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
[난이도 수준-중2~고1] 50. 면담의 기법
51. 우리말의 특징 이해하기
52. 국어의 구조 알기 ※ <보기>의 일화를 통해 짐작할 수 있는 우리말의 특징으로 적절한 것은? 국어학 연구 학회에서 간사를 맡고 있는 박 모 교수는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고자 몽골 유학생인 성비락 씨를 섭외하였다. 성비락 씨에게 부탁할 발표 주제는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태’에 관한 것이었다. 마침 지방에서 학술대회를 하기로 하여, 성비락 씨와 함께 대회장으로 가게 되었다. “오늘 학술대회가 끝나고 다시 서울로 오면 되지요?” “아닌데요. 오후 여덟 시까지는 청주에 가야 돼요?”
“그래요? 무슨 일이 또 있나요?” “예. 그 지역에 사는 몽골 결혼 여성 이주민에 대한 실태 조사가 있는데, 통역을 맡아야 돼요.” 학술대회가 끝나고 박 교수는 성비락 씨와 함께 춘천의 버스 터미널로 갔다. 오후 네 시. 춘천에서 청주까지는 버스로 네 시간이면 넉넉히 도착할 것이다. 그런데 그때 성비락 씨에게 전화가 왔다. “여보세요. 성비락 선생님이시죠? 여기 전주인데요. 지금 오고 계시나요?” 휴대전화 밖으로 크게 새어나오는 소리를 들은 박 교수는 ‘아차 무언가 잘못되었구나.’라는 생각이 불현듯 들었다. 성비락 씨가 가야 할 곳은 청주가 아니라 전주였던 것이다. ① 우리말의 자음은 예사소리, 거센소리, 된소리의 대립이 있다. ② 우리말의 자음은 이어지는 모음에 따라 소리가 달라진다. ③ 우리말의 음절(소리마디)에는 받침이 있는 경우가 많다. ④ 우리말의 받침은 일곱 개의 소리가 있다. ⑤ 우리말의 땅이름에는 유래가 비슷한 것이 많다. 이 일화는 ‘전주’로 가야 할 사람이 ‘청주’로 발음하여 혼란을 겪었다는 이야기이다. ①에 나타난 것처럼, 우리말의 말소리의 특징으로 ‘예사소리: 거센소리: 된소리’의 대립이 있다. 외국 사람은 ‘ㄱ: ㅋ: ㄲ’, ‘ㄷ: ㅌ: ㄸ’, ‘ㅂ: ㅍ: ㅃ’, ‘ㅈ: ㅊ: ㅉ’의 발음을 쉽게 내지 못할 때가 많다. 우리말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국어를 이해하고 사랑하는 일뿐만 아니라 외국 사람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데도 꼭 필요한 일이다. ※ 다음 <보기>의 편지의 밑줄 친 부분에서 찾아낼 수 있는 ‘한국어의 특징’을 쓰시오.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에 유학 온 묘원입니다. 선생님을 뵙게 되어 기쁩니다. 먼저 제 소개 해 드릴게요. 저는 중국 산동성에 태어났습니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공무원이시고요, 동생이 있습니다.
허재영 단국대 교양학부 교수 hjy435@hanmail.net
[난이도 수준-중2~고1] 50. 면담의 기법
51. 우리말의 특징 이해하기
52. 국어의 구조 알기 ※ <보기>의 일화를 통해 짐작할 수 있는 우리말의 특징으로 적절한 것은? 국어학 연구 학회에서 간사를 맡고 있는 박 모 교수는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고자 몽골 유학생인 성비락 씨를 섭외하였다. 성비락 씨에게 부탁할 발표 주제는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태’에 관한 것이었다. 마침 지방에서 학술대회를 하기로 하여, 성비락 씨와 함께 대회장으로 가게 되었다. “오늘 학술대회가 끝나고 다시 서울로 오면 되지요?” “아닌데요. 오후 여덟 시까지는 청주에 가야 돼요?”
“그래요? 무슨 일이 또 있나요?” “예. 그 지역에 사는 몽골 결혼 여성 이주민에 대한 실태 조사가 있는데, 통역을 맡아야 돼요.” 학술대회가 끝나고 박 교수는 성비락 씨와 함께 춘천의 버스 터미널로 갔다. 오후 네 시. 춘천에서 청주까지는 버스로 네 시간이면 넉넉히 도착할 것이다. 그런데 그때 성비락 씨에게 전화가 왔다. “여보세요. 성비락 선생님이시죠? 여기 전주인데요. 지금 오고 계시나요?” 휴대전화 밖으로 크게 새어나오는 소리를 들은 박 교수는 ‘아차 무언가 잘못되었구나.’라는 생각이 불현듯 들었다. 성비락 씨가 가야 할 곳은 청주가 아니라 전주였던 것이다. ① 우리말의 자음은 예사소리, 거센소리, 된소리의 대립이 있다. ② 우리말의 자음은 이어지는 모음에 따라 소리가 달라진다. ③ 우리말의 음절(소리마디)에는 받침이 있는 경우가 많다. ④ 우리말의 받침은 일곱 개의 소리가 있다. ⑤ 우리말의 땅이름에는 유래가 비슷한 것이 많다. 이 일화는 ‘전주’로 가야 할 사람이 ‘청주’로 발음하여 혼란을 겪었다는 이야기이다. ①에 나타난 것처럼, 우리말의 말소리의 특징으로 ‘예사소리: 거센소리: 된소리’의 대립이 있다. 외국 사람은 ‘ㄱ: ㅋ: ㄲ’, ‘ㄷ: ㅌ: ㄸ’, ‘ㅂ: ㅍ: ㅃ’, ‘ㅈ: ㅊ: ㅉ’의 발음을 쉽게 내지 못할 때가 많다. 우리말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국어를 이해하고 사랑하는 일뿐만 아니라 외국 사람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데도 꼭 필요한 일이다. ※ 다음 <보기>의 편지의 밑줄 친 부분에서 찾아낼 수 있는 ‘한국어의 특징’을 쓰시오.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에 유학 온 묘원입니다. 선생님을 뵙게 되어 기쁩니다. 먼저 제 소개 해 드릴게요. 저는 중국 산동성에 태어났습니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공무원이시고요, 동생이 있습니다.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