국 경제 발전과 세수를 통한 정부 재정 확충에도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인구 대비 국내 체류 외국인 비중이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1991년 인구 대비 외국인 수는 4만9507명으로 총인구의 0.11%에 불과했지만, 2007년 106만6273명으로 늘어나 총인구의 2.2%를 외국인이 차지하고 있다.(<그림 2, 3> 참조)
이들은 국내 각종 산업 분야에 종사하며,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앞으로 외국인 유입이 더욱 늘어나면서 우리나라도 다인종·다문화 사회로 점차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양한 인종과 민족·문화가 서로 조화하려면 외국인 및 귀화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 단일민족국가라는 고정관념은 이들을 주류로부터 고립시키고, 이들이 국가 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차단하는 장애물이 된다. 외국인에 대한 차별적 대우는 우리나라의 대외관계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사회 전반적으로 다양성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타인에 대한 배려를 통한 상생의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들은 국내 각종 산업 분야에 종사하며,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앞으로 외국인 유입이 더욱 늘어나면서 우리나라도 다인종·다문화 사회로 점차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양한 인종과 민족·문화가 서로 조화하려면 외국인 및 귀화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 단일민족국가라는 고정관념은 이들을 주류로부터 고립시키고, 이들이 국가 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차단하는 장애물이 된다. 외국인에 대한 차별적 대우는 우리나라의 대외관계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사회 전반적으로 다양성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타인에 대한 배려를 통한 상생의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